고시조
梨花에 月白하고 銀漢이 三更인제
一枝春心을 子規야 알랴마난
多情도 病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李兆年
【語句】
梨花 : 배꽃. 月白 : 닭이 밝음. 銀漢 : 은하수 三更 : 밤 11시부터 새벽1시 사이
一枝春心 : 나뭇가지에 어려 있는 봄날의 애상감. 보통 春情을 두고 하는 말. 子規 : 소쩍새 도는 접동새
이 몸이 죽어 죽어 一白番 고쳐 죽어
白骨이 塵土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向한 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 鄭夢周
【語句】
塵土 : 띠끌과 흙. 一片丹心 : 한 조각의 충심.
五百年 都邑地를 匹馬로 돌아드니
山川은 依舊하되 人傑은 간 데 없다
어즈버 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吉再
【語句】
都邑地 : 國都를 세운 곳. 匹馬 : 한필의 말. 依舊 : 옛날과 같음. 太平烟月 : 태평한 세월.
興亡이 有數하니 滿月臺도 秋草로다
五百年 王業이 牧笛에 부쳤으니
夕陽에 지나는 客이 눈물겨워 하다라. 元天錫
【語句】
興亡 : 흥하고 망함. 有數 : 운수가 있음. 滿月臺 : 고려의 궁전이었던 연경궁(延慶宮)의 앞 섬돌.
秋草 : 가을의 풀이라는 뜻으로 잡초가 우거져있음을 비유한 말. 王業 : 왕조의 업적.
牧笛 : 목동의 피리 소리.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꼬하니
蓬萊山 第一峯에 落落長松 되얏다가
白雪이 滿乾坤할 제 獨也靑靑하리라. 成三問
【語句】
蓬萊山 : 발해(渤海)에 있다고 전해지는 삼신산(三神山) 중의 하나. 여름철의 금강산을 일컫는 말이기도 함.
落落長松 : 높이 자란 큰 소나무. 滿乾坤 : 하늘과 땅에 가득 참. 獨也靑靑 : 홀로 푸르고 푸름.
綠耳霜蹄 살지게 먹여 시냇물에 씻어타고
龍泉雪鍔을 들게 갈아 둘러메고
丈夫의 爲國忠節을 세워 볼까 하노라. 崔塋
【語句】
綠耳霜蹄 : 녹이와 상제. 모두 명마의 이름이다. 蹄(말발굽 제)
龍泉雪鍔 : 용천과 설악. 모두 명검의 이름이다. 鍔(칼날 악) 爲國忠節 : 나라를 위한 충절.
頭流山 兩端水를 예 듣고 이제보니,
桃花뜬 맑은 물에 山影조차 잠겼에라.
아희야 武陵이 어디요 나는 옌가 하노라. 曺植
【語句】
頭流山 : 지리산의 다른 이름. 兩端水 : 물이름 影 : 그림자 영.
武陵 : 晉나라의 한 어부가 가 보았다는 仙境(선경). 곧 武陵桃源(무릉도원).
首陽山 바라보며 夷齊를 恨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採薇도 하난 것가,
아모리 푸새엣것인들 긔 뉘 따헤 났다니. 成三門
【語句】
首陽山 : 伯夷叔齊(백이․숙제)가 굶어 죽었다는 중국 山西省(산서성) 永濟縣(영제현) 남쪽의 雷首山(뇌수산). 黃海道에 있는 首陽山을 가리킨다고도 함. 恨 : 한할 한. 採薇 : 고비나물을 캠. (採 : 캘 채, 薇 : 고비 미)
風霜이 섯거친 날에 갓 피온 黃菊花를,
金盆에 가득 담아 玉堂에 보내오니,
桃李야 꽃이온 양 마라 님의 뜻을 알괘라. 宋純
【語句】
風霜 : 바람과 서리. 黃菊花 : 누런 빛의 국화, 金盆 : 좋은 그릇. (盆 : 동이 분)
玉堂 : 弘文館 혹은 홍문관 副提學(부제학) 이하의 館員을 가리킴. 桃李 : 복숭아와 자두
二曲은 어디메오 花巖에 春晩커다.
碧波에 꽃을 띄워 野外로 보내노라.
사람이 勝地를 모르니 알게 한들 어떠리. 李珥
【語句】
二曲 : 두 번째 곡. 이 시조는 황해도 海州(해주)에 있는 산 속의 절경 아홉 곳을 노래한 高山九曲歌(고산구곡가)의 세 번 째 시조다. 花巖 : 꽃이 핀 바위 春晩 : 봄이 저뭄. (晩 : 늦을 만)
碧波 : 푸른 파도. (碧 : 푸를 벽) 勝地 : 경치가 뛰어난 곳.
江湖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있다.
小艇에 그물 실어 흘리 띄워 던져 두고,
이 몸이 消日하옴도 亦君恩이샷다. 孟思誠
【語句】
艇 : 거룻배 정. 消 : 녹일 소. 亦君恩 : 또한 임금의 은혜임.
짚 方席 내지 마라 落葉엔들 못 앉으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달 돋아 온다.
아희야 濁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韓護
【語句】
席 : 자리 석. 濁酒山菜 (탁주산채) : 막걸리와 산나물. (濁 : 흐릴 탁)
閑山섬 달 밝은 밤에 戍樓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一聲胡笳는 남의 애를 끊나니 李舜臣
【語句】
閑 : 한가할 한. 戍樓(수루) : 파수보는 누대. (戍 : 수자리 수, 樓 : 다락 루)
一聲胡笳 : 풀잎피리 소리. (胡 : 오랑캐 오, 笳 : 호드기 가)
鐵嶺 높은 峰에 쉬어 넘난 저 구름아,
孤臣寃淚랄 비삼아 띄워다가,
님 계신 九重深處에 뿌려 본들 어떠리. 李恒福
【語句】
鐵嶺 : 淮陽(회양)에서 함경도 安邊(안변)으로 가는 높은 고개. (鐵 : 쇠 철, 嶺 : 고개 령.)
孤臣寃淚 : 외로운 신하의 원통한 눈물. (孤 : 외로울 고, 寃 : 원통할 원, 淚 : 눈물 루)
九重深處 : 아홉 겹 담으로 둘러싸인 깊은 곳. 곧 궁궐을 가리킴.
力拔山 蓋世氣는 楚覇王의 버금이요,
秋霜節 烈日忠은 伍子胥의 우이로다.
千古에 凜凜丈夫는 壽亭後인가 하노라. 林慶業
【語句】
拔 : 뽑을 발. 蓋 : 덮을 개. 力拔山 蓋世氣 : 산을 뽑을 만한 힘과 세상을 덮을 만한 기운. 楚(초)나라 覇王(패왕)이 垓下(해하)의 싸움에서 敗死(패사)하기 직전에 지은 시의 첫구절이다.
楚覇王 : 項羽(항우)를 가리킴. (楚 : 초나라 초, 覇 : 으뜸갈 패)
春霜節 烈日忠 : 가을 서리 같은 절개와 뜨거운 해와 같은 충성.
伍子胥 :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의 명재상 (伍 : 다섯사람 오, 胥 : 서로 서) 凜 : 늠름할 름.
壽亭候 : 중국 삼국시대 蜀漢(촉한)의 장수 關羽(관우)를 가리킴.
長劍을 빼어 들고 白頭山에 올라보니,
一葉鯷岑이 胡越에 잠겼애라.
언제나 南北風塵을 헤쳐 볼고 하노라. 南怡
【語句】
鯷岑 : 옛날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일컫는 말. (鯷 : 메기제, 岑 : 멧부리잠) 胡越 : 오랑캐라는 뜻. (北胡와 南越)
南北風塵 : 남북의 어지러운 세상 일. 구체적으로는 남쪽과 북쪽의 오랑캐가 일으키는 어지러운 兵亂(병란)을 가리킨다. (塵 : 티끌 진)
굽어는 千尋綠水 돌아보니 萬疊靑山,
十丈紅塵이 엇매나 가렸는고,
江湖에 月白하거든 더욱 無心하여라. 李賢輔
【語句】
千尋綠水 : 매우 깊은 푸른 물. (尋 : 여덟자 심) 萬疊靑山 : 겹겹이 싸인 푸른 산. (疊 : 겹쳐질 첩)
十丈紅塵 : 열 길이냐 쌓인 붉은 티끌. 곧 속세. (丈 : 한길 장)
朔風은 나무 끝에 불고 明月은 눈 속에 찬데,
萬里邊城에 一長劍 짚고 서서,
긴 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애라. 金宗瑞
【語句】
朔風 : 북풍. (朔 : 북녘 삭) 邊城 : 국경에 있는 성으로 김종서가 설치해 지키던 六鎭을 가리킴. (邊 : 변방 변)
菊花야 너는 어이 삼월 東風 다 보내고,
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李鼎輔
【語句】
三月 東風 : 봄바람. 落木寒天 : 나뭇잎이 떨어지는 차가운 날. 곧 늦가을.
傲霜孤節 : 서리를 이겨 내는 외롭고 높은 절개. (傲 : 업신여길 오, 霜 : 서리 상, 節 : 절개 절)
靑石領 지나거냐 草河溝 어디메오.
胡風도 참도찰사 궂은 비는 무슨 일고,
뉘라서 내 行色 그려내어 님 계신 데 드릴고. 孝宗
【語句】
靑石領, 草下溝 : 효종이 심양(瀋陽)으로 붙잡혀 갈 때 그 도중에 있었던 지명.
胡風 : 오랑캐 땅에서 불어오는 바람. (병자호란을 비유한 말) 行色 : 차리고 나선 모양.
가노라 三角山아, 다시 보자 漢江水야.
故國山川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時節이 하 殊常하니 올동말동 하여라. 金尙憲
【語句】
三角山 : 지금의 북한산을 가리킴. 殊常 : 의심스러움. (殊 : 다를 수)
삿갓에 도롱이 입고 細雨中에 호미 메고,
山田을 흩매다가 綠陰에 누웠으니,
牧童이 牛羊을 몰아 잠든 나를 깨와라. 金宏弼
【語句】
細雨 : 가는 비. 陰 : 그늘 음. 童 : 아이 동.
冊덮고 窓을 여니 江湖에 白鷗떳다.
往來白鷗는 무슨 뜻 먹었는고,
앗구려 功名도 말고 너를 좇아 놀리라. 鄭蘊
【語句】
冊 : 책 책. 窓 : 창 창. 來往白鷗 : 오고 가는 흰 갈매기. (鷗 : 갈매기 구)
功名 : 공을 세워 이름을 알림.
雪嶽山 가는 길에 皆骨山 중을 만나,
중다려 묻는 말이 楓岳이 어떻더니,
이 사이 連하여 서리치니 때 맞았다 하더라. 趙明履
【語句】
皆骨山 : 금강산의 겨울 이름. (皆 : 모두 개)
楓岳 : 금강산의 가을 이름. (楓 : 단풍나무 풍,
岳 : 큰산 악)
江湖에 버린 몸이 백구와 벗이 되야,
漁艇을 흘리 놓고 玉簫를 높이 부니,
아마도 世上 興味는 이뿐인가 하노라. 金聖器
【語句】
漁艇 : 고깃 배. (艇 : 거룻배 정) 玉簫 : 옥으로 만든 퉁소. (簫 : 퉁소 소)
大鵬을 손으로 잡아 번갯불에 구워먹고,
崑崙山 옆에 끼고 北海를 건너 뛰니,
泰山이 발 끝에 차이어 왜깍데깍 하더라. 作者未詳
【語句】
鵬 : 붕새 붕. 崑崙山 : 전설 속의 큰 산. (崑 : 산이름 곤, 崙 : 산이름 륜)
泰山 : 중국의 명산. (泰 : 클 태)
功名을 즐겨 마라 榮辱이 半이로다.
富貴를 貪치 마라 危機를 밟나니라.
우리는 一身이 閑暇커니 두려운 일 없에라. 金三賢
【語句】
榮辱 : 명예와 치욕. (榮 : 영화로울 영, 辱 : 욕보일 욕) 貪 : 탐할 탐.
危機 : 위험한 고비. (危 : 위태할 위, 機 : 기틀 기)
言忠臣 行篤敬하고 그른 일 아니 하면,
내 몸에 害 없고 남 아니 무이나니.
行하고 餘力이 있거든 學問조차 하리라. 成石璘
【語句】
言忠信 : 말이 믿음직함. 行篤敬 : 행동이 성실하고 조심스러움. (篤 : 두터울 독, 敬 : 공경할 경)
餘力 : 남은 힘. (餘 : 남을 여)
이리도 太平聖代 저리도 聖代太平,
堯之日月이요 舜之乾坤이로다.
우리도 太平聖代에 놀고가려 하노라. 成守琛
【語句】
堯之日月 : 요임금이 다스리던 세월. (堯 : 요임금 요)
舜之乾坤 : 순임금이 다스리던 세상. (舜 : 순임금 순, 乾 : 하늘 건, 坤 : 하늘 곤)
닫는 말 서서 늙고 드는 칼 보의꼇다.
無情歲月은 白髮을 재촉하니,
聖主의 累世鴻恩을 못 갚을까 하노라. 柳赫然
【語句】
보의 : 녹. 歲 : 해 세. 髮 : 머리카락 발. 聖主 : 聖君을 가리킴.
累世鴻恩 : 여러 대 동안 입은 커다란 은혜. (累 : 여러 루, 鴻 : 클 홍)
天地로 帳幕 삼고 日月로 燈燭 삼아,
北海를 휘어다가 酒樽에 대어 두고,
南極에 老人星 대하여 늙을 뉘를 모르리라. 李安訥
【語句】
帳幕 : 장막. (帳 : 휘장 장, 幕 : 장막 막) 燈燭 : 등불과 촛불 (燈 : 등잔 등, 燭 : 초 촉)
樽 : 술그릇 준. 老人星 : 사람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남쪽 하늘의 별.
淸草 우거진 골에 자는다 누었는다.
紅顔을 어디 두고 白骨만 묻혔나니,
盞 잡아 勸할 이 없으니 그를 슬어하노라. 林悌
【語句】
紅顔 : 젊고 고운 얼굴. (紅 : 붉을 홍, 顔 : 얼굴 안) 盞 : 잔 잔. 勸 : 권할 권.
雪月이 滿窓한데 바람아 부지 마라.
曳履聲 아닌 줄을 判然히 알건마는,
그립고 아쉬운 적이면 행여 긔가 하노라. 作者未詳
【語句】
雪月 : 눈 위에 비친 달. 滿窓 : 창에 가득함.
曳履聲 : 신발 끄는 소리, 여기서는 님을 말함. (曳 : 끌 예, 履 : 신 리) 判然 : 뚜렷이. (判 : 가를 판)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一到滄海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明月이 滿空山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黃眞伊
【語句】
裏 : 속 리. 溪 : 시내 계. 一到滄海 : 한번 푸른 바다에 이름. 滿空山 : 빈 산에 가득함.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소
草堂에 꽃피거든 나도 자넬 請하옵네
百年間 시름 없을 일을 議論코자 하노다 金 堉
【語句】
草堂 : 들에 지은 집 議論 : 논의
구름이 無心탄 말이 아마도 虛浪하다
中天에 떠 있어 任意로 떠다니며
구태여 光明한 날빛을 따라가며 덮나니. 李存吾
【語句】
無心(무심):사심없이 虛浪 : 헛되다 光明 : 광명
梨花雨 흩뿌릴 제 울며 잡고 離別한 님
秋風 落葉에 저도 날 생각난가
千里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더라. 梅 窓
【語句】
梨花雨 : 배꽃잎이 비처럼 떨어짐. 離別 : 헤어짐. 秋風 : 가을 바람. 落葉 : 떨어지는 잎
山村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묻혔어라
柴扉를 여지마라 날 찾으리 위 있으랴
밤중만 一片明月이 긔 벗인가 하노라. 申 欽
【語句】
山村 : 산 마을 柴扉 : 사립문 一片明月 : 한조각 밝은 달
盤中 早紅감이 고아도 보이나다
柚子 아니라도 품언즉도 하다마난
품어가 반길이 없으니 그를 설워하노라. 朴仁老
【語句】
盤中 : 쟁반 가운데 早紅 : 일찍 익었다. 柚子 : 유자
歲月이 如流하니 白髮이 절로난다
뽑고 또 뽑아서 젊고져 하는 뜻은
北堂에 親在하시니 그를 두려워하노라 金振泰
【語句】
歲月 : 세월 如流 : 흐르는 것과 같이 白髮 : 흰 머리 北堂 : 별당 親在 : 어버이가 계시다
어리고 성긴 柯枝 너를 믿지 아녔더니
눈 期約 능히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
燭 잡고 가까이 사랑할 제 暗香조차 浮動터라 安玟英
【語句】
柯枝 : 나뭇가지 期約 : 약속 燭 : 촛불 暗香 : 그윽한 향기 浮動 : 떠돌다
綠楊이 千萬絲인들 가는 春風 매어두며
探花 蜂蝶인들 지는 꽃 어이하리
아무리 사랑이 重한들 가는 임을 어이 하리. 李元翼
【語句】
綠楊 : 푸른 버들가지 千萬絲 : 천만가지 줄기 春風 : 봄바람 探花 : 꽃을 찾아 다님 蜂蝶 : 나비와 벌
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無心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매라. 月山大君
【語句】
秋江 : 가을 강 無心 : 아무 사심없는
100인의 고시조 모음 (가나다 순)
1
청춘에 곱던 모습 님으로해 다 늙었다
이제 님이 보면 날인 줄 알으실까
아모나 내 형용 그려다가 님의 손대 드리고저
ㅡ 강백년 (1603-1681)
2
이화우 흩뿌릴제 울며잡고 이별한 님
추풍낙엽에 저도 날 생각할까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라
ㅡ 계 랑 (1573-1610)
3
춘산에 불이나니 못다핀 꽃 다붙는다
저 뫼 저 불은 끌 물이나 있거니와
이 몸의 내 없는 불이나니 끌물 없어 하노라
ㅡ 김 덕령 (1568-1596)
4
청산도 절로절로 녹수라도 절로절로
산절로 수절로 산수간에 나도절로
그 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ㅡ 김 인후 (1510-1596)
5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ㅡ 길 재 (1353-1419 고려)
6
삿갓에 도롱이 입고 세우중에 호미 메고
산전을 흩매다가 녹음에 누웠으니
목동이 우양을 몰아 잠든 나를 깨와라
ㅡ 김 굉필 (1454-1504)
7
오리의 짧은 다리 학의 다리 되도록
검은 가마귀 해오라비 되도록
항복무강하사 억만 세를 누리소서
ㅡ 김 구 (1493-1458 조선)
8
공명을 즐겨 마라 영욕이 반이로다
부귀를 탐치 마라 위기를 밟나니라
우리는 일신이 한가커니 두려운 일 없에라
ㅡ 김 삼현 (?-숙종)
9
오동에 듣는 빗발 무심히 듣건마는
내 시름 하니 잎잎이 수성(愁聲)이로다
이 후야 잎 넓은 나무야 심을 줄이 있으랴
ㅡ 김 상용 (1561-1637)
10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고국산천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시절이 하 수상하니 올동말동 하여라
ㅡ 김 상헌 (1570-1652)
11
강호에 버린 몸이 백구와 벗이 되야
어정을 흘리 놓고 옥소를 높이 부니
아마도 세상 흥미는 이뿐인가 하노라
ㅡ 김 성기 (?-영조)
12
술 깨어 일어 앉아 거문고를 희롱하니
창 밖에 섰는 학이 즐겨서 넘노는다
아해야 남은 술 부어라 흥이 다시 오노매라
ㅡ 김 성최 (1645-1713)
13
적설이 다 녹도록 봄 소식을 모르더니
귀홍은 득의천공 활이요 와류는 심생수동요라
아이야 새술 걸러라 새봄맞이 하리라
ㅡ 김 수장 (1690-?)
14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소
초당에 꽃피거든 나도 자넬 청하옵네
백년간 시름 없을 일을 의논코자 하노다
ㅡ 김 육 (1580-1658)
15
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난 가마귀 흰 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좋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
ㅡ 김 정구 (?-연산군)
16
삭풍은 나무끝에 불고 명월은 눈속에 찬데
만리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 파람 큰 한소리에 거칠 것이 없애라
ㅡ 김 종서 (1390-1453)
17
세월이 여류하니 백발이 절로난다
뽑고 또 뽑아서 젊고져 하는 뜻은
북당에 친재하시니 그를 두려워하노라
ㅡ 김 진태 (영조-정조)
18
벼슬을 저마다 하면 농부할 이 뉘 있으며
의원이 병 고치면 북망산이 저러 하랴
아해야 잔 가득 부어라 내 뜻대로 하리라
ㅡ 김 창업 (1568-1722)
19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호미메고 사립나니
긴 수풀 찬이슬에 베잠뱅이 다 젖는다
소치는 아이놈은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 넘어 사래긴 밭을 언제 가려 하느냐
엊그제 덜 괸 술을 질동이에 가득 붓고
설 데친 무우 나물 청국장 끼쳐 내니
세상에 육식자들이 이 맛을 어이 알리요
ㅡ 김 천택 (1680-숙,영조 청구영언)
20
청산(靑山)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명월(明月)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하네
욕심(慾心)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바람같이 구름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ㅡ 나옹 선사 (1262-1342 고려)
21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이들은 상기아니 일었느냐
재넘어 사래긴 밭을 언제갈려 하나니
ㅡ 남 구만 (1629-1711)
22
장검을 빼어 들고 백두산에 올라보니
일엽제잠이 호월에 잠겼애라
언제나 남북풍진을 헤쳐 볼고 하노라
ㅡ 남 이 (1441-1468)
23
매화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오니
옛 피던 가지에 피엄직도 하다마는
춘설이 난분분하니 필동말동 하여라
ㅡ 매 화 (조선후기)
24
이화우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낙엽에 저도 날 생각난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더라
ㅡ 매 창 (1573-1610)
25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 삼고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이샷다
강호에 여름드니 초당에 일이 없다
유신한 강파는 보내나니 바람이로다
이 몸이 서늘해옴도 역군은이샷다
ㅡ 맹 사성 (1360-1438)
26
꿈에 뵈는 님이 신의 없다 하건마는
탐탐이 그리울 제 꿈 아니면 어이 보리
저 님아 꿈이라말고 자주자주 뵈시소
ㅡ 명 옥 (조선후기)
27
반중 조홍감이 고아도 보이나다
유자 아니라도 품언즉도 하다마난
품어가 반길이 없으니 그를 설워하노라
ㅡ 박 인로 (1561-1642)
28
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ㅡ 박 팽년 (1417-1456)
29
공산에 우는 접동 너는 어이 우짖는다
너도 날과 같이 무슨 이별하였느냐
아무리 피나게 운들 대답이나 있더냐
ㅡ 박 효관 (1800-1880)
30
마음이 어린 후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귄가 하노라
ㅡ 서 경덕 (1489-1546)
31
삶이란 한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이란 한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라오
구름은 본시 실체가 없는 것
죽고 살고 오고 감이 모두 그와 같으오
ㅡ 서산대사 (1520-1604)
32
녹초 청강상에 굴레벗은 몸이되어
때때로 머리들어 북향하야 우는 뜻은
석양이 재 넘어 감에 님자 그리워 우노라
ㅡ 서 익 (1542-1587)
33
오면 가려하고 가면 아니오네
오노라 가노라니 볼날이 전혀 없네
오늘도 가노라하니 그를 슬퍼하노라
ㅡ 선 조 (1567-1608)
34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정 채미도 하는 것가
아무리 푸새엣 것인들 그 뉘 땅에 났더니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
ㅡ 성 삼문 (1418-1456 사육신)
35
이리도 태평성대 저리도 성대태평
요지일월이요 순지건곤이로다
우리도 태평성대에 놀고가려 하노라
ㅡ 성 수침 (1519-1564)
36
전원에 봄이오니 이 몸이 일이많다
꽃나무 뉘옮기며 약밭은 언제갈리
아희야 대 베여오너라 삿갓 먼저 걸을이라
ㅡ 성 운 (1497-1579)
37
있으렴 꼭 가겠느냐 아니 가진 못할쏘냐
까닭없이 싫더냐 남의 말을 들었느냐
그래도 너무 애닯다 가는 뜻을 말하거라
ㅡ 성종 (1457-1494)
38
풍상이 섯거 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를
금분에 가득 담아 옥당에 보내오니
도리야 꽃이온 양 마라 임의 뜻을 알괘라
ㅡ 송 순 (1493-1583)
39
임이 혜오시매 나는 전혀 믿었더니
날 사랑하던 정을 누구에게 옮기신고
처음에 믜시던 것이면 이다지 설우랴
ㅡ 송 시열 (1607-1689)
40
산촌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묻혔어라
시비를 여지마라 날 찾으리 위 있으랴
밤중만 일편명월이 긔 벗인가 하노라
ㅡ 신 흠 (1566-1628)
41
어리고 성긴 가지 너를 믿지 아녔더니
눈 기약 능히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
촉 잡고 가까이 사랑할 제 암향조차 부동터라
ㅡ 안 민영 (고종13년 가곡원류)
42
전 나귀 모노라니 서산이 일모로다
산로가 험하거든 간수나 잔잔커니
풍편에 문견폐하니 다왔는가 하노라
ㅡ 안 정 (1494-1548)
43
바람에 휘였노라 굽은 솔 웃지마라
춘풍에 피는 꽃이 매양에 고이시라
풍표표 설분분할 제 네이 나를 부르리라
ㅡ 안평대군 (1418-1453)
44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ㅡ 양 사언 (1517-1584)
45
곡구롱 우는 소리에 낮잠 깨어 일어보니
작은아들 글읽고 며늘아기 베짜는데 어린손자 꽃놀이한다
마초아 지어미 술 거르며 맛보라고 하더라
ㅡ 오 경화 (조선말)
46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야 울어 빔길 예놋다
ㅡ 왕 방연 ( ? - 세조)
47
춘산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저근듯 빌어다가 머리 우에 불리고자
귀밑의 해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한 손에 가시 쥐고 또 한손에 막대 들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ㅡ 우 탁 (1262-1342 고려)
48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눈 맞아 휘어진 대를 뉘라서 굽다 턴고
굽을 절이면 눈 속에 푸르르랴
아마도 세한고절은 너 뿐인가 하노라
ㅡ 원 천석 (고려말?)
49
간밤의 우던 여울 슬피 울어 지내외다
이제야 생각하니 님이 울어 보내도다
저 물이 거스러 흐르고자 나도 우러 내리라
ㅡ 원 호 (?-1356 고려)
50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배 저어 오노라
ㅡ 월산대군 (1455-1489)
51
초당에 일이 없어 거문고 베고 누워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터니
문전에 수성어적이 잠든 나를 깨우네
ㅡ 유 성원 (?-1456 사육신)
52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ㅡ 유 응부 (?-1456 사육신)
53
추산이 석양을 띠고 강심에 잠겼는데
일간죽 둘러메고 소정에 앉았으니
천공이 한가히 여겨 달을 조차 보내도다
ㅡ 유 자신 (1541-1612)
54
미나리 한펄기를 캐어서 싯무이다
년대 아니아 우리 님께 바치오이다
맛이야 긴지 아니커니와 다시 십어보소서
ㅡ 유 희춘 (1513-1577)
55
내 벗이 몇인가 하니 수석과 송죽이라
동산에 달 오르니 그 더욱 반갑구나
두어라 이 다섯 밖에 또 더하여 무엇하리
염동이 지나갔느냐 설풍이 어디로 갔느냐
천산만산에 봄기운이 어리었다
지게문 새벽에 열고서 하늘 빛을 보리라
앞 강에 안개 걷히고 뒷산에 해 비친다
배 따라 배 따라
밤물은 거의 지고 낮물이 밀려온다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강촌 온갖 꽃의 먼빛이 더욱 좋다
ㅡ 윤 선도 (1587-1671)
56
청류벽에 배를 매고 백은탄에 그물 걸어
자님은 고기를 눈살 같이 회쳐 놓고
아희야 잔 자로 부어라 무진토록 먹으리라
ㅡ 윤 유 (1647-1721)
57
방안에 혓는 촉불 눌과 이별하였관대
겉으로 눈물지고 속타는 줄 모르는고
저 촉불 날과 같아야 속타는 줄 모르도다
ㅡ 이 개 (1674-1737)
58
꿈에 다니는 길이 자취가 나랑이면
임의 창 밖 길이 돌길이라도 닳으련마는
꿈길에 자취가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ㅡ 이 명한 (1595-1645)
59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ㅡ 이 방원 (1367-1422)
60
들마다 늦은 가을 찬바람이 움직이네
벼이삭 수수이삭 으슬으슬 속살이고
밭머리에 해그림자도 바쁜 듯이 가누나
쓰일 듯 쓰일 듯하여 붓은 던질 수 없고
문장만으로 배는 채워지지 않는다
원컨대 오는 해마다 풍년이나 드소서
바람이 서늘도 하여 뜰 앞에 나섰더니
서산머리에 하늘은 구름을 벗어나고
산뜻한 초사흘달이 별 함께 나아오더라
달은 넘어 가고 별만 서로 반짝인다
저 별은 뉘 별이며 내 별 또 어느게요
잠자코 홀로 서서 별을 헤어 보노라
ㅡ 이 병기 (1891-1968)
61
주인이 술 부으니 객을랑 노래하소
한잔 술 한 곡조씩 새도록 즐기다가
새거든 새 술 새 노래를 이어 놀려 하노라
ㅡ 이 상우 (1648-1742)
62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ㅡ 이 색 (1328-1396 고려)
63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ㅡ 이 순신 (1545-1598)
64
천지로 장막삼고 일월로 등촉삼아
북해를 휘어다가 주준에 대어 두고
남극에 노인성 대하여 늙을 뉘를 모르리라
ㅡ 이 안눌 (1571-1637)
65
높으나 높은 나무에 날 권해 올려 놓고
이보오 벗님내야 흔들지나 말아주소.
떨어져 죽기는 슬프지않아 님못볼까 하노라
ㅡ 이 양원 (1533-1592)
66
요즈음 어떻게 지내시나요
사창에 달이 뜨니 한만 서려요
꿈속에 오고 간 길 흔적이 난다면
그대 문 앞 돌길응 모래가 되겠네요
ㅡ 이 옥봉 (명종-선조)
67
녹양이 천만사인들 가는 춘풍 매어두며
탐화 봉접인들 지는 꽃 어이하리
아무리 사랑이 중한들 가는 임을 어이 하리
ㅡ 이 원익 (1547-1635)
68
이곡은 어디메오 화암에 춘만커다
벽파에 꽃을 띄워 야외로 보내노라
사람이 승지를 모르니 알게 한들 어떠리
ㅡ 이 이 (1536-1584)
69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 동풍 다 보내고
낙목한천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꽃피면 달 생각하고 달 밝으면 술 생각하고
꽃피자 달 밝자 술 얻으면 벗 생각하네
언제면 꽃 아래 벗 데리고 완월장취 하려뇨
ㅡ 이 정보 (1693-1766)
70
풍설 섞어친 날에 묻노라 북래사자야
소해용안이 언매나 치오신고
고국의 못 죽는 고신이 눈물겨워 하노라
ㅡ 이 정환 (인조-현종)
71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은 삼경인데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냥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ㅡ 이 조년 (1268-1343 고려)
72
구름이 무심탄 말이 아마도 허랑하다
중천에 떠 있어 임의로 떠다니며
구태여 광명한 날빛을 따라가며 덮나니
ㅡ 이 존오 (1341-1371 고려)
73
가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소냐
겉 희고 속 검은 이는 너뿐인가 하노라
ㅡ 이 직 (1362-1431 고려)
74
철령 높은 봉에 쉬어 넘난 저 구름아
고신원루랄 비삼아 띄워다가
님 계신 구중심처에 뿌려 본들 어떠리
ㅡ 이 항복 (1556-1618)
75
굽어는 천심녹수 돌아보니 만첩청산
십장홍진이 엇매나 가렸는고
강호에 월백하거든 더욱 무심하여라
ㅡ 이 현보 (1467-1555)
76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료
초야우생이 이러타 어떠하료
하물며 천석고황을 고쳐 무엇하료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유수는 어찌하여 주야에 긋지 아니는고
우리도 그치지 말고 만고상청 하리라
ㅡ 이 황 (1501-1570)
77
역발산 개세기는 초패왕의 버금이요
추상절 열일충은 오자서의 우이로다
천고에 늠름장부는 수정후인가 하노라
ㅡ 임 경업 (1594-1646)
78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웠난다
홍안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나니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설어 하노라
ㅡ 임 제 (1549-1584)
79
오늘이 무슨 날이 노부의 현고신이로다
술 빚고 벗 있는데 달이 더욱 아름다워
아희야 거문고 청쳐라 취코 놀려 하노라
ㅡ 정 내교 (1681-1757)
80
선인교 나린 물이 자하동에 흘러들어
반 천 년 왕업이 물소리뿐이로다
아이야 고국흥망을 물어 무삼하리오
ㅡ 정 도전 (1342-1398)
81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ㅡ 정 몽주 (1337-1392 고려)
82
간밤에 불던 바람에 만정도화 다 지거다
아희는 비를 들고 쓸으려 하는고야
낙화인들 꽃이 아니랴 쓸어 무삼하리요
ㅡ 정 민교 (1697-1731)
83
책덮고 창을 여니 강호에 백구떳다
왕래백구는 무슨 뜻 먹었는고
앗구려 공명도 말고 너를 좇아 놀리라
ㅡ 정 온 (1569-1641)
84
어버이 살아실 제 섬기기를 다 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닯다 어이 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풀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니 돌이라 무거울까
늙기도 설워라커든 짐을조차 지실까
재너머 성권농 집에 술 익단 말 어제 듣고
누운 소 발로 박차 언치 놓아 지즐 타고
아해야 네 권농 계시냐 정좌수 왔다 하여라
ㅡ 정 철 (1536-1593)
85
공산이 적막한데 슬피우는 저 두견아
촉국 흥망이 어제 오늘 아니거늘
지금껏 피나게 운들 남의 애만 끊나니
ㅡ 정 충신 (1576-1636)
86
술을 취케 먹고 두렷이 앉았으니
억만 시름이 가노라 하직한다
아해야 잔 가득 부어라 시름 전송하리라
ㅡ 정 태화 (1602-1673)
87
저 건너 알편석이 강태공의 조대로다
문왕은 어디가고 빈 대만 남았는고
석양에 물차는 제비만 오락가락 하더라
ㅡ 조 광조 (1482-1519)
88
설악산 가는 길에 개골산 중을 만나
중다려 묻는 말이 풍악이 어떻더니
이 사이 련하여 서리치니 때 맞았다 하더라
ㅡ 조 명리 (1697-1756)
89
두류산 양단수를 예 듣고 이제보니
도화뜬 맑은 물에 산영조차 잠겼에라
아희야 무릉이 어디요 나는 옌가 하노라
삼동에 베옷 입고 암혈에 눈비 맞아
구름 낀 볕뉘도 쬔 적이 없건마는
서산에 해 지다 하니 눈물겨워 하노라
ㅡ 조 식 (1501-1572)
90
빈천을 팔려고 권문에 들어가니
짐없는 흥정을 뉘 먼저 하자하리
강산과 풍월을 달라하니 그는 그리 못하리
ㅡ 조 찬한 (1572-1631)
91
산촌에 밤이드니 먼곳 개 짖어온다
사립문 열고보니 하늘이 차고 달이로다
저 개야 공산 잠든 달을 짖어 무삼하리오
ㅡ 천 금 (조선후기)
92
다 부서지는 때에 혼자 성키 바랄소냐
금이야 갔을망정 벼루는 벼루로다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 알까 하노라
ㅡ 최 남선 (1890-1957)
93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시냇물에 씻겨 타고
용천 설악 들게 갈아 두러 메고
장부의 위국충절을 세워 볼까 하노라
ㅡ 최 영 (1316-1388 고려)
94
손가고 문닫으니 바람잔잔 달기울다
술독을 다시 열고 싯귀를 흩부르니
아마도 산인자랑은 이뿐인가 하노라
ㅡ 하 위지 (1412-1456 사육신)
95
짚방석 내지마라 낙엽엔들 못 앉으랴
솔불 혀지마라 어제 진 달 돋아온다
아이야 박주산챌 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ㅡ 한 석봉 (1543-1605)
96
저에게는 세가지 한이 있습니다
첫째는 조선에서 태어난 것이고
둘째는 여자로 태어났으나 아이를 갖지 못한 것이며
셋째는 수많은 남자 중 김성립의 아내가 된 것입니다.
손에 바늘을 잡고 밤이 차가워지면
열 손가락이 곧아옵니다
남을 위한 혼수 옷만 지을 뿐
해마다 독수공방 신세네요.
ㅡ 허난설헌 (1563-1589)
97
묏버들 가려 꺽어 보내노라 임에게
잠자는 창 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잎 나거든 나인가도 여기소서
ㅡ 홍 랑 ( ? -선조)
98
이별하던 날에 피눈물이 난지 만지
압록강 내린 물이 푸른 빛이 전혀 없네
배 위의 허여 센 사공이 처음 본다 하더라
ㅡ 홍 서봉 (1572-1645)
99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님 오신 날 밤이어든 굽이굽이 펴리라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 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흐르거든 옛 물이 있을손가
인걸도 물과 같도다. 가고 아니 오는 것은
ㅡ 황 진이 (1506 ?-1567 ?)
100
청강에 비 듣는 소리 긔 무엇이 우습관데
만산 홍록이 휘두르며 웃는고야
두어라 춘풍이 몇날이리 웃을 대로 웃어라
청석령 지나거냐 초하구 어디메오
호풍도 참도찰사 궂은 비는 무슨 일고
뉘라서 내 행색 그려내어 님 계신 데 드릴고
ㅡ 효종 (1619-1659)
101
물아래 그림자 지니 다리위에 중이 간다
저 중아 게 섰거라 너 가는데 물어보자
막대로 흰구름 가리키며 돌아 아니보고 가노매라
ㅡ 작자미상
'국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자미상 고시조 (0) | 2025.02.27 |
---|---|
조선시대 고어사전 (ㄱ ~ ㅁ) (0) | 2023.07.25 |
한글 낯은 어휘 풀이 (1) | 2022.11.28 |
틀리기 쉬운 우리말 (1) | 2022.11.28 |
잘못된 우리말 모음 (1)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