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시 협회 시 선발 가이드라인 -고선 지침(考選指針)-

第 7 條 審査方法



가.

詩 一首當 各組別로 循環 實施하여 三審制로 運營하되 審査의 優先順位는 第 1次 失格判定, 第 2次 適否判定으로 한다.



나. 失格判定 ;

指定된 3個組가 一次的으로 명백한 失格이라고 判定될 境遇는 이를 抽出하여 脫落 措置하고 相異할 境遇에 限하여 再審한다. 다만, 失格은 當該 字句에 表示한다.



다. 채점 ;

一次失格判定에서 通過된 詩에 限하여 實施한다. 다만, 優秀句에는 批點을 表示하고 批點 合計를 點數로 換算하여 用紙 上部欄外 기재한다.



라. 批點(朱批)은

1句 2點을 줄 수 있으며 特別한 妙句에 限하여 圈點(貫珠)을 줄 수 있으나 一首中 圈點当 1點으로 4點을 超過할 수 없다.

(16점이 여러 장 나왔을 시에 圈點(貫珠)을 적용해서 가린다.)



마. 入選者 選拔은

最高點數 順으로 對象者를 選定하며 失格 適否判定을 再審하여 瑕疵 없음을 確認하고 立會者의 確認을 거쳐 委員長 責任下에 結果를 發表한다.



바. 事情變更이 發生時에는,

委員長은 本 趣旨에 違背되지 않는 範圍內에서 適宜調整 할 수 있으며 會長에게 이를 報告하여야 한다.



사. 落選者中

再審要請이 있을 경우 이를 다시 審査하지 아니한다.

[출처] -漢詩協會考選準則-



第 1次 失格 判定은 다음 表에 該當하는 詩를 말한다.



∘ 皆仄頭 … 各行 첫 자가 전부 높다.(不可)

(但 各行 첫 자가 1자라도 낮으면 무관)



∘ 皆平頭 … 各行 첫 자가 전부 낮은 것.(不可)

(但 各行 첫 자가 1자라도 높으면 무관)



∘ 犯題 … 題目 字가 承句, 轉句에 들어가 있는 것.(不可)

(제목이 4字 이하에 해당)



∘ 蜂腰 … ●●●○●●○ (但 第 3, 5字를 平으로 하면 無關)



∘ 鶴膝 … ○○○●○○● 上 三字가 낮아 孤仄이 된 경우

(第 5字를 높이(측성으로) 면 무관)



∘ 意疊 … 율시 한 수 中에 같은 의미를 두 번 쓰는 것(不可)

(例, 偉績 : 大功)



對句 적용

對句 적용

󰠆

󰠐󰠐󰠐󰠐󰠐

󰠌

色譜 : 함련, 경련에 다 색을 넣는 것(不可)

首聯이나 尾聯에 1字는 무방

數譜 : 함련, 경련에 다 숫자를 넣는 것(不可)

首聯이나 尾聯에 1字는 무방

人譜 : 함련, 경련에 다 人名을 넣은 것(不可)

主客對 : 제목의 단어를 대구에 쓰는 것(不可)

首聯이나 尾聯에 쓰는 것은 무방





色譜 : 함련, 경련에 다 색을 넣는 것(不可)

(首聯이나 尾聯에 1字는 무방)



數譜 : 함련, 경련에 다 숫자를 넣는 것(不可)

(首聯이나 尾聯에 1字는 무방)



人譜 : 함련, 경련에 다 人名을 넣은 것(不可)



主客對 : 제목의 단어를 대구에 쓰는 것(不可)

(首聯이나 尾聯에 쓰는 것은 무방)



∘ 違題 … 題目의 뜻이 없는 것.



∘ 違廉 … 平, 仄이 不合 하는 것.



∘ 簾不合 … 一名, 가시개 簾이며 句와 句 사이에 平仄 연결이 안 된 것. (不可)



∘ 對不合 … 對의 單語가 맞지 않는 것.



∘ 三字高, 三字平 … (이는 下 三高, 下 三平)을 말함



∘ 疊字 … 漢詩 一首 내에 同一字는 不用 但, 同行에는 無關 함.



∘ 蟬聯體 … 시의 맨 아래 字를 다음 句에 물고 들어가는 것(不可)



∘ 相替簾 … 옆 句의 平仄을 서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可)



∘ 蒙上簾 … 平이나 仄이 될 자리에 반대로 되어, 위 글자를 힘입어 되는 것(不可)





第 9 條 平仄 共用 文字 選定



가. 考選(作詩) 時 平聲과 仄聲으로 共用 할 수 있는 通高低字를

     나項과 같이 規定 한다.



나. 强, 論, 望, 聞, 防, 思, 先, 汚, 要, 應, 任, 治 (12字)



[출처] -漢詩協會考選準則-


'漢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西山大師 白華道人(休靜) 시모음  (0) 2023.07.26
육유 [ 陸游 ] 示兒 (시아)  (0) 2023.07.25
對酌 /白居易  (0) 2023.06.05
동심초 해석  (0) 2023.01.10
密陽十景 (사가집 서거정)  (0) 2023.01.06

2月 漢詩

詩題 : 迎春有感

押韻 : 排. 佳. 階. 偕. 懷

 

迎春有感

                源堂   徐昌植

 

春日和風冷氣排(춘일화풍냉기배) 봄날 화풍에 냉기가 물러나고 

蘇生萬物此時佳(소생만물차시가) 만물이 소생하는 아름다운 시기에

含煙柳眼垂江岸(함연류안수강안) 연기 머금은 버들눈은 강언덕에 드리우고

吐馥梅花綻石階(토복매화탄석계) 향기를 토하는 매화는 돌계단앞에서 피어나네

營事亨通康樂得(영사형통강락득) 경영하는 일이 형통하고 강락이 이루어지고

齊家敦睦吉祥偕(제가돈목길상해) 제가 돈목하며 좋은 일이 함께하네

東君布德良辰到(동군포덕양신도) 동군이 덕을 베푸는 좋은 때가 왔어니

今歲登豊所望懷(금세등풍소망회) 올해도 풍년이 들기를  소망하는 마음을 품어보네

'나의 漢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年 1月 漢詩  (1) 2024.01.23
12월 한시  (0) 2024.01.16
11月 漢詩  (0) 2024.01.16
11월 漢詩  (1) 2023.11.13
2023년 전국한시백일장 참가시  (0) 2023.10.30

漢詩 基礎 (李應春 編著)

 

1. 漢詩 理解

漢詩 漢文으로 짓는 .

특히 漢字는 뜻글자이므로 나타나는 여러 現狀을 한 글자 혹은 두 글자로 含蓄하여 表現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이 내린다고 하는 말을 단 두 글자인 降雪로 표현할 수 있고 게다가, 눈이 바람에 날리는 모습은 飛雪, 쌓인 눈은 積雪, 흰눈은 白雪 등등 그 표현이 多彩롭다. 요즘도 우리가 자주 使用하는 四字成語 故事成語 漢字가 아니면 표현할 수 없는 特徵的 要素. , 내가 어떤 무서운 狀況에 빠져 머리카락이 곤두서고, 온몸에 소름이 돋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할 때 毛骨悚然이라고 단 네 글자로 표현할 방법은 漢字밖에 없다. 이런 表意文字를 가지고 내 마음의 感情 表現하는 것이 漢詩 眞情 魅力이다.

 

.  起源

노래와 춤은 人間 起源과 함께한다. 太初부터 人間 言語가 있었고 同時 祈願이 있었다.  祈願 中心에는 늘 노래와 춤이 있었다.

書經 虞書 舜典 帝曰 詩言志 歌永言

. 詩經

春秋時代 孔子께서 당시 民間에서 口傳되던 노래들을 가리고 뽑아 300餘 首 整理하였는데 後世 사람들은 이것을 詩經이라고 부른다.

史記 古者有詩三千餘篇 孔子其中輯三百 所以可施於禮義者

孔子께서는 論語 爲政篇에 이렇게 말씀하셨다.

詩三百 一言以蔽之 思無邪

그리고는 아들 伯魚에게 이런 말을 하였다.

女爲周南召南矣乎 人而不爲周南召南 其猶正牆面而立也與 (論語 陽貨)

 

2. 漢字 特性

. 漢字 六書

1) 象形: 象形文字처럼 자연계의 눈에 보이는 형상을 글자로 나타낸 것. ,,,

2) 指事: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존재하는 것을 형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

3) 會意: 두 개 이상의 글자를 조합하여 한 글자를 만드는데 둘의 의미를 하나로 함축시킨 것이다. ,,,,

4) 形聲: 뜻을 가진 글자와 음을 따온 글자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글자이다. ,,,

5) 轉注: 이미 있는 글자가 세월에 따라 다른 뜻으로 변한 것이다. (==)

6) 假借: 글자 그대로 임시로 빌려서 사용하다가 정착이 된 것이다. 美國 可口可樂

. 漢字 孤立語이다.

한글은 를 지칭하는 의미가 나는, 나의, 나를, 나에게, 나로부터, 내가 따위로 變化를 주어 意味를 바꾸지만 漢字 라고 했을 때는 어떤 경우라도  한 글자로 끝이다. 다만 그 글자가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我幇他(내가 그를 도우다.) 他幇我(그가 나를 도우다.)

我愛爾(나는 너를 사랑한다.) 爾愛我(네가 나를 사랑한다.)

借於我(내게서 빌리다.) 學於爾(네게서 배우다.)

. 漢字 時制가 없다.

이라는 글자는 도울 방으로 '도왔다'던가 '도울 예정'이라는 時制가 없다.

我幇他(내가 그를 도우다.) 以後我幇他(앞으로 내가 그를 도우리라)

昨我幇他(어제 내가 그를 도왔다.) 明日我幇他(내일 나는 그를 도울 것이다.)

. 意味 多樣性

漢字 表意文字라 각기 다른 뜻을 가진 글자를 調合하여 하나의 문장을 이룬다. 그래서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뜻이 확연하게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점을 생각하여 남들이 내 글을 어떻게 해석해 줄까를 염두에 두고 글을 지어야 한다.

어떤 사람이 딸만 하나 두고 喪妻를 했다. 딸은 장성하여 시집을 갔는데 그 후 이웃의 권유로 늘그막에 새장가를 들어 나이 70에 아들을 낳게 되었다. 그런 후 자신이 늙어 죽을 때가 되었는데 아직 어린 자식을 두고 이런 유언을 남겼다.

七十生子非吾子家産傳之壻他人勿取

처음 사위와 딸은 이 말을 이렇게 해석하여 재산을 차지한 채 동생을 키웠다.

七十 生子 非吾子. 家産 傳之壻하니 他人 勿取하라.

그 후 자식이 성장하여 그 글을 보고는 이렇게 해석하여 다시 그 재산을 되찾게 되었다.

七十 生子라고 非吾子리오. 家産 傳之하라.  他人이니 勿取하라.

또한 漢字는 한 글자가 많은 뜻을 가진다. 처음에는 일정한 뜻으로 쓰였으나 세월이 갈수록 뜻이 점점 많아지기 때문이다.

를 들면

은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을 形狀으로 옮긴 象形文字. 그러므로 元來 '새로 생김'이어서 出生 生産 등으로 쓰이다가 出生한 다음의 살아가는 모습과 연결지어 '' 그 자체로 通用된다. 生時, 平生, 生活 捨生取義 따위가 그것이다. 그러다가 살아 있으므로 해서 肉體가 싱싱하니 生生하다가 된다. 말하자면 '낳다' '살아 있다'에서 다시 '날것'으로 혼용된 것이다. 生肉 生果 生鮮 따위가 그것이다. 그러다가 먼저 태어난 사람을 '先生'이라 하게 되고 그래서 이 사람을 뜻하게 되니 儒生 學生 侍生으로 그 의미가 擴張되었다.

 

3. 四聲
漢字에는 聲調가 있는데 이를 넷으로 구분하여 四聲이라 부른다. , 平聲은 낮은 소리이고 上聲은 올라가는 소리, 去聲은 높은 소리이고, 入聲은 내리면서 닫히는 소리이다. 이를 硏究하여 編纂한 것이 韻書.
漢字 5萬餘字 平聲 3,000餘字라면 仄聲 4,700에 이르나 實狀 詩語로 쓰는 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겁낼 것은 없다 하겠다.
玉篇을 보면 平聲, 上聲, 去聲, 入聲 중에서 平聲  上聲  去聲  入聲  에 모든 漢字마다 聲調가 표시되어 있으며, 또 다른 옥편은 平聲 '' 上聲 '' 去聲 '' 入聲 '' 등으로 표시한 것도 있다.


4. 平聲 仄聲
平仄은 일명 '平他'라고도 한다.
위에서 漢字 聲調를 넷으로 구분하여 四聲이라 설명했는데, 그 가운데 平聲은 그냥 平聲이라 하고 나머지 上聲 去聲 入聲  仄聲이라 한다.
) 平聲: 높다고 말함(). 짧은 소리가 많음.
) 仄聲: 낮다고 말함(). 된소리, 긴 발음이 많음. 술밥떡의 받침은 入聲.
) 平聲도 되고 仄聲도 되는 글자: 通高低.
) 같은 글자임에도 平仄이 틀리는 경우: 그 글자의 에 따라.
: = 動詞일 때는 平聲(橫行, 行路, 先行). 名詞일 때는 측성(善行, 行動).
= 副詞 形容詞일 때는 平聲(相對, 相互), 名詞일 때는 측성(宰相, 觀相).
= 動詞일 때는 平聲(復興, 發興), 名詞일 때는 측성(興趣, 醉興).
= 動詞일 때는 仄聲(屛伏), 名詞일 때는 平聲(屛風).
= 徘徊함은 平聲(彷徨), 비슷함은 仄聲(彷佛).


5. 押韻
와 같은 韻文에서 의 처음과 의 끝, 行間 등에 비슷한 , 은 같은  反復해서 文章 整備하는 修辭法이다.
의 첫 에서 押韻하는 것을 頭韻,  에서 押韻하는 것을 脚韻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람 이름 따위로 짓는 삼행시는 모두 頭韻에 해당한다.
漢詩에서는 脚韻法 原則으로 한다. 또한 押韻 平聲韻 仄聲韻이 있다. 일반적으로 白日場 등에서는 대개 平聲韻 選好한다. 平聲韻 上平 15 下平 15으로 나눈다.
韻書  李登이 편찬한 聲韻을 필두로 晉 呂靜 集韻 등이 있으나 본격적인 韻書 나라 陸法言이 지은 廣韻이 있고, 宋 黃公紹가 지은 古今韻會, 明 毛晃韻이 지은 洪武正韻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가운데 홍무정운은 世宗 이후 과거를 볼 때 科試에 사용되었다. 그 후 申叔舟·成三問·金壽山 等 四聲通故 東國正韻을 만들었는데 이것 역시 科擧에서 受試하였다. 또한 正祖 20 御命으로 制定 奎章全韻이 있어 現在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1937年 日帝强占期 出版 詩海韻珠가 지금도 많은 사람이 利用하고 있는 實情이다.
平聲韻 種類는 다음과 같다.
上平
(53)
東同中空公紅風通功窮宮雄鴻叢翁豊充戎楓籠聾虹桐工銅童僮筩衷忠瞳虫終崇弓躬融穹蔥櫳瓏洪聰蓬嵩熊隆蒙濛篷烘沖朧
(37)
冬農龍松從容宗鐘舂封峯攻供蹤儂濃重衡蓉庸胸雍逢縫蜂茸鋒烽蛩慵筇恭鬆墉傭鎔溶
(17)
江窓狵雙腔邦幢缸矼降杠扛撞釭艭瀧跫
(105)
支枝移爲垂吹奇陂碑宜時詩知之疑遲期思師眉絲碁池持辭詞醫滋兒龜芝旗姿馳隨巵籬披炊湄基儀姬皮痴規夷遺施誰司箕茲慈祠帷怡私斯治飴肌推頤漪熙彛資覊陲鸝脂著茨麾維騎卑窺追雌錐梨匙髭伊葵蕤緇歧欹墀離差衰欺飢危椎悲綏逵貽其而
(37)
微薇暉輝徽揮飛衣依肥威機磯稀霏菲扉畿闈妃翬幃圍韋緋騑鞿璣希晞旂祈譏饑違非歸
(33)
魚書漁初居裾車餘鋤踈如虛噓墟輿閭渠蕖余譽胥蔬梳徐廬驢舒除儲畲琚葅諸
(80)
虞愚娛隅儒吾珠圖湖壺無孤梧爐途癯呼俱扶都奴枯鳬株徒烏吳夫雛符租蘇鬚蕪廚殊區驅駒蒲鋪趨朱軀衢沽蘆鱸壚蛛狐迂紆謨濡楡膚姑胡酥摹徂乎腴敷愉襦于盂巫輸幮瑚逋麤樞弧銖竽糊
(28)
齊低迷西啼溪棲鷄泥題妻圭畦携蹄梯奎提犀嘶萋閨臍黎藜犂霓筓
(17)
佳街懷齋階排鞋槐柴釵蛙崖諧儕淮偕霾
(34)
灰開回杯才材臺來梅催栽雷埃苔裁萊台墔醅胎陪魁孩恢財枚罍頹煤摧猜腮培哉
(52)
眞人春新塵民親身仁倫辰隣因寅旻宸臣賓濱綸輪巾茵晨辛薪伸神申麟鱗銀珍津頻巡馴唇嚬均囷紳姻筠旬淳蘋緡陳淪貧秦
(24)
文紋聞雲分紛君軍群勳嚑勤耘醺裙熏欣斤芹芬焚蚊氛云
(37)
元原源園繁孫門根存尊恩樽言藩暄村痕喧昏翻軒呑奔渾論婚敦垣屯魂掀盆猿煩豚暾坤
(39)
寒寬安韓團丹看冠歡欄難闌乾官竿瀾殘干餐盤檀蘭紈鞍灘壇彈觀巒端湍丸單攢蟠酸完肝鸞
(21)
刪還山關間顔閒班彎灣攀環頑慳鬟蠻寰艱鰥潺
下平
(62)
先天年前烟眠邊圓鮮全賢連田錢泉仙川玄緣船然筵禪篇蓮懸肩姸偏絃堅蟬遷聯權拳宣綿千傳牽淵穿專椽虔鈆()鞭鳶燕鵑旋憐阡氈煎娟塡顚塼焉乾
(40)
蕭簫霄朝堯饒橈遙招條樵消宵腰飄標搖潮調苗韶瑤邀謠超蕉嬌驕綃橈昭寥喬銷遼燒澆挑凋僚
(18)
肴巢交郊茅嘲梢包庖敲凹匏抄爻抛膠胞蛟
(17)
豪高毫刀桃袍皐濤曺毛醪勞膏操遭陶騷
(34)
歌多波和科羅河過何柯荷禾阿梭磨坡皤蘿娥蛾摩哦窩蓑窠螺戈他莎婆鵝魔訛峨
(29)
麻花霞家茶華斜沙車牙芽加嘉鴉紗奢遮遐瑕賒衙槎誇葩葭瓜蛙譁笳
(92)
陽長光堂香章芳楊方觴塘粧忘床量鄕忙房蒼郞康桑藏唐腸常皇黃王昌墻行剛羊凉篁揚荒霜裳傍場商囊嘗檣良祥廊裝航岡翔倉糧棠粱强箱秧張莊望梁疆槍筐娘茫妨昻洋芒將坊浪簧凰央鴦薑潢網琅當防倡羗()狂傷湘糖
(63)
庚平明生情淸聲名成評耕迎京晴城輕鶯營笙行鳴兵英橫觥衡榮枰誠程盈精亨征更莖卿盟荊羹縈楹晶撑纓爭擎瓊旌鯨鸚瀛氓兄貞呈嬰櫻賡甍牲烹驚
(33)
靑經聽醒星亭停汀形靈馨翎庭屛寧齡笭廳銘溟腥甁萍扄螢零舲鈴蓂坰霆冥蜓
(40)
蒸能登燈朋氷繩僧陵凝稱層增騰稜澄憑興昇承仍乘丞藤勝曾鷹鵬徵膺肱蠅譍矜憎懲綾菱恒弘
(56)
尤流遊秋樓頭收愁休舟求鷗州浮留洲牛鉤謨侯裘由投郵幽溝疇籌優儔周修柔稠抽謳酬鳩甌劉邱毬油憂騮悠榴眸喉漚猴楸羞旒猷遒
(26)
侵尋林深心今音金襟陰琴禽臨簪昑岑沉砧森箴霖斟潯鍼衾欽
(24)
覃潭南男甘三談含蠶酣函庵貪驂藍涵嵐參龕探慙柑諳堪
(31)
鹽纖廉簷嚴簾兼霑籤添瞻蟾潛炎縑占淹甜()奩拈尖謙髥嫌黏恬閻鎌蒹黔帘
(9)
咸緘帆巖衫杉銜醎凡

 

6. 漢詩 種類

. 形式別로는 四言詩(詩經  千字文) 五言詩 六言詩 七言詩 長短句 

長短句 

. 題材別로는 宮體詩 遊仙詩 畫題詩 挽詩=輓詩 詠史詩 

. 創作方式別로는 和答詩 次韻詩 擬古詩 回文詩 雜體詩 

 

回文詩  : 秋興 - 李應春

年度循環必有緣 緣回金氣滿秋天

天心望野農夫快 快意觀楓賞客連

連酒陶翁心逸趣 趣䲐張老夢何憐

憐紅艶紫當華麗 麗穀登豊願每年

 

雜體詩  : 三五七言 - 李白

秋風淸 秋月明

落葉聚還散 寒鴉栖復驚

相思相見知何日 此時此夜難爲情

 

 - 朝鮮 權韠

松 松

傲雪 凌冬

白雲宿 蒼苔奉

夏花風暖 秋葉霜濃

直幹聳丹壑 淸暉連碧峰

影落空壇曉月 聲搖遠寺殘鐘

枝飜凉露驚眠鶴 根揷重泉近蟄龍

初平服食而鍊仙骨 元亮盤桓兮蕩塵胸

不必要對阮生論絶品 何須更令韋偃畵奇容

乃知獨也靑靑受命於地 匪爾後凋之姿吾誰適從

 

7. 對偶

對偶는 글자 그대로 左右 文章이 서로 짝을 이루도록 排置하는 것이다.  漢詩 一聯 두 줄을 文法的으로는 물론 相應하는 部位 語彙 性質까지 서로 精巧하게 對應되도록 構成함으로써 앞 행이 앞 행만으로 끝나지 않고 뒤 행이 뒤 행만으로 끝나지도 않으며 앞뒤 행이 서로 어우러져 한 次元 더 높은 表現美 具現하도록 구성한, 漢詩의 가장 核心的 修辭法 중 하나이다.

對偶는 다른 말로 對句, 對仗, 排偶 등으로 표현된다.

 

. 對偶 種類

1) 正對: 서로 비슷한 내용을 .

善意/良心 美俗/良風 守義/成仁 盡力憂民/傾誠保國

錦繡江山/平和宇宙 風調雨順/國泰民安 開來繼往/溫故知新

2) 反對: 서로 뜻이 상반된 내용의 .

善意/邪心 昇天/落地 忠臣/逆賊 驚天/動地

奸臣賊子/烈士賢君 美俗良風/甘言利說

. 王力 漢語詩律學에서 分類 分類法

1) 천문(天文) : 天 空 日 月 風 火 雨 露 霜 雪 雲 霧 煙 氣 陰 陽 

2) 시령(時令) : 年 月 日 時 春 夏 秋 冬 晝 夜 朝 晚 晨 夕 午 宵 

3) 지리(地理) : 山 川 土 地 巖 石 城 市 道 路 郡 縣 島 嶼 峽 谷 

4) 궁실(宮室) : 宮 室 廟 堂 樓 臺 窓 戶 倉 庫 垣 墻 房 舍 館 閣 

5) 기물(器物) : 枕 席 床 榻 香 燭 筵 角 刀 劍 鐘 鼓 燈 鏡 舫 車 

6) 의식(衣飾) : 衣 裳 冠 帽 巾 帶 杖 履 靴 屐 簪 纓 扇 旒 旆 釵 

7) 음식(飮食) : 飯 饌 菜 蔬 酒 肴 茶 菓 饘 羹 湯 餠 醬 藥 粥 蜜 

8) 문구(文具) : 紙 筆 墨 硯 書 冊 琴 瑟 卷 軸 簫 笛 簡 策 籌 筒 

9) 문학(文學) : 文 字 章 句 詩 書 詞 賦 典 籍 圖 畵 碑 碣 歌 辭 

10) 초목화과(草木花果) : 草 木 枝 葉 菊 花 松 柏 楊 柳 桃 李 柑 橘 

11) 조수충어(鳥獸蟲魚) : 燕 雀 鴻 雁 牛 馬 鷄 犬 龍 蛇 虫 蟬 鯉 魚 

12) 형체(形體) : 心 身 耳 目 手 足 顔 面 胸 背 齒 牙 聲 音 容 色 

13) 인사(人事) : 品 行 恩 怨 愛 憎 意 志 談 笑 歌 舞 醉 夢 功 名 

14) 인륜(人倫) : 父 母 兄 弟 君 臣 夫 婦 子 女 朋 友 農 工 商 王 

15) 대명대(代名對) : 吾 我 余 予 汝 爾 君 子 他 誰 何 孰 或 自 者 

16) 방위대(方位對) : 東 西 南 北 前 後 左 右 上 下 中 外 裏 邊 

17) 숫자대(數字對) : 一 十 百 千 萬 孤 獨 兩 數 幾 半 再 群 諸 衆 

18) 색채대(色彩對) : 靑 黃 黑 白 紅 綠 赤 紫 翠 蒼 朱 金() () 

19) 간지대(干支對)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甲 乙 丙 丁 

20) 인명대(人名對) : 王名을 포함한 사람의 이름 字 號 諡號 官職名 

21) 지명대(地名對) : 特定 地域 國號 包含 山名 水名 地名 

22) 동의연용자(同義連用字) : 行役 鼓聲 등 비슷한 뜻을 연이어 쓴 자

23) 반의연용자(反義連用字) : 興亡 今古 등 상반된 뜻을 연이어 쓴 자

24) 연면자(連綿字) : 寂寞 凄涼 蟋蟀 鴛鴦 등 연접시켜 만든 합성어

25) 중첩자(重疊字) : 處處 寂寂 時時 厭厭 등 동일한 글자의 중첩어

26) 부사(副詞) : 猶 雖 且 更 已 將 卽 皆 豈 每 亦 却 欲 莫 不 未 

27) 연개사(連介詞) : 與 和 共 同 幷 還 於 而 則 于 因 爲 

28) 조사(助詞) : 也 矣 焉 施 哉 歟() 乎 耶 爾 然 止 之 등 어조사

 

8. 漢詩 展開

. 어려운 단어나 글자를 피하고 쉬운 단어를 선택함.

 

松都懷古 - 權韐(朝鮮前期文臣)

雪月前朝色 寒鐘故國聲

南樓愁獨立 殘郭暮煙生

 

送僧之楓嶽 - 成石璘(麗末鮮初文臣)

一萬二千峰 高低自不同

君看日輪上 何處最先紅

 

. 虛辭 選擇 愼重

虛辭 名詞 動詞 形容詞 따위가 아닌 助辭 等을 말하는데 다음과 같다.

1) 終結詞: 문장 끝에 붙이는 글자. 也 矣 哉 與 歟 乎 焉 邪 耶 耳

2) 介詞: 名詞 앞에 붙어서 補助하는 것. (~) 於 于 乎(~) 與 及(~) 自 由(~부터) (~에게) (비해) 被 爲(~되다)

3) 連詞(接續詞): 而 則=卽 故 抑(혹 아니라면)

4) 副詞: 문장을 수식하는 것. 卽 又 亦 猶=(오히려) 曾 但=(다만) (마침내) (바야흐로) (장차) (이에) (마침내) (도리어)

5) 助動詞: 可 得 能 克(~할 수 있음) (~해야 함) (~할 만함) (~ 했었다)

6) 代名詞: 斯 伊 玆 這() () 之 所 何 葛 奚 豈(어찌)

黃山谷  虛字가 없어야 한다고 했으며, 趙孟頫는 특히 中間 對偶   虛字가 없어야 한다고 했다. 어쨌든  虛字가 없을 수는 없지만 매우 愼重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이 많다.

. 詩讖을 경계함.

漢詩는 자신의 進學 修身에 뜻을 두며 결코 退行的 思考 止揚한다. 따라서 한시에는 詩讖이라는 말을 경계한다. 詩讖이란 아무 생각 없이 지은 시가 나중에 자신의 운명과 우연히 맞아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말하자면 글은 自身의 거울이니 늘 進取的이고 肯定的 感懷를 가진 사람이 쓴 는 남들에게도 아름다운 波及效果를 가지지만 懷疑的이고 退行的인 생각을 적은 글은 그 自身이 스스로 자신의 情緖 埋沒되는 일이 많다는 뜻이다.

許蘭雪軒 夢遊廣桑山이란 .

碧海侵瑤海 靑鸞依彩鸞

芙蓉三九朶 紅墜月霜寒

蘭雪은 이에 三九二十七歲세 때 죽었다.

 

의 유명한 妓生 薛濤 8살 때 梧桐나무를 두고 이런 시를 지었다.

枝迎南北鳥

葉送往來風

그녀의 아버지는 딸의 재주에 감탄하면서도 문득 불길함을 느꼈는데 나중에 결국 萬人의 사랑을 받는 기생이 된다.

 


9. 詩文의 構成

詩文의 構成에는 여러 方法과 方向이 있으나 앞으로 習得해 나가도록 하고 무엇보다도 强調할 點은 쉬운 글자로 感情을 表現하고, 普通의 平凡한 單語로 讀者를 感動시켜야 한다.

가. 五言詩의 構成

1. 韻律: 江碧/鳥逾白 山靑/花欲然 今春/看又過 何日/是歸年

2. 韻字: 둘째 줄과 넷째 줄의 마지막 글자.

3. 平聲과 仄聲

平仄의 排列

平起式 五言絶句 - 李應春 仄起式 五言絶句 - 王之渙
◑◯ ◯●●
◑● ●◯◎
●● ◯◯●
◯◯ ●●◎

戌時 逢酒黨
酬酌 喜交情
罷席 歸之者
明宵 反復行

●● ◯◯●
◯◯ ●●◎
◑◯ ◯●●
◑● ●◯◎

白日 依山盡
黃河 入海流
欲窮 千里目
更上 一層樓
平起式 五言律詩 - 李應春 仄起式 五言律詩 - 李應春
◑◯ ◯●●
◑● ●◯◎
●● ◯◯●
◯◯ ●●◎
◑◯ ◯●●
◑● ●◯◎
●● ◯◯●
◯◯ ●●◎

昨年尋訪處
今再祖孫行
行李包心急
旅裝負步忙
兒孫當得意
父祖願呈祥
倭國雖讐國
自然豈敢量

●● ◯◯●
◯◯ ●●◎
◑◯ ◯●●
◑● ●◯◎
◑● ◯◯●
◯◯ ●●◎
◑◯ ◯●●
◑● ●◯◎

昨日迎庚子
於焉餞別辰
患憂忘舊歲
希望待新春
席上醇醪有
盤中煎餠伸
今宵先大醉
醒後遠囂塵
나. 七言詩의 構成

七言詩는 한 줄이 일곱 글자로 이루어진 것인데 일단은 ○○○○ ○○○의 배열로 되어 있고 좀 더 세분하여 들여다보면 ○○ ○○ ○○○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七言詩는 첫째줄도 韻字를 쓰는데 어떤 경우는 운자를 쓰지 않을 때도 있다. 운자를 쓸 때 絶句는 韻이 셋이요, 律詩는 韻字가 다섯이 된다.

 

平仄의 排列

平起式 七言絶句 - 蓮湖亭, 李應春 仄起式 七言絶句 - 蓮湖亭, 李應春
◑◯◯● ●◯◎
◑●◯◯ ●●◎
◑●◑◯ ◯●●
◑◯◯ ●●◯◎

蔚珍名所藕池基
新築蓮亭百感思
水上浮游圖畫閣
武陵仙境此存知

◑●◯◯ ●●◎
◑◯◑● ●◯◎
◑◯●● ◯◯●
◑●◯◯ ●●◎

蔚邑蓮湖祕境基
月亭新築賀心思
水中聳出芙蓉閣
閬苑仙區對等知
平起式 七言律詩 - 秋聲, 李應春 仄起式 七言律詩 - ...胎室, 李應春
◑◯◑● ●◯◎
◑●◯◯ ●●◎
◑●◑◯ ◯●●
◑◯◑● ●◯◎
◑◯●● ◯◯●
◑●◯◯ ●●◎
◑●◑◯ ◯●●
◑◯◑● ●◯◎

商風蕭颯報秋聲
不海狂濤斷續生
蟋蟀爭鳴如奏瑟
蟬蜩合唱似吹笙
鴻音萬里星光潔
砧響三更夜氣淸
賦汝歐翁多有感
吾人耽讀雅懷盈

◑●◯◯ ●●◎
◑◯◑● ●◯◎
◑◯●● ◯◯●
◑●◯◯ ●●◎
◑●◑◯ ◯●●
◑◯◯● ●◯◎
◑◯●● ◯◯●
◑●◯◯ ●●◎

昆邑王家胎室基
世端兩廟奉安怡
當時吉地官能擇
此後荒墟孰可知
收拾石材初物反
復元墳墓舊形追
傳承歷史何疏忽
痕迹無言歲月移
 

10. 犯則의 理解

 

가. 違題 : 시의 內容이 題目과 다른 경우를 말함.

나. 違廉 : 平聲과 仄聲의 排列이 틀리는 것. 즉 二四不同二六同 違背.

다. 犯題 : 首聯 尾聯을 제외한 對句 聯은 題目의 글자가 들어가서는 안 된다. 다만 제목이 다섯 글자 이상일 때는 許容하나 原則的으로는 피함.

라. 對不合 : 頷聯과 頸聯의 글자는 반드시 옆의 글자와 對가 되어야 함. 원래는 한 글자 한 글자가 모두 對가 되어야 하나 경우에 따라 意味로 對를 이루어도 認定하는 경우가 있음.

마. 疊字 : 같은 글자가 두 번 들어가면 안 됨. 다만 같은 줄에서는 무관함. 예를 들어 花不送春春自去 人非迎老老相侵과 같이 같은 句에는 두 번 혹은 세 번 들어가도 된다. 또 한 句의 마지막 글자나 단어가 다음 구의 첫머리를 장식할 때도 가능하다. 人言生死㧾由天 天若爲之我奈何 혹은 幽人高置愛雲峽 雲峽山庵悏素心

바. 疊意 : 위의 경우처럼 같은 뜻의 의미가 겹쳐도 안 됨. 예를 들어 靑天이란 글자를 썼는데 뒤에 다시 碧落이라고 해서 뜻이 중첩되면 안 됨.

사. 孤平·孤仄 蜂腰·鶴膝: 모든 句의 네 번째 글자와 여섯 번째 글자가 平聲인데 앞과 뒤의 글자가 仄聲인 경우를 孤平 혹은 蜂腰라 함. 花不送(측)春(평)別(측)自去 혹은 儒生挾冊上(측)書(평)室(측)

또한 그 글자가 仄聲인데 앞과 뒤의 글자가 平聲인 경우를 孤仄 혹은 鶴膝이라 함. 人非迎(평)老(측)耆(평)相侵 혹은 農者牽牛耕(평)野(측)田(평)

*. 다만 五言絶句에서는 첫 구의 둘째 字가 孤平, 孤仄이면 안 된다.

아. 下三平·下三仄(下三連) : 모든 구의 맨 아래 세 글자가 모두 평성 혹은 측성인 경우.

자. 平頭·仄頭 : 각 구의 첫 글자가 모두 平聲 혹은 仄聲인 경우.

차. 數譜·色譜 : 數字나 色이 네 번 들어가면 안 됨. 세 번은 허용함. 이때 한 줄에 여러 번 들어가는 것은 한 번으로 봄.

카. 重疊字도 마찬가지로 네 번 들어가면 안 된다. 堂堂 疊疊....

 

'漢詩 作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漢詩 격식 용어풀이  (0) 2022.02.19
24詩品  (0) 2020.12.09
漢詩의 구성 法則 살펴보기  (0) 2020.12.09
漢詩基礎  (0) 2020.07.28
漢 詩 作 法  (0) 2020.07.28

 

 

 

 

 

 

 

 

 

 

 

 

 

 

 

 

 

 

 

 

 

 

 

 

 

'서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중후기의 한글서예  (7) 2023.05.29
서예한글  (0) 2023.03.06
서예체본  (0) 2023.03.06
왕희지 난정서  (1) 2023.01.13
嘉言集2.  (0) 2023.01.07

1月 漢詩

詩題 : 冬 夜

押韻 : 蕭 . 飄 . 韶 . 消 . 邀 

 

冬夜

                源堂   徐昌植

 

寒風冬夜四圍蕭(한풍동야사위소)  참바람부는 겨울밤 사위가 소슬한데

蟄伏窓邊落葉飄(칩복창변낙엽표)  칩복하는 창가에는 낙엽만 나부끼네

閒老擁爐懷舊歲(한로옹로회구세)  한가한 노인은 난로가에서 지난세월를 회포하고

騷人休筆待新韶(소인휴필대신소)  시인은 붓을 놓고 새봄을 기다리네

多煩世事心無逸(다번세사심무일)  번뇌가 많은 세상 마음이 편하지 않지만

深醉儒書樂不消(심취유서낙불소)  유서에 심취하니 즐거움이 사라지지 않네

白雲紛紛天地滿(백운분분천지만)  흰눈이 천지에 가득하니

明年登稔吉祥邀(명년등임길상요)  올해 풍년이 들고 좋은일만 맞이 하길 바라네

 

  

'나의 漢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月 漢詩  (0) 2024.03.30
12월 한시  (0) 2024.01.16
11月 漢詩  (0) 2024.01.16
11월 漢詩  (1) 2023.11.13
2023년 전국한시백일장 참가시  (0) 2023.10.30

金海 金官以友會 12월 한시

詩題 : 初冬

押韻 : 時 . 知 . 枝 . 思 . 期 .

 

初冬         

                源堂  徐昌植

 

初冬落木降霜時(초동낙목강상시) 초겨울 잎떨어진 나무에 서리가 내리고

雁陣歸來節換知(안진귀래절환지) 기러기떼 돌아오니 계절이 바뀐것을 알겠네

瑞雪紛紛飛褪葉(서설분분비퇴엽) 서설이 분분하게 빛바랜 나뭇잎에 날리고

寒風弗弗掉孤枝(한풍불불도고지) 찬바람 불어 외로운 가지를 흔드네

奔忙少婦閑居夢(분망소부한거몽) 분망하던 젊은 아낙은 편안히 쉴곳을 꿈꾸고

收穫農夫擊壤思(수확농부격양사) 수확을 끝낸 농부는 격양가를 생각하네

徹夜老翁明燭裏(철야노옹명촉리) 노옹은 밤새도록 밝은 촛불속에서

經書耽讀樂長期(경서탐독낙장기) 경서를 탐독하면서 즐거움이 오래길 바라네

 

密城以友會 12月 漢詩

詩題 : 臘月思鄕

押韻 : 迷 . 凄 . 泥 . 棲 . 題

 

臘月思鄕

              源堂  徐昌植

 

臘月如流世路迷(납월여류세로미) 섣달 물같이 흐르는 세월 세로가 미혹한데

思鄕旅客意凄凄(사향여객의처처) 고향을 생각하는 나그네 마음이 처량하네

天邊舞鶴歸松藪(천변무학귀송수) 하늘가 춤추는 학은 소나무숲으로 돌아오고

江上飛鴻下雪泥(강상비홍하설니) 강위를 날던 기러기는 설니에 내려 앉네

昔日友朋相遠別(석일우붕상원별) 옛날 친구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何時昆弟共同棲(하시곤제공동서) 어느때 형제들과 같이 살아볼런지

孤身異境多餘恨(고신이경다여한) 외로운몸 타향에서 여한이 많아서

寂寞心懷詠賦題(적막심회영부제) 적막한 심회를 시로적어 읊어본다

'나의 漢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月 漢詩  (0) 2024.03.30
2024年 1月 漢詩  (1) 2024.01.23
11月 漢詩  (0) 2024.01.16
11월 漢詩  (1) 2023.11.13
2023년 전국한시백일장 참가시  (0) 2023.10.30

金海 金官以友會 11월 한시

詩題 : 初冬

押韻 : 時 . 知 . 枝 . 思 . 期 .

 

初冬          源堂  徐昌植

初冬落木降霜時(초동목락강상시) 초겨울 잎떨어진 나무에 서리가 내리고

雁陣歸來節換知(안진귀래절환지) 기러기떼 돌아오니 계절이 바뀐것을 알겠네

瑞雪紛紛飛褪葉(서설분분비퇴엽) 서설이 분분하게 빛바랜 나뭇잎에 날리고

寒風弗弗掉孤枝(한풍불불도고지) 찬바람 불어 외로운 가지를 흔드네

奔忙少婦閑居夢(분망소부한거몽) 분망하던 젊은 아낙은 편안히 쉴곳을 꿈꾸고

收穫農夫擊壤思(수확농부격양사) 수확을 끝낸 농부는 격양가를 생각하네

徹夜老翁明燭裏(철야노옹명촉리) 노옹은 밤새도록 밝은 촛불속에서

經書耽讀樂長期(경서탐독낙장기) 경서를 탐독하면서 즐거움이 오래가길 바라네

 

 

 

 

 

 

'나의 漢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年 1月 漢詩  (1) 2024.01.23
12월 한시  (0) 2024.01.16
11월 漢詩  (1) 2023.11.13
2023년 전국한시백일장 참가시  (0) 2023.10.30
10월한시  (1) 2023.10.29


⛰️ 겨울 등산시 유의점

1. 손과 발이 시리면 따뜻한 모자를 써야지요. 
머리는 체온조절의 30%~50%를 담당하고 있다.
보온모자를 쓰지 않으면 마치 라지에터 같이 열을 외부로 발산시킨다.
몸은 추워지면 머리와 같이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우선 따듯하게 하기 위해 팔이나 다리로 피를 덜 보내게 된다.
보온 모자는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도와준다.
손과 발의 동상도 결국 몸 전체의 체온 관리를 잘 못할 때 신체가 머리와 중요 장기만을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시스템이 작동되고 혈액 공급이 충분하지 못해 벌어지는 조직의 괴사와 한기 노출이 겹쳐서 발생한다.
 

2. 체온을 떨어뜨리는 산에서의 복병들 
위로 올라 갈수록 태양에 의해 덥혀진 지표에서 멀어지기에 기온이 떨어지는데, 이것을 기온감률이라고 하며,100m 올라갈 때마다 0.5℃~1.0℃(평균 0.7℃)씩 떨어진다.
그래서 높은 산에 올라가면 시원~한 이유이다.
또한 초속 1m의 바람이 불면 1.6℃도씩 사람이 느끼는 체감온도를 떨어뜨린다.
속초의 기온이 0℃일때, 설악산 대청봉(1,708m)에 초속 5m의 바람이 불고 있다면,
체감온도는 0℃ - (17*0.7) - (1.6*5) = -20℃이다. 
*초속 5m의 바람은 산에서 흔히 만나는
바람으로 선풍기의 약한 바람 정도.
 

3. 등산은 에너지를 생산/보존/절약하는 기술이다. 
산이나 야외에서 체온을 36.5℃로 유지하는 것은 생명 유지의 기본이다.
체온은 신체 내부의 열 또는 에너지이며 등산에 관련된 모든 의류, 장비
그리고 기술은 이 에너지를 잘 관리하는 기술인 셈이다. 
*등산은 99%의 행운이 아니라 1%의
불운에 대비해야 한다.
 

4. 움직일 때 벗고, 멈추었을 때 입어라. 
등산 중에는 외부의 기후와 내부의 체온이 상황에 따라 각각 변하지만,
체온은 항상 36.5℃를 유지하도록 옷을 수시로 입고 벗는다.
속옷은 땀 흡수와 빠른 건조 기능, 보온옷은 보온과 통풍성
그리고 겉옷은 외부의 악조건을 막아주는 기능(방풍/방수 등)을 한다.
등산가일수록 3가지 레이어의 옷을 여러겹 준비하여 자주 옷을 입고 벗는다.
 

5. 식량은 호주머니에 두고 허기지기 전에 먹는다. 
배낭속의 식량은 집에 있는 금송아지와도 같다.
대부분의 조난자들의 배낭 안에는 식량과 보온의류가 충분히 있었다는 통계가 있다.
조난의 주범인 탈진과 저체온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시장기를 느끼기 전에 수시로 식량을 섭취해야 한다.
많이 지친 상태에서는 입맛과 소화능력이 떨어진다.
일행과 같이 올라갈 때 식량이 배낭 안에 있다면 쉽게 꺼내 먹을 수 없고
당신만의 컨디션조절에 실패한다.
 

6. 육포는 비상식으로 적합하지 않다. 
에너지원이 소화.흡수되어 사용되는 순서는 탄수화물-지방-단백질 순이다.
운동 초기에는 탄수화물로부터 얻어진 포도당이 주로 사용되다가 몸이 어느 정도 덥혀지면 지방을 조금씩 분해해서 사용하다가 운동이 3시간 이상 지속되면 주 에너지원은 지방이 된다.
단백질은 평상시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육포는 단백질과 지방이 주성분이고 소화도 잘 안된다.
탈진한 조난자에게 육포를 주면 독을 주는 것과도 같다.
비상식은 가장 빨리 포도당으로 변하는 당질의 탄수화물 식품이 좋다.
사탕, 누가초코렛, 말린 과일 등...
 

7. 땀을 많이 흘리면 건강을 해친다. 
모든 액체는 기체로 증발할 때 주변의 열을 빼앗아 가는데,
이것을 증발열이라고 하며, 냉장고의 원리, 태풍의 에너지원이 된다.
땀이 마를 때 빼앗기는 증발열은 피부가 건조할 때 보다 200배나 많다.
등산중 불필요한 땀을 많이 흘리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여
저체온증에 더 빨리 노출될 수 있다.
땀을 가급적 적게 흘리는 방법은 간단하다.
천천히 걷거나 시원하게 옷을 입는다.
등산은 단순히 운동을 위해 땀을 뻘뻘 흘리며 오르는 뒷산과는 다르다.
 

8, 어떻게 하면 힘들지 않게 산을 오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힘을 절약할까? 로 생각을 바꿔라.
옷과 등산화를 가볍게 하고, 불필요한 짐을 줄이고 배낭이 덜렁거리지 않게 한다.
걷는 다는 것, 오른다는 것은 결국
왼발, 오른발로 무게 중심을 이동해 가는 것이다.
발끝-무릎-명치를 수직으로 일치시킨 다음에 일어서야 힘을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매걸음 마다 뒷다리를 수직으로 곧게 펴고, 앞발을 위로 편하게 올려서
0.5초~1초정도 잠깐 휴식을 취하며,
연속동작으로 지친 다리근육에 피로물질이 빠져나오고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는 시간을 주는 기술이 레스트 스텝이다.
 

9. 등산을 하며 상체운동도 같이 한다. 
하체운동으로 등반만큼 좋은 운동이 없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상체운동은 부족하다.
놀고 있는 손에 스틱을 사용하면
올라가는 힘든 노동을 팔에도 분담시킬 수 있다.
평지에서는 스틱을 양손에 쥐고 뒤로 밀어주는 동작으로
전진하는 힘을 보탤 수 있다.
올라갈때는  스틱을 위로 올려 짚고 팔을 내리 누르는 힘을 주면서
체중을 분산시키며 일어서면 다리근육의 부담을 30% 정도 줄일 수 있다.
내려 올때는 균형잡기도 좋고, 무릎보호도 된다.
한 개만 사용하면 3바퀴로 가는 자동차와 같은 꼴.
 

10. 사점 극복은 자동차의 기어변속과도 같다. 
누구나 심장과 폐의 한계능력에 도달하여 고통스런 순간이 온다.
이것이 사점(Dead Pint)이며 이때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또 다시 사점을 겪게 된다.
사점을 맞이했을 때 조금만 페이스를 낮추고 계속 오르게 되면,
신체는 “어? 이사람이 제법 운동을 강하게 하네”하고
신체의 여러 가지 능력을 높여준다.
즉 자동차 엔진에 힘을 붙여 기어를 변속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 상태를 세컨드 윈드(제2의 호흡) 라고 하며 산소 섭취 능력이 높아지고
엔돌핀이 피로/고통 물질을 제거하여 힘들지 않고 힘차게 오를 수 있다.
 

11. 발목을 잡는 등산화? 
인체의 발목은 유연하게 움직여야 균형을 잘 잡는다.
그 발목을 등산화로 조여주고 있으면 발목 유연성이 떨어져
더 잘 넘어지거나 삐끗한다.
목이 긴 중등산화는 눈이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보온력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겨울철이나 험한 곳을 오를때 적합하다.
춥지 않은 계절에 보통 등산로를 오를 때는 목이 짧고 가벼운 경등산화가 더 좋다.
마찰력이 낮은 바닥창은 힘을 더 많이 쓰게 만든다.
마찰력이 좋은 바닥창은 몸이 사뿐해 진다.
그러나 부틸고무를 많이 사용하여 마찰력을 높이면 마모는 더 잘된다.


12. 조금 큰 배낭을 사용한다. 
조금 여유있게 큼지막한 배낭을 사용하여 수납을 편하게 해야 한다.
짐이 적게 들어가 헐렁해진 배낭은 옆의 당김끈을 사용하여 조여 준다.
골반뼈를 감싸듯이 허리벨트를 착용하면 배낭무게가 분산되어
어깨의 부담을 덜 수 있다.


'산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타산 베틀바위  (0) 2023.03.26
우리나라 22개 국립공원  (0) 2023.01.30
마산 진북 편백나무 숲  (1) 2023.01.29
채계산 출렁다리  (0) 2023.01.18
순창 용궐산 산행  (0) 2023.01.18

『천자문』에 등장하는 인물 41명

 

등장인물 시대 배경 주요 특징 천자문 출처
龍師 상고(上古)시대 삼황오제 중 한 명인 태호복희씨. 팔괘 (八卦) 창제 [10] 龍師火帝
火帝 상고(上古)시대 삼황오제 중 한명인 염제 신농씨. 인류에게 불과 농사법 전수 [10] 龍師火帝
鳥官 상고(上古)시대 삼황오제 중 한명인 소호금천씨 [10] 鳥官人皇
人皇 상고(上古)시대 삼황오제 중 한명인 전욱고양씨 [10] 鳥官人皇
陶唐 기원전 2300년경 요(堯)임금. 동양 최고의 태평성대로 일컫는 ‘요순의 치(治)’를 이룩한 성군(聖君) [12] 有虞陶唐
羲氏 요임금 羲叔,羲仲으로도 불림. 和氏와 함께 천문관측을 하고 책력 만듬. [119] 羲暉朗曜
有虞 기원전 2200년경 순임금. ‘요순의 치(治)’를 이룩한 성군(聖君) [12] 有虞陶唐
기원전 2100년경 夏나라 시조. 治水 성공으로 선양받음 [77] 九州禹跡
殷湯 기원전1766년 건국 이름은 履(리). 成湯(성탕), 商(殷)나라 시조인 탕임금 [13] 周發殷湯
伊尹 商(殷)나라 개국공신이자 국가체제기반을 확립한
賢臣
[67] 磻溪伊尹
傅說 殷나라 고종 은나라를 중흥시킨 宰相 [70] 說感武丁
武丁 殷나라 은나라 22대 임금인 고종 [70] 說感武丁
周發 기원전1123년건국 이름은 姬發. 周나라 시조인 무왕 [13] 周發殷湯

 

등장인물 시대 배경 주요 특징 천자문 출처
呂尙 周나라 강태공. 주나라 개국공신. 제나라 시조 [67] 磻溪伊尹
周公旦 周나라 이름은 姬旦. 무왕의 동생. 국가체제 확립. 󰡔주역󰡕효사와 󰡔주례󰡕지음. 聖人 [68] 微旦孰營
桓公 춘추시대 齊 군주. 춘추오패 중 제 1 패자 [69] 桓公匡合
史魚 춘추시대 衛영공 때 대부. 주검으로써 直諫. [85] 史魚秉直
毛嬙 춘추시대 越왕 구천의 후궁. 『장자』에 미인으로 언급됨 [118]毛施淑姿
西施 춘추시대 越나라 출신. 吳왕 부차의 寵姬. 오나라 멸망에 역할 [118]毛施淑姿
任公子 전설 󰡔장자󰡕에 나오는 고대 전설 속의 어부 [116]鈞巧任釣
熊宜僚 춘추시대 楚 혜왕 때의 장군. 공돌리기의 달인. 大力士 [115]布射僚丸
墨子 전국시대 묵적. 겸애와 非攻사상 설파 [25] 墨悲絲染
孟軻 전국시대 맹자(기원전370?∼280?).추나라 출신. 󰡔맹자󰡕 저술 [85] 孟軻敦素
韓非子 전국시대 韓나라 출신으로 법가 창시. 󰡔한비자󰡕 저술 [74] 韓弊煩刑
白起 전국시대 秦나라 名將(기원전293~258). 趙나라를 대파하고 병사 40만 생매장 [75] 起翦頗牧
王翦 전국시대 秦나라 名將(기원전293~223). 통일국가 개국공신 [75] 起翦頗牧
廉頗 전국시대 趙 혜문왕 때 명장(기원전310~237). 인상여와 刎頸之交의 고사성어 주인공 [75] 起翦頗牧
李牧 전국시대 趙나라 명장. 흉노족 격퇴. 기원전 229년 王翦에 의한 反間計로 처형당함. [75] 起翦頗牧

 

 

 

등장인물 시대배경 주요 특징 천자문출처
蒙恬 秦始皇 秦나라 장군(기원전221~209). 흉노족 격퇴. 만리장성 완공. 붓 발명 [116]恬筆倫紙
蕭何 漢나라 개국공신. 국가체제 정비 [74] 何遵約法
綺里季 漢나라 은둔처사인 商山四皓의 한 명. 혜제의 폐세자 막음 [70] 綺回漢惠
漢惠 漢나라 혜제(기원전210~188).한고조와 여태후의 子. [70] 綺回漢惠
疏廣 漢나라 선제 때 태자의 스승. 기원전 70년 사직 [91] 兩疏見機
疏受 漢나라 소광의 조카. 태자의 스승. 기원전 70년 사직 [91] 兩疏見機
杜操 漢나라 후한 장제 때의 宰相. 초서체의 대가 [61] 杜稿鍾隸
蔡倫 漢나라 후한시대 중기 환관. 105년 종이발명 [116]恬筆倫紙
呂布 삼국시대 후한말기~삼국시대 맹장. 천리마와 명사수로 유명 [115]布射僚丸
馬鈞 삼국시대 위나라 출신 기계발명가 [116]鈞巧任釣
鍾繇 후한~위 후한때부터 벼슬을 하여 위나라 재상 역임(151~230). 예서체.해서체.행서체의 宗主 [61] 杜稿鍾隸
嵇康 삼국시대 위나라 출신. 죽림칠현의 한 명. 거문고로 유명 [115]嵇琴阮嘯
阮籍 삼국시대 위나라 출신(210~263). 죽림칠현의 괴짜시인. 휘파람으로 유명 [115]嵇琴阮嘯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동하기 쉬운 漢字  (3) 2023.11.25
樂志論  (1) 2023.11.13
治家格言  (1) 2023.11.13
修身格言  (1) 2023.11.13
心命歌 .  (1) 2023.11.13

혼동하기 쉬운 漢字

1).佳 아름다울 가(佳人가인).   住 살 주(住宅주택) .  往 갈 왕(往來왕래)

 2).閣 누각 각(樓閣누각).   閤 쪽문 합(守閤수합)

 3). 刻 새길 각(彫刻조각) .  核 씨 핵(核心핵심).   該 그 해(該當해당)

 4). 殼 껍질 각(貝殼패각).   穀 곡식 곡(穀食곡식).   毅 굳셀 의(毅然의연)

 5). 幹 줄기 간(基幹기간).   斡 구를 알(斡旋알선)

 6). 干 방패 간(干城간성) .  于 어조사 우(于先우선)

 7.) 鬼 귀신 귀(鬼神귀신).   蒐 모을 수(蒐集수집)

 8). 減 덜 감(減少감소) .  滅 멸망할 멸(滅亡멸망)

 9). 甲 첫째천간 갑(甲乙갑을) .  申 펼 신(申告신고).   由 말미암을 유(理由리유) . 田 밭전(田畓전답)

 10). 鋼 굳셀 강(鋼鐵강철) .  綱 벼리 강(綱領강령).   網 그물 망(魚網어망)

 11). 腔 빈속 강(腹腔복강) .  控 당길 공(控除공제)

 12). 儉 검소할 검(儉素검소).   險 험할 험(險難험난) .  檢 검사할 검(點檢점검)

 13). 件 물건 건(要件요건).   伴 짝 반(同伴동반)

 14). 建 세울 건(建築건축).   健 건강할 건(健康건강)

 15). 犬 개 견(猛犬맹견).   大 큰 대(大將대장).   丈 어른 장(方丈방장) .  太 클 태(太極태극

 

16). 坑 구덩이 갱(坑道갱도).   抗 겨룰 항(抵抗저항)

17). 堅 굳을 견(堅實견실).   竪 세울 수(竪立수립)

18). 決 결단할 결(決定결정).   快 쾌할 쾌(豪快호쾌)

19). 境 경계 경(終境종경).   意 뜻 의(謝意사의)


20). 更 고칠 경(變更변경).  吏 벼슬 리(吏房리방) .  曳 끌 예(曳引예인)

21). 競 다툴 경(競爭경쟁).   兢 삼갈 극(兢戒극계)

22). 頃 잠깐 경(頃刻경각).頂 정수리 정(頂上정상)項 목덜미 항(項目항목)

23). 計 셈할 계(計算계산).   訃 부음 부(訃音부음)

24). 戒 경계할 계(警戒경계).   戎 병기 융(戎車융거)

25). 季 철 계(季節계절). 李 자두 리(行李행리).秀 빼어날 수(優秀우수)

26). 階 설돌 계(階段계단).   陸 뭍 륙(陸地육지)

27). 苦 괴로울 고(苦難고난).   若 만약 약(萬若만약)

28). 孤 외로울 고(孤獨고독).   狐 여우 호(白狐백호)

29). 困 곤할 곤(疲困피곤).囚 가둘 수(囚人수인) . 因 인할 인(因緣인연)

30). 汨 빠질 골(汨沒골몰).   泊 쉴 박(宿泊숙박)

31). 勸 권할 권(勸善권선).   權 권세 권(權利권리)

32). 攻 칠 공(攻擊공격). 切 끊을 절(切斷절단).巧 공교로울 교(技巧기교)

33). 寡 적을 과(多寡다과).裏 속 리(表裏표리). 囊 주머니 낭(行囊행낭)

34). 壞 무너질 괴(破壞파괴) .  壤 흙 양(土壤토양)

35). 科 과정 과(科目과목).   料 헤아릴 료(料量료량)

36). 拘 잡을 구(拘束구속).   抱 안을 포(抱擁포옹)

37). 汲 물길을 급(汲水급수) 吸 마실 흡(呼吸호흡)

38). 貴 귀할 귀(富貴부귀).   責 꾸짖을 책(責望책망)

39). 斤 근 근(斤量근량) .  斥 물리칠 척(排斥배척)

40). 己 몸 기(自己자기) .  已 이미 이(已往이왕)

41). 瓜 오이 과(木瓜목과).   爪 손톱 조(爪牙조아)

42). 肯 즐길 긍(肯定긍정) .  背 등 배(背信배신)

43). 棄 버릴 기(棄兒기아) .  葉 잎 엽(落葉락엽)

44). 難 어려울 난(困難곤난) .  離 떠날 리(離別이별)

45). 納 들일 납(納入납입).   紛 어지러울 분(紛爭분쟁)

46). 奴 종 노(奴隸노예).   如 같을 여(如一여일)

47). 短 짧을 단(短劍단검) .  矩 법 구(矩步구보)

48). 旦 일찍 단(元旦원단).   且 또 차(且置차치)

49). 端 단정할 단(端正단정) .  瑞 상서로울 서(瑞光서광)

50). 貸 빌릴 대(轉貸전대).    賃 품삭 임(賃金임금)

51). 代 대신할 대(代用대용).   伐 칠 벌(討伐토벌)


52). 待 기다릴 대(期待기대).   侍 모실 시(侍女시녀)


53). 戴 일 대(負戴부대) .  載 실을 재(積載적재)


54). 徒 걸어다닐 도(徒步도보).   徙 옮길 사(移徙이사)


55). 都 도읍 도(首都수도).   部 나눌 부(部分부분)

56). 蹈 밟을 도(舞蹈무도).   踏 밟을 답(踏襲답습)  

57). 卵 알 란(鷄卵게란) .  卯 토끼 묘(卯時묘시)

58). 剌 고기뛰는소리 랄(潑剌발랄).   刺 찌를 자(刺戟자극)

59). 憐 가련할 련(憐憫연민).   隣 이웃 린(隣近린근)

60). 領 거느릴 령(首領수령) 頒 나눌 반(頒布반포)頌 칭송할 송(頌歌송가)

61). 輪 바퀴 륜(輪廻윤회) .  輸 실어낼 수(輸出수출)

62). 栗 밤 률(栗木율목).   粟 조 속(粟豆속두)

63). 理 다스릴 리(倫理윤리).   埋 묻을 매(埋葬매장)  

64). 漠 사막 막(沙漠사막).   模 법 모(模範모범)

65). 幕 장막 막(天幕천막).   墓 무덤 묘(墓地묘지).暮 저물 모(日暮일모)

66), 募 모을 모(募集모집) .  慕 사모할 모(思慕사모)

67). 末 끝 말(末路미로) .  未 아닐 미(未來미래).   昧 어두울 매(三昧삼매) .  味 맛 미(味覺미각)


68). 眠 쉴 면(睡眠수면) .  眼 눈 안(眼目안목)

69). 免 면할 면(免除면제).   兎 토끼 토(兎皮토피)

70). 鳴 울 명(悲鳴비명).   嗚 탄식할 오(嗚咽오열)

71). 侮 업신여길 모(侮辱모욕).   悔 뉘우칠 회(後悔후회)

72). 母 어미 모(母情모정).   毋 말 무(毋論무론).   貫 꿸 관(貫句관구)

73). 沐 목욕할 목(沐浴목욕).   休 쉴 휴(休息휴식)

74). 戊 다섯째천간 무(戊時무시).   戍 수자리 수(戍樓수루).   戌 개 술(甲戌年갑술년)

75). 微 작을 미(微笑미소).   徵 부를 징(徵集징집)

76). 拍 손뼉칠 박(拍手박수),. 栢 잣나무 백(冬栢동백)

77). 薄 엷을 박(薄明박명).   簿 장부 부(帳簿장부)

78). 迫 핍박할 박(逼迫핍박).   追 쫓을 추(追憶추억)

79). 飯 밥 반(白飯백반) ,  飮 마실 음(飮料음료)

80). 倣 본뜰 방(模倣모방) .  做 지을 주(看做간주)

81). 番 차례 번(番號번호).   審 살필 심(審査심사)

82). 罰 벌줄 벌(罰金벌금).   罪 죄 죄(犯罪범죄)

83), 壁 벽 벽(土壁토벽).   璧 둥근옥 벽(完璧완벽)

84). 變 변할 변(變化변화).   燮 화할 섭(燮理섭리)

85). 辨 분별할 변(辨明변명) 辦 힘쓸 판(辦公費판공비)

86). 博 넓을 박(博士박사).   傅 스승 부(師傅사부).   傳 전할 전(傳受전수)


87). 普 넓을 보(普通보통).   晋 나라 진(晋州진주)

88). 奉 받들 봉(奉養봉양).   奏 아뢸 주(演奏연주)

89). 奮 떨칠 분(興奮흥분).   奪 빼앗을 탈(奪取탈취)

90). 貧 가난할 빈(貧弱빈약) .  貪 탐할 탐(貪慾탐욕)

91). 氷 얼음 빙(解氷해빙) .  永 길 영(永久영구)

92). 士 선비 사(紳士신사) .  土 흙 토(土地토지)

93). 使 부릴 사(使用사용).   便 편할 편(簡便간편)

94). 仕 벼슬 사(奉仕봉사) .  任 맡길 임(任務임무)

95). 捨 버릴 사(取捨취사).   拾 주을 습(拾得습득)

96). 師 스승 사(恩師은사) . 帥 장수 수(將帥장수)

97). 思 생각할 사(思想사상).   惠 은혜 혜(恩惠은혜)

98). 社 모일 사(會社회사) .  祀 제사 사(祭祀제사)

99). 査 조사할 사(調査조사).   杳 아득할 묘(杳然묘연)

100). 雪 눈 설(殘雪잔설).   雲 구름 운(雲霧운무)

101). 涉 건널 섭(干涉간섭).   陟 오를 척(三陟삼척)

102). 牲 희생 생(犧牲희생).   姓 일가 성(姓氏성씨)

103). 恕 용서할 서(容恕용서).   怒 성낼 노(怒氣노기)

104). 棲 살 서(棲息서식).   捷 이길 첩(大捷대첩)

105). 析 쪼갤 석(分析분석).   折 꺽을 절(折枝절지)

106). 晳 밝을 석(明晳명석).   哲 밝을 철(哲學철학)

107). 惜 아낄 석(惜別석별).   借 빌 차(借用차용)

108). 宣 베풀 선(宣傳선전).   宜 마땅할 의(便宜편의)

109). 俗 속될 속(俗世속세).   裕 넉넉할 유(餘裕여유)

110). 損 덜 손(缺損결손).   捐 기부 연(義捐金의연금)

111). 送 보낼 송(放送방송).   迭 바꿀 질(更迭갱질)

112). 書 글 서(書房서방).   晝 낮 주(晝夜주야).   畵 그림 화(畵家화가)

113). 衰 쇠할 쇠(衰退쇠퇴).   衷 속마음 충(衷心충심)

114). 哀 슬플 애(哀惜애석).   表 드러날 표(表現표현)

115). 旋 돌 선(旋律선율) .  施 베풀 시(實施실시)

116). 唆 부추길 사(示唆시사).   悛 고칠 전(改悛개전)

117). 塞 변방 새(要塞요새).   寒 찰 한(寒食한식)

118). 撒 뿌릴 살(撒布살포).   徹 관철할 철(貫徹관철)

119). 象 코끼리 상(象牙상아).   衆 무리 중(衆生중생)

120). 粹 순수할 수(精粹정수).   碎 부술 쇄(粉碎분쇄)

121). 遂 이룩할 수(完遂완수).   逐 쫓을 축(驅逐구축)

122). 授 줄 수(授受수수).   援 구원할 원(救援구원)

123). 須 반드시 수(必須필수).   順 순할 순(順從순종)

124). 識 알 식(識見식견).   織 짤 직(織物직물).   職 맡을 직(職位직위)

125). 膝 무릎 슬(膝下슬하).   勝 이길 승(勝利승리).   騰 오를 등(騰落등락)

126). 伸 펼 신(伸張신장).   仲 버금 중(仲秋節중추절)

 

127). 失 잃을 실(失敗실패).   矢 화살 시(嚆矢효시).   夭 일찍죽을 요(夭折요절)

128). 深 깊을 심(夜深야심) .  探 더듬을 탐(探究탐구)

129). 延 끌 연(延期연기).   廷 조정 정(朝廷조정)

130). 緣 인연 연(因緣인연).   綠 초록빛 록(草綠초록)

131). 沿 좇을 연(沿革연혁).   治 다스릴 치(政治정치)

132). 鹽 소금 염(鹽田염전) .  監 볼 감(監督김독)

133). 營 경영할 영(經營경영) 螢 반딧불 형(螢光형광)

134). 譽 명예 예(名譽명예).   擧 들 거(擧事거사)

135). 汚 더러울 오(汚染오염).   汗 땀 한(汗蒸한증)

136). 雅 우아할 아(優雅우아).   稚 어릴 치(幼稚유치)

136). 謁 아뢸 알(謁見알현).   揭 들 게(揭示게시 )

137). 仰 우러를 앙(信仰신앙).   抑 누를 억(抑制억제)

138). 厄 재앙 액(厄運액운).   危 위태할 위(危險위험)

139). 冶 쇠불릴 야(陶冶도야).   治 다스릴 치(政治정치)

140). 與 줄 여(授與수여).   興 일어날 흥(興亡흥망)

141). 瓦 기와 와(瓦解와해).   互 서로 호(相互상호)

142). 浴 목욕할 욕(浴室욕실).   沿 좇을 연(沿革연혁)

143). 宇 집 우(宇宙우주).   字 글자 자(文字문자)

144). 熊 곰 웅(熊膽웅담).   態 태도 태(世態세태)


145). 園 동산 원(庭園정원).   圍 주위 위(周圍주위)

146). 威 위엄 위(威力위력).   咸 다 함(咸集함집)

147). 惟 생각할 유(思惟사유).   推 밀 추(推進추진)

148). 幼 어릴 유(幼年유년).   幻 허깨비 환(幻想환상)

149). 遺 남길 유(遺物유물).   遣 보낼 견(派遣파견)

150). 玉 구슬 옥(珠玉주옥) .  王 임금 왕(帝王제왕).   壬 북방 임(壬辰임진)

151). 凝 엉길 응(凝結응결).   疑 의심할 의(疑心의심)

152). 剩 남을 잉(剩餘잉여).   乘 탈 승(乘車승차)

153). 子 아들 자(子孫자손).   孑 외로울 혈(孑孑혈혈)

154). 姿 모양 자(姿態자태) 恣 방자할 자(放恣방자)

155). 暫 잠시 잠(暫時잠시).   漸 점점 점(漸次점차).   斬 부끄러울 참(無斬무참)

156). 亭 정자 정(亭子정자).   享 누릴 향(享樂향락).   亨 형통할 형(亨通형통)

157). 杖 지팡이 장(短杖단장),.   枚 낱 매(枚擧매거)

158). 齋 방 재(書齋서재).   齊 같을 제(一齊일제)

159). 籍 서적 적(戶籍호적).   藉 빙자할 자(憑藉빙자)

160). 睛 눈동자 정(眼睛안정).   晴 갤 청(晴天청천)

161). 帝 임금 제(帝王제왕).   常 항상 상(常識상식)

162). 早 일찍 조(早起조기).   旱 가물 한(寒害한해)

163). 照 비출 조(照明조명).   熙 빛날 희(熙笑희소)

164). 兆 조짐 조(前兆전조).   北 북녘 북(北極북극)

165). 潮 조수 조(潮流조류).   湖 호수 호(湖畔호반)

166). 措 둘 조(措處조처).   借 빌 차(借款차관)

167). 尊 높을 존(尊敬존경).   奠 드릴 전(釋奠석전)

168). 佐 도울 좌(補佐보좌).   佑 도울 우(天佑천우)

169). 汁 진액 즙(果實汁과실즙).   什 열사람 십(什長십장)

170). 捉 잡을 착(捕捉포착).   促 재촉할 촉(督促독촉)

171). 責 꾸짖을 책(責望책망).   靑 푸를 청(靑史청사)

172). 悤 바쁠 총(悤悤총총).   忽 소홀히할 홀(疏忽소홀)

173). 追 따를 추(追究추구).   退 물러갈 퇴(退進퇴진)

174). 推 밀 추(推薦추천).   堆 쌓을 퇴(堆肥퇴비).   椎 쇠몽둥이 추(椎骨추골)

175). 蓄 쌓을 축(貯蓄저축).   蓄 기를 축(家畜가축)

176). 充 가득할 충(充滿충만).   允 허락할 윤(允許윤허)

177). 衝 부딪칠 충(衝突충돌).   衡 저울 형(均衡균형)

 

178). 萃 모을 췌(拔萃발췌).   卒 군사 졸(卒兵졸병)

179). 側 곁 측(側近측근).   測 헤아릴 측(測量측량).   惻 슬퍼할 측(惻隱측은)

180). 飭 삼갈 칙(勤飭근칙).   飾 꾸밀 식(裝飾장식)

181). 浸 적실 침(浸透침투).   沈 빠질 침(沈默침묵).   沒 빠질 몰(沒入몰입)

182). 坦 평평할 탄(平坦편탄).   但 다만 단(但只단지)

183). 湯 끓일 탕(湯藥탕약).   渴 목마를 갈(渴症갈증)

184). 弊 폐단 폐(弊端폐단).   幣 비단 폐(幣帛폐백).   蔽 가릴 폐(隱蔽은폐)

185). 爆 터질 폭(爆發폭발).   瀑 폭포 폭(瀑布폭포)  

186). 恨 한탄할 한(怨恨원한).   限 한정할 한(限界한계)

187), 肛 똥구멍 항(肛門항문).   肝 간 간(肝腸간장)

188). 幸 다행할 행(幸福행복).   辛 매울 신(辛辣신날)

189). 護 보호할 호(保護보호).   穫 거둘 확(收穫수확).   獲 얻을 획(獲得획득)

190). 會 모을 회(會談회담).   曾 일찍 증(曾祖증조)

191). 悔 뉘우칠 회(悔改회개).   梅 매화나무 매(梅花매화)

192). 吸 마실 흡(呼吸호흡).   吹 불 취(鼓吹고취).   次 버금 차(次席차석)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에 등장하는 인물 41명  (0) 2023.11.25
樂志論  (1) 2023.11.13
治家格言  (1) 2023.11.13
修身格言  (1) 2023.11.13
心命歌 .  (1) 2023.1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