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5

爲君子之九思九容

爲君子之九思九容(위군자지구사구용) 君子(군자)가 되려는 아홉가지의 마음가짐 과 몸가짐 ​ ★九思(구사)★아홉가지의 마음가짐 君子(군자=人子.眞人.聖人)가 되고자 하면 行動(행동)에 앞서 먼저 再三(재삼) 생각을 한후에 행할 것이고 행한 후에는 過然(과연 ) 그 행함이 道(도)에 맞은 것인지를 반드시 돌이켜 살펴보는 修行(수행)의 생각 살핌을 거듭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것이 자기의 理性(이성)으로 自身(자 신)을 制御(제어=다스림)하고 이끌어감이 곧 道(도)에 가까워지고 附合(부합)하려는 率性之道(솔성지도)인 것이다. ​ 1.視思明(시사명)은 눈으로 사물을 볼때는 明若觀火(명약관화) 하게 明確(명확)하고 正確(정확)하게 볼 것 을 생각하여 보아야할 것과 보지 말아야할 것을 分別(분별)할 것이고 남의 좋은..

유교 2022.01.01

사례편람

사례편람(四禮便覽) 관(冠)ㆍ혼(婚)ㆍ상(喪)ㆍ제(祭)의 4례에 관해 경서 및 선유(先儒)의 설을 참작하여 이동(異同)을 바로잡은 책. 8권 4책. 조선 숙종(肅宗) 때 사람 이재(李縡)가 편찬, 1844년(헌종 10)에 증손 이광정(李光正)이 간행. 1900년 황필수(黃泌秀)ㆍ지송욱(池松旭)이 증보 중간하여 이라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이 책에 따라 예를 행하였다. - 이홍직 : (백만사.1975) - 조선 후기의 학자ㆍ정치가 이재(李縡)가 편술한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관한 종합적인 참고서. 8권 4책. 목판본. 이재는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김창협(金昌協)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맥을 이어오면서도 그 나름의 학통을 수립한 대학자로서, 성리학과 예학에서 유명하였..

유교 2018.06.24

대성지성문선왕 (大成至聖文宣王)

孔子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 B.C 551-479 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대 사상가이며 교육자로 유교의 개조(開祖)시며 성인으로 일컬어진다. 공(孔)은 성이고 자(子)는 남자의 미칭(美稱)으로 '선생' 의 뜻이며,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노나라 창평향 추읍(지금의 산동성 곡부현 남쪽 추현)출신. 탄생 연도에 대해서는 기원전 551년(주왕실 영왕21년, 노양공22년)이라는 설(사마천의 『사기』[공자세가])과 552년이라는 설(『춘추공양전』 『춘추곡량전』)이 있다. 아버지는 숙량흘(叔梁紇), 어머니는 안징재(顔徵在)이다. 숙량흘은 60세가 넘어 젊은 안징재와의 사이에서 공자를 낳은 것이라고 한다. 안징재는 공자를 낳기 위해서 니구산(尼丘山)에 기도를 들였다 하는데, 공자의 이름이 구(..

유교 201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