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향기 14

주역정의(1)

주역정의(1) 欽定四庫全書總目 周易正義十卷 魏王弼晉韓康伯注하고 唐孔穎達疏라 魏나라 王弼과 晉나라 韓康伯이 注를 내고, 唐나라 孔穎達이 疏를 냈다. 易은 本卜筮之書라 《易》은 본래 卜筮하던 책이다. 故로 末派寖流於讖緯하니 王弼이 乘其極敝而攻之하여 遂能排擊漢儒하고 自標新學이라 그러므로 末流가 점점 讖緯說(圖讖說)로 흘렀는데, 王弼이 그 지극한 병폐를 틈타 공격하여 마침내 漢나라 학자들을 배격하고 스스로 새로운 학문을 표출해내었다. 然이나 隋書經籍志에 載晉揚州刺史顧夷等有周易難王輔嗣義一卷하고 그러나 《隋書》 〈經籍志〉에 晉나라 揚州刺史 顧夷 등이 지은 《周易難王輔嗣義》 1권이 있다고 기재하였고, 冊府元龜에 又載顧悅之-案悅之는 卽顧夷之字라-難王弼易義四十餘條한대 京口(閔)[關]康之 又申王難顧하니 《冊府元龜》에는 또..

고전의 향기 2021.02.19

노자

중국고전노자老子 노담 요약 BC 510년경에 만들어진책으로, 자연에 순응하면서자연의 법칙을 거스르지 않고살아야 한다는 동양적 지혜의정수를 담고 있다. ‘노(老)’는저자 노담의 성이고, ‘자(子)’는학자나 그 저술을 가리키는말이다. 따라서 ‘노자’란 노선생의 학설을 정리한책이라는 뜻이다. 전문 약5,400자이며, 보통 81장으로나누고, 제1~제37장을 상편,제38~제81장을 하편이라한다. 저작자노담(老聃)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이긴다 노자는 ‘유약겸양부쟁(柔弱謙讓不爭)’의 덕을 설파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비굴함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부드러움은 강한 것을 이긴다’라는 필승의 방책이다. 버드나무 가지가 눈사태에도 부러지지 않듯 노자는 유연함을 생명의 상징으로 보았다. 그리고 유연함의 극치..

고전의 향기 2018.07.24

莊子

중국고전장자莊子 요약 BC 290년경에 만들어진책으로, 전국시대의 사상가인장자[이름은 주(周)]의저서이다. 전문 6만 5,000여자이며, 「내편(內篇)」7편[〈소요유(逍遙遊)〉,〈제물론(齊物論)〉,〈양생주(養生主)〉,〈인간세(人間世)〉,〈덕충부(德充符)〉,〈대종사(大宗師)〉,〈응제왕(應帝王)〉]과〈병무(騈拇)〉 이하「외편(外篇)」 15편,〈경상초(庚桑楚)〉 이하「잡편(雜篇)」 11편 등 모두3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붕도남(大鵬圖南) 북녘 바다에 곤(鯤)이라는 물고기가 살고 있는데, 그 크기가 몇천 리가 되는지 알 수 없다. 이 물고기가 변해서 붕(鵬)이라는 새가 된다. 그 등넓이는 몇천 리가 되는지 알 수 없고, 힘차게 날아오르면 날개는 하늘을 덮는 검은 구름과도 같다. 이 새는 바다에서 큰 바람이 ..

고전의 향기 2018.07.24

십삼경과 경서구성

십삼경 십삼경(十三經)은 유가(儒家)에서 중시하는 13종의 경서(經書)를 총칭하는 말이다. 중국 송대에 확정했다. 구성편집 《논어》(論語)《맹자》(孟子)《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주례》(周禮)《의례》(儀禮)《예기》(禮記)(《중용》(中庸), 《대학》(大學) 포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아》(爾雅)《효경》(孝經) 경서편집 사서(四書) :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대학(大學)》 삼경(三經) :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주역이라고도 함)》의 총칭. 오경(五經) :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예기(禮記)》 《춘추(春秋)》 삼례(三禮) : 《주례(周禮)》 《의례(儀禮)》 《예..

고전의 향기 2018.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