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oism

 


 

노자 도덕경_ 老子 道德經_ Dao De Jing

1 

노자의 도덕경을 다시 읽는다.

아니고 아니고 아니더라는 생각_ 非非想_

무엇부터 말할까?

말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생각이 아니다.

1. 
道可道非常道(도가도비상도) : <도>라고 말 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다
名可名非常名(명가명비상명) : 이름 지을 수 있는 이름은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
無名天地之始(무명천지지시) :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이 천지의 원천이며
有名萬物之母(유명만물지모) :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이 만물의 모태다
故常無欲以觀其妙(고상무욕이관기묘) : 그러므로 언제나 욕심내지 많으면 그 오묘함을 볼 수 있으며
常有欲以觀其徼(상유욕이관기요) : 언제나 욕심냄이 있으면 그 나타남만을 볼 수 있다
此兩者同(차량자동) : 이 두 가지는 근원 같으나
出而異名(출이이명) : 나타나 이름이 다르다
同謂之玄(동위지현) : 같이 이를 신비롭다고 말한다
玄之又玄(현지우현) : 신비롭고 또 신비로우니
衆妙之門(중묘지문) : 모든 신비의 문이다

 


 

2.

 

天下皆知美之為美,斯惡已。皆知善之為善,斯不善已。有無相生,

難易相成,長短相形,高下相盈,音聲相和,前後相隨。恒也。

是以聖人處無為之事,行不言之教;萬物作而弗始,生而弗有,為而弗恃,功成而不居。夫唯弗居,是以不去  

2.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 : 세상 모두가 아름다움을 아름다움으로 알아보는 자체가
斯惡已(사악이) : 추함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皆知善之爲善(개지선지위선) : 착한 것을 착한 것으로 알아보는 자체가
斯不善已(사불선이) : 착하지 않음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故有無相生(고유무상생) : 그러므로 가지고 못 가짐도 서로의 관계에서 생기는 것
難易相成(난이상성) : 어렵고 쉬움도 서로의 관계에서 성립되는 것
長短相較(장단상교) : 길고 짧음도 서로의 관계에서 나오는 것
高下相傾(고하상경) : 높고 낮음도 서로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
音聲相和(음성상화) : 악기 소리와 목소리도 서로의 관계에서 어울리는 것
前後相隨(전후상수) : 앞과 뒤도 서로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
是以聖人處無爲之事(시이성인처무위지사) : 따라서 성인은 무위로써 이를 처리하고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 : 말로 하지 않는 가르침을 수행한다
萬物作焉而不辭(만물작언이불사) : 모든 일 생겨나도 마다하지 않고
生而不有(생이불유) : 모든 것을 이루나 가지려 하지 않고
爲而不恃(위이불시) : 할 것 다 이루나 거기에 기대려 하지 않고
功成而弗居(공성이불거) : 꿈을 쌓으나 그 공을 주장하지 않는다
夫唯弗居(부유불거) : 공을 주장하지 않기에
是以不去(시이불거) : 이룬 일이 허사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름답다는 것을 알아보는 지혜가 추함에 있다.

새벽에 나비가 나는 고요함을 느끼는 것도 하루종일 고단한 소란에 있다.

높고 낮음도 서로 상대적인 것 때문이고

길고 짧음 또한 서로 키재기를 한 이유이다.

착하다 알아보는 것도 착하지 않음때문이며

믿습니다_ 하는 것도 믿을 수 없기 때문 아니던가.

할것을 다 이루어야 하나_ 거기에 기대어 서는 않되고

꿈을 이루어야 하나 그 공력을 따지는 바 되어서는 않된다.

 

미워하는 것은 사랑한데 있고

사랑한다는 것은 사랑하지 못한 것에 있다.

 

헛된 것도 없고 헛되지 않은 것도 없다.

도라고 말 할 수 있는 것은 이미 도가 아니다.

말로서 말을 하는 것은 이미 말이 아니다.

 


 

3.

不尚賢,使民不爭;不貴難得之貨,使民不為盜;不見可欲,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虛其心,實其腹,弱其志,強其骨。常使民無知無欲。使夫智者不敢為也。為無為,則無不治。  

3. 


不尙賢(불상현) : 훌륭하다는 사람 떠받들지 말라
使民不爭(사민불쟁) : 사람들 사이에 다투는 일 없어질 것이다
不貴難得之貨(불귀난득지화) : 귀중하다는 것 귀히 여기지 말라
使民不爲盜(사민불위도) : 사람 사이에 훔치는 일 없어질 것이다
不見可欲(불견가욕) : 탐날 만한 것 보이지 마시라
使民心不亂(사민심불란) : 사람의 마음 산란해지지 않을 것이다
是以聖人之治(시이성인지치) : 그러므로 성인이 다스리게 되면 사람들도
虛其心(허기심) : 마음은 비우고
實其腹(실기복) : 배는 튼튼하게 하며
弱其志(약기지) : 뜻은 약하게 하고
强其骨(강기골) : 뼈는 튼튼하게 한다
常使民無知無欲(상사민무지무욕) : 사람들로 지식도 없애고 욕망도 없애고
使夫智者不敢爲也(사부지자불감위야) : 영리하다는 자들 함부로 하겠다는 짓도 못하게 한다
爲無爲則無不治(위무위칙무불치) : 억지로 하는 함이 없으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하나도 없다

 

 

저것들을 보아라

사람의 꽁무니를 따라다니면 다툼이 생기고

충성을 맹서하면 간사가 판을 친다

가치를 정하면 탐심이 불 일듯 일어나고

세상에 귀한 물건을 두면 훔칠 욕심이 인다

 

마음은 비우고
배는 튼튼하게 하며
뜻은 약하게 하고
뼈는 튼튼하게 하거라
 

爲無爲則無不治

텅 비운 마음으로 다스려지지 않은 것은 없다

강한 짐승은 무위자적 홀로 다닌다

약한 짐승들이 무리지어 떼로 다닌다

 


 

 

1 章

 

세상에서 흔히 말하는 도는 진정한 도가 아니오. 이름을 부친다면 진정한 이름이 될 수 없다.

이름이 없음은 하늘과 땅이 생기기 전의 것이라 그렇고 이름이 있는 것은 만물을 낳은 어머니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념·무상의 상태가 될 때 그 묘한 절대의 세계를 볼 수 있고 유념·유상의 상태일 때 그 차별함이 생기게 된다.

절대세계와 상대세계는 영구 불변한 도에서 나왔으나 그 이름을 달리 하니 이것을 한가지로 말할 때 현(玄)이라 한다.

이 현하고 현한 것으로부터 세상의 모든 만물이 나왔다.

 

 

 


 

 

2 章

 

세상에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추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착한 것을 착하다고 하는 것은 착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있는 것과 없는 것도 상대에 의존해서 생기고, 어려운 것과 쉬운 것도 서로 대립해서 성립하며

긴 것과 짧은 것도 비교하므로 이뤄지고, 높은 것과 낮은 것도 아래위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소리는 여러 가지가 어울려야 조화를 이루며 앞과 뒤는 서로 따르므로 성립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무위로써 일을 행하고 말하지 않고도 가르침을 행하는 것이다.

천지자연은 만물이 일어나더라도 순리대로 두고, 만물을 기르게 하고도 소유하지 않는다.

일을 하고도 뽐내지 않고 공을 이루고도 그 지위에 오르지 않는다.

그 직위에 오르지 않기 때문에 이로써 떠나지 않는 것이다.

 

 

 



 

3 章

 

 

똑똑한 사람을 존중하지 않으면 사람들은 경쟁하는 일이 없게 되고 얻기 어려운 재물을 귀히 여기지 않으면

사람들은 도둑질 하는 일이 없게 된다. 욕심이 날만한 것을 보여주지 않으면 사람들의 마음은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성인의 정치는 사람의 마음을 비우게 하여(마음을 비우면 주천(周天)이 이루어진다)

배를 부르게 만들고(周天이 되면 덜 먹어도 배가 고프지 않다) 뜻을 약하게 하여 뼈를 튼튼하게 만든다.

항상 사람들로 하여금 지식도 욕망도 없게 한다. 똑똑한 사람이 있을 지라도 감히 행동하지 못하게 한다.

무위의 정치를 하면 다스리지 못함이 없다.

 

 

 


 

 

4 章

 

 

도는 비어 있으나 그것을 아무리 사용해도 늘 가득 차 있고 넘치지 않는다. 깊고 넓어서 만물의 근본인 것 같다.

날카로운 것을 무디게 하고 복잡한 것을 풀며 빛을 부드럽게 하여 티끌에도 뒤섞이건만 맑고 고요함이 늘 그대로 있는 것 같다.

나는 그 도가 누구의 자식인지 알 수 없으나 아마 우주를 주재하는 상제보다 먼저 있었던 것 같다.

 

 



 

 

5 章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세상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강아지와 같이 여긴다.

성인도 어질지 않아서 백성들을 짚으로 만든 강아지와 같이 여긴다.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와 같아서 비어 있으나 힘이 끝이 없고

 움직일수록 힘이 더욱 커진다. 말이 많으면 이치에 곤궁하게 되니 가만히 있는 것만 못하다.

 

 



 

6 章

 

골짜기의 신은 죽지 않으니, 이것을 현빈이라 한다.

깊은 골짜기의 문은 하늘과 땅의 뿌리이다. 낳고 자라는 작용은 언제까지나 이어져 아무리 써도 지칠 줄 모른다.

 




  

7 章 

 

하늘은 끝없이 길고 땅은 언제까지라도 존재한다.

하늘과 땅이 영원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의 목숨을 늘리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래 살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성인은 자신을 남의 뒤에 머물게 하므로 그 자신이 앞서고 그 자신을 잊어버림으로 해서 그 자신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그에게 개인적인 욕심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능히 자신의 이익을 성취하는 것이다.

 

 

"Tao Te Ching"_Calligraphy by Gia-Fu Feng
 

노자(老子, ?-?)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이다. 성명은 이이(李耳), 자는 담(聃)이여서 노담(老聃)이라고도 하고 일명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노자의 삶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노자는 후에 주나라가 쇠하는 것을 보고 은거를 결심, 서방으로 떠나는 중 관문지기의 간청으로 그의 가르침을 5천여 글자로 된 상하 2편의 책으로 썼다고 한다. 이것을 《노자》라고 하며 《도덕경》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 내용이 전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사기》도 이에 의문을 표하고 있고 오늘날 그의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 《도덕경》은 모르면 모를수록_ 알면 알게 될수록_ 인간의 삶이 지니는 근거를 근본적으로 성찰할 수 있었다.

 

노자의 제자로는 도가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 장자가 유명하며 노자와 장자의 사상은 후에 도가의 주요 흐름 중의 하나인 노장학파를 이루었다. 노자는 후에 도교의 민간신으로 숭배되었다.

 

 

'고전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구조와 형식   (0) 2009.07.29
귀거래사   (0) 2009.06.27
六 然  (0) 2009.04.18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0) 2009.04.07
生苦  (0) 2008.07.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