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한시는 보통 한문보다 쉽다. 왜냐 하면 귀절이 뚜렷하기때문이다. 오언시는 한구가 다섯자인데 이 다섯자는 2-3으로 나누어지며 칠언시는 한구가 2-2-3으로 나누어진다. 례를 들면 ≪春眠不覺曉, 處處聞啼鳥≫란 구는 ≪春眠-不覺曉, 處處-聞啼鳥≫로 나누어진다.
 이 시는 맹호연(孟浩然)의 유명한 ≪춘효(春曉)≫의 일부분이다.
 
(례1) 春曉(춘효)   孟浩然(맹호연)
    春眠不覺曉(춘면불각효)  봄의 잠은 새벽을 못느끼는 정도로
    處處聞啼鳥(처처문제조)  잠결에 곳곳에 새 우는 소리 들린다
    夜來風雨聲(야래풍우성)  어제밤부터 비바람 소리가 계속 들리는데
    花落知多少(화락지다소)  대체 꽃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모르겠다
 [첫째구] 覺이 술어. 직역을 하면 ≪봄의 잠은 새벽을 느끼지 않는다≫.
 [둘째구] 술어는 聞이다. 啼도 술어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鳥를 꾸며서 ≪우는 새≫로 해석해야 한다. 직역하면 ≪곳곳에 우는 새를 듣는다≫.
 [셋째구] 여기서는 술어가 없다. 來는 동사인 것처럼 보이지만 夜처럼 시간을 나타내는 말에 붙은것은 ≪∼이래≫란 뜻이다. 직역은 ≪밤부터 풍우의 소리≫.
 [넷째구] 술어 같은 말이 落과 知 두개가 있는데 진짜술어는 知이고 落은 花와 함께 ≪꽃이 떨어지기가≫란 주어가 되여있다. 직역하면 ≪꽃이 떨어지기가 많고 적음을 안다≫가 되는데 多少는 현대 중국어에서도 ≪얼마≫란 뜻이 있다. 따라서 知多少는 ≪얼마인지 아느냐≫가 된다.
 한시를 읽을 때는 압운한 부분에 약간 힘을 주어서 읽으면 압운소리가 뚜렷이 울려서 좋다. 그러니까 ≪춘면불각효오∼, 처처문제조오∼≫처럼 약간 과장될 정도로 힘주는것이 좋다.
 
(례2) 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황학루송맹호연지광릉)   李白(이백)
    故人西辭黃鶴樓(고인서사황학루)  동무는 서쪽에서 황학루를 떠나
    煙花三月下揚州(연화삼월하양주)  안개 끼는 삼월에 양주로 내려간다
    孤帆遠影碧空盡(고범원영벽공진)  멀리 돛 하나 푸른 하늘에 사라지고
    唯看長江天際流(유간장강천제류)  뒤에는 양자강이 하늘끝으로 흘러갈뿐
 [제목] 送이 동사이며 그 앞의 黃鶴樓는 장소이니 ≪황학루에서 보낸다≫란 뜻이다. 送 뒤부분이 목적어가 되는데 그중 之가 동사로 있다. 이 之는 ≪가다≫란 뜻이다. 지역하면 ≪맹호연이 광릉으로 감을 황학루에서 보낸다≫가 된다.
 [첫째구] 辭가 술어다. 직역은 ≪친구가 서쪽에서 황학루를 떠난다≫.
 [둘째구] 下는 ≪아래≫가 아니라 ≪내리다≫라는 동사다. 煙花三月가 시간을 나타내여 직역하면 ≪연화 삼월에 양주로 내려간다≫가 된다. 煙은 ≪연기≫가 아니라 ≪안개≫란 뜻으로 꽃 필적에 끼는 안개를 煙花라고 한다. 산수화를 보는듯한 문구다.
 [셋째구] 이 구에서 술어는 맨마지막에 있다. 孤帆遠影가 주어이며 碧空은 장소이다. 직역하면 ≪홀돛의 먼 모습이 푸른 하늘에 사라진다≫.
 [넷째구] 술어는 看이고 그 뒤부분 전부가 목적어이다. 목적어 부분은 문장처럼 되여있는데 長江이 주어, 天際가 장소, 流가 동사로 ≪장강이 하늘끝으로 흘러감≫이란 구성이다. 天際는 낯선 말이지만 ≪하늘 천(天)≫에다 ≪가 제(際)≫이기때문에 하늘가, 즉 하늘끝쪽이란 뜻이다. 직역하면 ≪장강이 하늘 끝으로 흘러감을 오직 볼 뿐≫이다.
 어떻습니까? 의외로 쉽지요? 자, 이제 한시의 세계를 만끽하십시오

'漢詩 作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增類合 上券  (0) 2015.12.16
五言聯句  (0) 2015.06.21
한시의 모든것   (0) 2009.09.19
한문읽기 2  (0) 2009.09.19
한문 읽기 입문 1  (0) 2009.09.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