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에 관한 한자
筆力縱橫(필력종횡) : 문장(文章)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잘 지음을 이르는 말.#문장 #자유자재 #지음 #자유 談天彫龍(담천조룡) : 천상(天象)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으로, 변론(辯論)이나 문장이 원대하고 고상함을 이르는 말.#문장 #용 #조각 #원대 #변론 和而不壯(화이부장) : 온화하나 씩씩하지 않다는 뜻으로, 문장의 필치(筆致)가 온화(穩和)하기는 하나 웅장(雄壯)하지는 못하다는 의미.#씩씩 #문장 #의미 #온화 #웅장 華而不實(화이부실)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내용 #실속 #말 #춘추 #용어 #화 #상황 #문장 #비유 #꽃 #겉모습 #언행 #일치 #실행 #겉 #화려 #훌륭 #열매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동안 #재주 #재능 #글재주 #말 #조비 #유래 #옛일 #문장 #걸음 #나라 #중국 #시인 #일곱 #위나라 #조식 #형- 一塵不染(일진불염)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티끌 #청렴결백 #아름다움 #문장 #비유 #관리 #절조 #물욕 #결백 #깨끗 #토지 #조금 #따위 #청렴
- 洛陽紙貴(낙양지귀) :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말 (2)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3) 혹은 저서(著書)가 많이 팔리는 것을 말할 때 쓰임.#말 #쓰임 #평판 #때 #문장 #저서 #낙양 #종이 #귀
- 詞海(사해) : 문장이나 시가(詩歌)의 풍부함을 바다의 깊이와 넓이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말 #풍부 #사조 #문장 #비유 #시가 #깊이
- 精金良玉(정금양옥)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순수 #아름 #금 #문장 #비유 #인격 #깨끗 #인품 #아름다움 #시문 #정교
- 常山蛇勢(상산사세) : 상산의 뱀 같은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1) 선진과 후진, 우익(右翼)과 좌익(左翼)이 서로 연락(連絡)하고 공방하는 陣形(진형) (2) 문장(文章)의 전후(前後)가 대응(對應)하여 처음과 끝이 일관(一貫)됨.#기세 #전후 #진형 #끝 #연락 #문장 #일관 #뱀 #처음
- 良玉美金(양옥미금) : 좋은 옥과 아름다운 금이라는 뜻으로, 아주 좋은 문장(文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금 #문장 #비유
- 搜章摘句(수장적구)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중요 #사용 #문장 #의미 #구절 #기억
- 洛陽紙價(낙양지가) : 낙양의 종이 값이라는 뜻으로, 훌륭한 글을 다투어 베끼느라고 종이의 수요(需要)가 늘어서 값이 등귀(騰貴)한 것을 말함이니 문장(文章)의 장려(奬勵)함을 칭송(稱頌)하는 데 쓰이는 말.#값 #말 #칭송 #문장 #낙양 #종이 #장려 #훌륭
- 筆端不窘束(필단불군속) : 붓끝이 묶여 움직이지 못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붓을 마음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문장 따위를 거침없이 짓는 것을 이르는 말.#마음 #붓 #문장 #붓끝 #따위
- 麤枝大葉(추지대엽) : 거친 가지와 큰 잎이라는 뜻으로, 굵고 거친 나뭇가지와 큰 잎사귀처럼 문장(文章) 옹졸하거나 자잘하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쓰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느긋 #붓 #자잘 #때 #문장 #비유 #나뭇가지 #잎 #자유분방 #잎사귀
- 談天雕龍(담천조룡) : 천상(天象)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으로, 변론(辯論)이나 문장이 원대하고 고상함을 이르는 말.#문장 #용 #조각 #원대 #변론
- 言身之文(언신지문) : 말은 몸의 문채라는 뜻으로, 말은 그 사람의 인격과 심정을 나타내는 문채라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말은 마음의 문장이라는 의미로 표현됨.#몸 #마음 #말 #사람 #문채 #표현 #사용 #문장 #의미 #인격 #심정
- 韓海蘇潮(한해소조) : 한유(韓愈)의 문장(文章)은 왕양(汪洋)하여 바다와 같고, 소식(蘇軾)의 문장(文章)은 파란이 있어 조수(潮水)와 같다는 뜻으로, 한유와 소식(蘇軾)의 문장(文章)을 비교(比較)해 이르는 말.#문장 #파란 #소식 #한유 #비교
- 長句之學(장귀지학) : 문장(文章)의 장(章)과 귀(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문장 #해석 #중국 #대의 #훈고학 #전체 #통 #귀
- 花樣不同(화양부동) : (1) 무늬가 같지 않음 (2) 문장(文章)이 남과 같지 않음.#문장 #무늬
- 單刀直入(단도직입) : (1)혼자서 칼 한 자루를 들고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간다는 뜻으로, 여러 말을 늘어놓지 아니하고 바로 요점이나 본문제를 중심적으로 말함을 이르는 말. (2)생각과 분별과 말에 거리끼지 아니하고 진실의 경계로 바로 들어감.#문제 #본론 #중심 #말 #칼 #너절 #혼자 #생각 #문장 #의미 #경계 #요점 #적진 #자루 #진실 #풀이 #분별 #언론
- 良金美玉(양금미옥) : 좋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훌륭한 인격이나 문장을 이르는 말.#아름 #금 #문장 #비유 #인격 #인품 #훌륭 #아름다움 #시문 #정교
- 筆力扛鼎(필력강정) : 문장의 힘이 강건함.#강 #붓 #문장 #솥 #의미 #기운 #힘
- 書不盡言(서부진언) : 글로는 생각을 충분히 다 표현할 수 없음.#책 #말 #표현 #충분 #의사 #문장 #입 #의미 #생각 #기록
- 建安詞人(건안사인) : 중국 후한 건안 때의 문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후한 #이름 #때 #문장 #중국
- 欽明文思(흠명문사) : 심신을 삼가고, 도리에 밝고, 문장이 빛나고, 생각이 깊다는 뜻으로, 요임금의 덕을 기리는 말.#심신 #요임금 #임금 #문장 #생각
- 片箋片玉(편전편옥) : 아름다운 문장(文章)을 이르는 말.#아름 #문장
- 驪鳴犬吠(여명견폐) : 가라말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들을 가치(價値)가 없는 이야기나 보잘것없는 문장(文章)을 이르는 말.#개가 #가치 #문장
- 漸入佳境(점입가경) : (1)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 (2)시간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일 #말 #시간 #가면 #아름 #쓰임 #문장 #재미 #비유 #의미 #경치 #지경 #산수 #흥미
- 下筆成文(하필성문) : 붓을 내리면 글을 이룬다는 뜻으로, 붓만 대면 문장이 되는 것처럼 글을 짓는 것이 아주 빠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色讀(색독) :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 筆翰如流(필한여류) : 글을 쓰는 것이 마치 물 흐르듯 한다는 뜻으로, 문장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는 모양이나 운필(運筆)이 물 흐르듯이 빠름을 이르는 말.
- 月章星句(월장성구) :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連篇累牘(연편누독) : 쓸데없이 문장이 길고 복잡함.
- 矛盾撞着(모순당착)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 敲金戛石(고금알석) : 쇠를 두드리고 돌을 울린다는 뜻으로, 시나 문장(文章)의 어울림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
- 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 :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文章)의(글쓰는) 붓임.
- 潤筆之資(윤필지자) : 남에게 서화, 문장을 써 달라고 부탁할 때에 주는 사례금.
- 平沙落雁(평사낙안) : (1)모래펄에 날아와 앉은 기러기. (2)샤오샹 팔경(瀟湘八景)의 하나. 동양화의 화제(畫題)가 된다. (3)글씨나 문장이 매끈하게 잘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아름다운 여인의 맵시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抽黃對白(추황대백) : 누른색을 뽑아 흰색의 대를 맞춘다는 뜻으로, 문장을 지을 때 대구를 맞추는 일에만 힘씀을 이르는 말.
- 倚馬之才(의마지재) : 말에 의지하여 기다리는 동안에 긴 문장을 지어 내는 글재주라는 뜻으로, 글을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 言文一致(언문일치) : 실제로 쓰는 말과 그 말을 적은 글이 일치함.
- 下筆成章(하필성장) : 붓을 대면 문장이 된다는 뜻으로, 글을 짓는 것이 빠름을 이르는 말.
- 高文大冊(고문대책) :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 章句之學(장구지학) : 글의 장과 구의 풀이에만 치우쳐 전체 대의(大意)에는 통하지 않는 학문이라는 뜻으로, 중국 한(漢)나라의 훈고학을 이르는 말.
- 血脈貫通(혈맥관통) : 핏줄이 서로 통함. 곧 혈육의 관계가 있음을 이른다.
- 蔗境(자경) : 담화나 문장 또는 사건 따위가 점점 재미있어지는 대목.
- 一字千金(일자천금) :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風檣陣馬(풍장진마) : 돛이 바람을 타고 말이 진지(陣地)에 선다는 뜻으로, 돛에 순풍을 받아 배가 달리며, 준마(駿馬)가 진두(陳頭)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彫蟲小技(조충소기) : 벌레를 새기는 보잘것없는 솜씨라는 뜻으로, 남의 글귀를 토막토막 따다가 맞추는 서투른 재간을 이르는 말.
- 天衣無縫(천의무봉) : (1)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주로 시가(詩歌)나 문장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3)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 畫龍點睛(화룡점정) :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 點鬼簿(점귀부) : (1)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다가 지은 시문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형(楊炯)이 시문 가운데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 넣은 것을 세인이 논평한 데서 유래한다. (2)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장부.
- 活剝生呑(활박생탄) : 산 채로 껍질을 벗기고 산 채로 삼킨다는 뜻으로, 남의 시문을 그대로 따서 자기 작품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 膽大心小(담대심소) : 문장을 지을 때, 담력은 크게 가지되 주의는 세심해야 함을 이르는 말. ≪당서(唐書)≫ <은일전(隱逸傳)>에 나오는 손사막의 말에서 유래한다.
- 斷章取義(단장취의) : 남이 쓴 문장이나 시의 한 부분을 그 문장이나 시가 가진 전체적인 뜻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인용하는 일. 또는 그 인용으로 자기의 주장이나 생각을 합리화하는 일.
- 椽大之筆(연대지필) :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 擧酒屬客(거주촉객) : 잔을 들어 손님에게 권한다는 뜻으로, 송(宋)나라 때 문장가 소식(蘇軾)이 지은 적벽부(赤壁賦)의 일부인데, 적벽의 아름다운 경치를 배경으로 객(客)과 함께 자연을 벗삼아 뱃놀이를 하던 내용에서 유래됨.
- 彫蟲篆刻(조충전각) : 벌레를 새기는 보잘것없는 솜씨라는 뜻으로, 남의 글귀를 토막토막 따다가 맞추는 서투른 재간을 이르는 말.
#상태 110 #가난 90 #무리 64 #바람 136 #중국 253 #인간 65 #얼굴 99 #사물 172 #자신 208 #표현 88 #상황 119 #음식 79 #물건 136 #세월 71 #시대 114 #형용 67 #부부 76 #나라 392 #의지 69 #마음 496 #죽음 73 #방법 59 #서로 71 #조금 96 #실패 56 #어려움 105 #노력 69 #목숨 58 #동안 70 #자리 94
▹ #문장 관련 속담 2개 더 보기
▹ #문장 관련 명언 2개 더 보기
시작하는 단어 끝나는 단어 국어 사전 초성(ㅊㅅ) 속담 한자 사투리(방언) 명언 포함하는 단어
wordrow.kr
??한글이 자랑스럽습니다.
?사랑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출처:우리말샘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 에 관한 한자 (0) | 2021.07.24 |
---|---|
유래 에 관한 한자성어 (0) | 2021.07.24 |
마음 에 관한 한자성어 (0) | 2021.07.24 |
비유, 세상 에 관한 한자성어 (0) | 2021.07.24 |
학문에 관한 한자성어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