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간단한 漢詩 격식 용어풀이
仄起式(측기식) : 한수의 한시에서 첫구 二番字가 仄聲字인 시.
平起式(평기식) : 한수의 한시에서 첫구 二番字가 平聲字인 시.
七言詩(칠언시) : 한수의 詩中 一句가 일곱 글자로 된 시.
五言詩(오언시) : 한수의 詩中 一句가 다섯 글자로 된 시.
絶句(절구) : 한수의 詩가 四句로 된 시.
律詩(율시) : 한수의 詩가 八句로 된 시.
排律(배율) : 한수의 詩가 八句로 이상으로 된 시.
韻目(운목)혹은 韻統(운통) : 上平聲 下平聲 30字.
韻脚(운각) : 韻字中 韻統字 이외의 韻字.
起承轉結(기승전결) : 四句로 된 絶句詩에서 첫째 둘째 셋째 넷째 구를 말함.
首頷頸尾(수함경미) : 八句로 된 律詩에서 첫째와 둘째 구는 수련(首聯), 셋째와 넷째 구는
함련(頷聯), 다섯째와 여섯째 구는 경련(頸聯), 일곱째와 여덟째 구는 미련(尾聯)이라 칭한다. 수함경미는 절구의 기승전결에 해당한다.
出句(출구) : 一聯의 二句中 앞 구를 말함.
對句(대구) : 一聯의 二句中 뒷 구를 말함.
對仗(대장), 對偶(대우) : 율시중 함련과 경련은 반드시 대우구로 이루어야 하는데
출구와 대구가 의장대 처럼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 서로 짝을 이루는 것.
頂節(정절) : 칠언시에서 일구 중 첫번째와 두번째 글자를 말함.
頭節(두절) : 칠언시에서 일구 중 세번째와 네번째 글자를 말함.
腹節(복절) : 칠언시에서 일구 중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글자를 말함.
脚節(각절) : 칠언시에서 일구 중 일곱번째 글자를 말함.
오언시는 頭節(두절) 腹節(복절) 脚節(각절)만 있다. 즉, 頂節(정절)은 없다.
上三字(상삼자) : 칠언시에서 一番字 二番字 三番字 글자를 말함.
中三字(중삼자) : 칠언시에서 三番字 四番字 五番字 글자를 말함.
下三字(하삼자) : 칠언시에서 五番字 六番字 七番字 글자를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