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거(好家居)-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화(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호고(號哭)- 소리를 내어 슬피 욺. 또는 그런 울음. 

  호구(糊口)- 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호구이고수(狐裘而羔袖)- 여우 갖옷에 양 소매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우 갖옷에 양 새끼의 가죽으로 소매를 달면 보기 흉한 것처럼, 대체로 좋으나 작은 부분이 조금 있을 때 사용하는 말.

 호군(護軍)-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때, '장군(將軍)'을 고친 이름.

 호궤(犒饋)- 군사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위로함. ≒호군(?軍)·호석(?錫).

  호궤품(犒饋品)- 군사들에게 하사하는 물품. 오늘날의 위문품.

 호기(好機)- ‘좋은 기회’이며, 

 호기심(好奇心)- ‘기이한 것을 좋아하는 마음’이라는 뜻이다.

 

 호길인오선(故吉人語善)- 그러므로 길한 사람은 선을 말하고

 

 호들갑()- 가볍고 방정맞게 야단을 피우는 말이나 행동.

 호리불벌 장용부가(毫釐不伐 將用斧柯)~ ‘사기’에 이런 말이 있다. 터럭같이 작을 때 베지 않으면 장차는 도끼를 써야 한다는 뜻으로 하찮고 작은 일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호리정(狐狸精)- 여우나 너구리가 둔갑한 것. 도깨비.

 
  호리정노미(狐狸精露尾)- 호리정이 꼬리를 드러낸다는 뜻으로, 위장하고 있던 것이 본성을 드러낸다는 의미.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오랑캐 말은 북풍을 의지한다는 뜻으로, 북풍이 불 때마다 호국을 그리워하는 호마처럼 고향을 잊지 못함을 이르는 말.

 

  호말위구산(毫末爲丘山)-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호명지인능양천승지국(好名之人能讓千乘之國)→名譽(명예)를 좋아하는 사람은 천승의 나라도 양보할 수 있다. 

  호박방(琥珀房)- 소나무 진이 땅속에 들어 천년 묵으면 복령(茯 )이 되고 복령이 천년 묵어 호박이 되는 것으로 문헌에 나온다. 그호박으로 사방 14m, 높이 5m의 방 전체를 7t의 호박 판 22개로 장식한 세계에서 가장 호사스런 방이다.

  호방(虎?)→조선시대 지방관서에서 호전관계(戶典關係)의 실무를 맡아보던 부서, 무과(武科).

  호방(豪放)~ 호탕 걸걸하다.

  호변(號辨)선인들은 자신의 호에 대하여 설명한 변 辨 이나 기 記 를 짓기도 하였고 , 남의 호를 지어줄 때에는 그 글자의 출전이나 뜻을 밝힌 글을 아울러 주기도 하였다 .

  호보(虎步)- 호랑이가 걷는 모양.   *소녀경 9법(九法)

  호부무견자(虎父無犬子)- 호랑이 아비에 개 새끼는 없다는 뜻으로, 잘난 아버지 밑에 못난 아들은 없다는 의미.

 

  호불귀(胡不歸)-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호불면이행지(胡不勉而行之)~ 그러니 어찌 힘써 수행하지 않겠는가?

 

 

 호사불여무(好事不如無)-  좋은 일은 없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좋은 일엔 흔히 나쁜 일이 뒤따르므로, 차라리 처음부터 좋은 일이 없는 것이 낫다는 의미. 곧 ‘無事(무사)’의 본래 의미와 통함.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좋은 일은 문밖으로 나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좋은 일은 세상에 알려지기 어렵다는 의미.

 호상불육어(湖上不鬻魚)-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생모우악생창(好生毛羽惡生瘡)~ 좋으면 깃털처럼 감싸주고 싫으면 부스럼 낸다.

 호서(湖西)-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호소(縞素)- 상복을 입음.

 호시절(好時節) 좋은 때.

 호식(虎食) 호랑이에게 물려간다,

 호신부(護身符)- 재액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니는 신불의 부표.

 호원(胡元)- 蒙古國몽고국을 말함. 始祖시조는 극特氏극특씨. 宋송 寧宗영종때 鐵木眞철목진이 幹難河上간난하상에서 帝제라 自稱자칭하여 號호를 成吉思성길사오이라 하였고 , 그 아들 忽必烈홀필열이 國號국호를 元원이라 일컬었고 宋송을 멸하여 中國중국을 통일하고 燕京연경에 도읍하였다. 그때 彊域강역이 東동으로 東海동해, 南남으로 安南안남, 北북으로 西伯李亞서백리아, 南北남북에는 歐州구주까지 이르러 境域경역이 광대함이 歷代역대에 제일이었음.
 호위(護衛)- 따라다니며 곁에서 보호하고 지킴.

 호유미(狐濡尾)- 여우가 꼬리를 적신다는 뜻으로, 여우가 물을 건너 가다가 막판에 꼬리가 물에 젖어 건너가지 못했다는 이야기에서 일은 시작하기 쉬우나 끝마무리를 하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이관(虎而冠)- 호랑이면서 관을 쓰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은 범처럼 잔인 횡포(殘忍橫暴)하면서도, 사람의 의관(衣冠)을 하여 외모를 꾸미고 있음을 이르는 말 .

 호이지기악(好而知其惡)→좋아하면서도 그 나쁜 점을 알아내고,

 호적수(好敵手)- 좋은 적수라는 뜻으로, 알맞은 상대자(相對者)를 이르는 말.

  호접몽(胡蝶夢)→장자(莊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으로, 현실(現實)과 꿈의 구별(區別)이 안 되는 것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아무리 오랑캐의 땅이라 한들 봄이 왔는데 어찌 풀 한포기, 나무 한 그루 없겠는가 -동방규의 <昭君怨(소군원)>

 호지삼세제불정법(護持三世諸佛正法)→삼세 부처님들의 바른 법을 보호하여 지니고

 호지중계도피안(護持衆戒到彼岸)→모든 계율 지니고 저 언덕 가니

 호탕(豪宕)- 호기롭고 걸걸하다.

 호통(號筒)- 몹시 화가 나서 크게 소리 지르거나 꾸짖음. 또는 그 소리.

 

 호탕건곤활(浩蕩乾坤濶)~ 호탕하게도 건곤은 너르나니

  호포제(戶布制)- 호포로 받던 세금 제도. 양반·상민의 구별 없이 호를 기준으로 군포를 평등하게 징수하자는 주장이었으나, 양반들은 이를 거부하였다.

 호학근호지(好學近乎知)- 배움을 좋아하면 앎에 가깝다는 뜻으로, 학문은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길이므로, 학문 좋아하는 것 자체가 벌써 ‘知’에 가까움을 이르는 말.

 

 호학이불이(好學而不貳)- 한결같이 학문을 좋아 하여라.

 

 호화미견용(好畵未見龍)- 보지 않은 용을 그리기를 좋아함. 곧 이룰 수도 없는 일을 하려고 함의 비유.

 

 혹가혹불가(或可或不可)- 혹은 옳다하고 혹은 옳지 않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은 옳다 하고 어떤 사람은 그르다 하여 가부(可否)가 결정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혹심기어악(或心起於惡)- 또 반대로 마음이 악한 생각을 일으키면,

  혹현도량성정각(或現道場成正覺)→도량에 나타나서 정각을 얻어

  혹현입태급초생(或現入胎及初生)→혹은 태에 들어가고 처음 나오고

  혹형(酷刑)- 가혹하게 벌함. 또는 그런 형벌.  ≒심형(深刑).

 혼돈(混沌)-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사흉 중 하나이다. 머리에 눈코입귀가 없다.
  혼란편고.성정승역(混亂偏枯.性情乘逆)- 사주상 혼란 편고가 되면 그 사주의 性情이 역류되어 막힘이 많다.

  혼전계(混戰計)→상황을 좇아 진퇴하라. 적이 혼란한 틈을 노려 승기를 잡는 전략이다

  혼천의(渾天儀)- 고대 중국에서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 해시계

 혼혼연(混混然)~ 물이 많이 흐르는 모양,

 혼후(渾厚)→사람됨이 크고 원만함.

 홀여조과목(忽如鳥過目)- 홀연히 새가 눈앞을 지나가는 것 같다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홍곡(鴻鵠)- 큰기러기,고니, 곧 큰인물을 말함.

 

  홍곡고비부집오지(鴻鵠高飛不集汚地)- 큰기러기와 고니는 높이 날면서 더러운 땅에는 모이지 않는다 대인은 사사로운 이득에 마음을 팔지 않고 소인은 이익이라면 어떻게든 취하려 한다.

 

 홍등가(紅燈街)- 붉은 등이 켜져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유곽(遊廓)이나 화류계(花柳界)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홍문록(弘文錄)- 홍문관에 속한 교리, 수찬 등의 관리 명부

  홍사촉(紅紗燭)- 임금의 밤길을 밝혀주는 등

  홍예벽(虹霓甓)- 홍예문을 쌓는 데 쓰는 쐐기 모양의 벽돌. 위는 반원형으로 둥글넓적 하게 퍼지고 밑동은 반원형으로 안으로 패어 좁다. ≒홍예벽돌.

  홍일점(紅一點)- 붉은 한 점이라는 뜻으로, 푸른 풀 속에 핀 한 떨기의 붉은 꽃의 의미에서 여러 남자들 중에 홀로 끼여 있는 여자를 비유하거나, 여럿 속에서 특별히 뛰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화가(畵家)-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이 경우의‘家'는 ‘학문이나 예능 분야에 전문적인 기능을 가진 사람’을 나타낸다.

  화갑(華甲)- 61세를 일컬음. 「화(華)」자는 십(十)이 여섯 개에다 일(一)이 하나 있으므로 61세를 나타내며, 회갑(回甲) 또는 환갑(還甲)이라고도 함
  화골산(化骨散)- 살을 녹여 뼈만 남기는 극악한 독약. 뼈조차 남기지 않고 누런 혈수로 만든다고 묘사되기도 한다. 살해 후 증거인멸을 위해 사용되었다. 식골산도 같은 종류의 독이다.

 화기어세미(禍起於細微)- 화는 작고 미세한 것에서 일어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서 재앙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

 

 화득신이치(火得薪而熾)-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화류계(花柳界)- 노는계집들의 사회(社會).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열흘 붉은 꽃이 없음.

 

  화발다풍우(花發多風雨)- 꽃이 피면 비바람이 많다는 뜻으로, 꽃샘추위의 비바람이 꽃을 떨어뜨리듯이, 인간 세상의 만사가 마음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화백(畫伯)→ 화가()의 높임말

  화병(畵餠) : '그림 속의 떡에 불과하다'란 뜻으로 실력없이 명성만 화려한 자를 말한다.

 

  화복무문 유인자초적선지가 필유여경(禍福無門 惟人自招積善之家 必有餘慶)~ 화와 복에는 문이 없고 오직 사람이 자초하는 일이다 선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경사스러움이 있다

  화색(和色)- 얼굴에 드러나는 온화하고 환한 빛.

 

 화생(火生)~ 비로사나불이란 인류를 구하기 위해 석가가 인간의 몸으로 화생(火生)하여 세상에 나타났다고 보는 입장에서 석가를 화신불이라하고 석가불이 설한 불멸의 법을 상징하여 형상화한 것이 법신불이란 뜻의 비로사나불이다.

 

 화생어해타(禍生於懈惰)- 재앙은 게으름에서 생김.부지런하여라. 화는 게으름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화생우해타(禍生于懈惰)-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김.

  화석망(花石網)-宋송 徽宗휘종이 珍奇진기한 물건을 좋아하며 특히 奇花기화와 怪石괴석을 偏愛편애하므로 蔡京채경이 徽宗휘종의 뜻을 맞추려고 浙中珍異절중진이를 구하며, 축로축로(배)에 싣고 淮水변水회수변수에 연달아 운반하였으므로 그 광경을 花石網화석망이라 불렀고, 그 花石網화석망의 幣風폐풍은 당시 큰 소란을 일으켰음.

 

  화순제가지본(和順齊家之本)~ 화목하고 존중하는 것은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이다

 

  화시화이기의-불가이위근(花是花而己矣-不可以爲根)~ 꽃은 꽃일 뿐 뿌리가 되지 못한다.

  화심(禍心)- 남을 해치려는 마음.

  화악(華?)→꽃과 꽃받침. 곧 형제 동기.

  화암춘경만(花巖春景晩)→화암에봄이 저무누나.

  화요일(火曜日)- ‘불이 빛나는 날’이라는 뜻이다.

  화원(院)- =한림도화원. 궁정에서 그림 그리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화응(和應)- 화답하여 응함. 또는 화답하여 함께 느낌.

  화인(華人)- 중국인이 스스로 자기 백성을 높여 이르는 말.

  화재우호리(禍在于好利)- 이익을 탐하지 마라. 이익을 탐하는 사람은 재화를 부르는 일이 많다.

  화조사(花鳥使)- 꽃과 새를 찾는 사신이라는 뜻으로,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는 사람. 곧 사랑의 사신.

 

  화중화(花中花)-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인.

  화촉(華燭)- ①빛깔 들인 밀초 ②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밀초 ③혼인식(婚姻式) 따위에서 좌상의 등화. 뜻이 바뀌어 '혼례(婚禮)'를 달리 일컫는 말이 되었음.

  화태 [禍胎] 재앙의 근원. 또는 재앙이 일어나는 근본이 되는 빌미.

  화토상관 상진최호(火土傷官 傷盡最好)- 화토상관격자는 傷盡함이 가장 좋다.

  화토질(化土質)→토양 휴마스,마산포구로 이렇게 조개껍질이 아직도 그때에 있었던 굴껍데기와 조개로 화토질과 석회질이 풍부해 포도밭 군데군데 가 이런토질 이네요.

  화평(和平)- 화목하고 평온함.

   화혜복지소의(禍兮福之所倚)- 화와 복은 서로 의지(依支)하고 있음
  화호난화골지인미지심(畵虎難畵骨知人未知心)- 호랑이를 그리되 뼈를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마음까지 알기는 어려움
  화호불성반류구(畵虎不成反類狗)→호랑이를 그리려다 개를 그리다

  화혼식(花婚式)- 결혼(結婚) 7주년(周年ㆍ週年)

  화홍황봉료초록백마시(花紅黃蜂鬧草綠白馬嘶)- 꽃이 붉으니 누런 벌이 시끄럽고, 풀이 푸르니 흰 말이 움
  화통(和通)~ 화합과 소통,

  확신(確信)- 굳게 믿다. 굳게 믿음

  확청(廓淸)- 지저분하고 어지럽던 물건이나 제도를 없애서 깨끗하게 함.

  확청(廓淸)적을 깨끗이 쓸어 없앰.

  환갑(還甲)- ①나이 만 60세를 가리키는 말②61세 때의 생신으로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意味)
  환고향(還故鄕)-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환곡(還穀)- 곡식을 사창(社倉)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또는 그 곡식. ≒환상(還上)·환자(還子).

  환골(換骨)- 도가(道家)에서, 인간(人間)이 속골을 선골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나는 일. 즉 '신선(神仙)이 되는 일'을 일컬음. 환골우화(換骨羽化). 얼굴이 전보다 훨씬 아름다워지고 환하게 틔어서 딴 사람처럼 됨. 남이 지은 글의 뜻을 본떠서 지었으나, 더욱 아름답고 새로운 글이 됨. 환골탈태(換骨奪胎)
  환도(環刀)- 군복에 갖추어 차던 군도(軍刀).

  환로(宦路)- 벼슬살이를 하는 길.

  환생이두연(還生李杜然)- 이백과 두보가 환생하기라도 한 듯.

  환심(歡心,換心)- 기쁘거나 흐뭇하게 여기는 마음. 마음이 정상적인 상태를 벗어나 제정신이 아닌 듯한 상태로 됨.
  환아(換鵝)- 글씨를 청해 얻음을 이르는 말

  환연(煥淵)- 법망(法網)을 피(避)하여 삿갓을 쓰고 숨어 다닌 사람이다.

  환영(桓靈)- 桓帝환제와 靈帝영제

  환장(換腸)- 마음이 정상적인 상태를 벗어나 뒤집히다.

  환지무성,간지무형(喚之無聲~看之無形)~ 깨치면 차별을 여의므로 [無聲無形].

 

  환지지불립(患志之不立)~ 뜻을 세우지 못한 것을 근심한다.

  환청(幻聽)- 주위에 사람이나 소리나는 사물이 아무것도 없는데도 어떤 소리나 사람 목소리가 들려오는 조현증(정신분열증)의 한 증상.

  환탈(換奪)- 얼굴이 전보다 훨씬 아름다워지고 환하게 틔어서 딴 사람처럼 됨. 남이 지은 글의 뜻을 본떠서 지었으나, 더욱 아름답고 새로운 글이 됨. 환골탈태(換骨奪胎)
 환호성(歡呼聲)- 기뻐서 크게 부르짖는 소리.

  환희지(歡喜地)→ 기쁨의 자리

  활사인(活死人)- 살아있으면서 죽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한평생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는 사람의 의미에서 바보나 천치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활용(活用)~ 융통성(融通性)이란 유일한 원칙. 이리저리 잘 이용하다.

  황감(惶感)- 황송할만큼 감사함. 황송하고 감격스러움.

  황겁(惶怯)- 당황해서 겁에 질림.

  황견유부외손제구(黃絹幼婦外孫虀臼)→‘누런 비단과 어린 부인 및 딸의 자식과 부추 절구’란 겉뜻이지만, 속뜻은 ‘절묘호사(絶妙好辭, 아주 묘하고 좋은 말)’임.

  황고(皇考)- ①'돌아간 아버지'의 높임말 ②'증조(曾祖)'의 높임말
  황고(皇姑)- ①'돌아간 시어머니'의 높임말 ②아버지의 고모(姑母). 곧 할아버지의 누이
  황고(皇考)-  임금이 아버지인 선왕을 일컫는 말

  황관(黃冠)- 풀로 만든 평민(平民)의 관이란 뜻으로, ①'벼슬 못한 사람'의 일컬음 ②도사의 관 ③또는, 도사
  황구(黃口)- 새 새끼의 주둥이가 노랗다는 뜻에서, '어린아이'를 일컬음

  황내붕조비지방(況乃鵬鳥飛止傍)~ 하물며 올빼미도 곁을 날도다.

  황당(荒唐)- 말이나 행동 따위가 참되지 않고 터무니없다.

  황도부신야(皇圖符信也)~

  황량몽(黃粱夢)- 중국(中國) 당(唐)나라 때 노생(老生)이 한단으로 가는 길에 주막에서 도사 여옹을 만나 그 베개를 빌어 베고 자면서 일생(一生)의 영화(榮華)를 꿈꾸었다는 데에서 나온 말로, 세상(世上)의 부귀영화(富貴榮華)가 덧없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 부귀(富貴) 공명(功名)이 꿈처럼 덧없음의 비유(比喩), 또 바뀌어, 다만 꿈의 뜻으로도 쓰임
 황량일취지몽(黃粱一炊之夢)-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황망(
慌忙)- 마음이 몹시 급하여 당황하고 허둥지둥하는 면이 있음.

  황밀(黃蜜)- 벌통에서 떠낸 그대로의 꿀.

  황송(惶悚)- 분에 넘쳐 고맙고도 송구하다.

  황장(皇丈)- 임금의 장인.

  황장목(黃腸木)- 임금의 관을 만드는 데 쓰던, 질이 좋은 소나무. ≒황장(黃腸).

  황정(荒政)- 1 흉년에 백성을 구하는 정책. 2 임금이 정사를 게을리 하는 것.

  황제(皇帝)- 秦皇진황 政정이 천하를 통일한 뒤에 德덕이 三皇을 더불고 功공이 五帝오제에 미친다 하여 皇帝황제라 일컬음. 皇帝황제란 말은 秦始皇진시황으로부터 시작되었음.

  황조(皇祖)- 임금이 할아버지였던 선왕을 일컫는 말

  황종(黃鐘)- <음악>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첫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자(子),절후는 음력 11월에 해당한다.

  황지(皇旨)- 황제의 지시.

   황천(黃泉)→사람이 죽어간다는곳. 저승.

 황하천년일청(黃河千年一淸)- 황하(黃河)가 천 년에 한 번쯤 맑을 수 있을지 모름. 곧 성인(聖人)이 나기 어려움,

  황형(皇兄)- 인종-명종, 경종-영조와 같이 형-아우 관계로 왕위를 이었을 경우 아우인 임금이 형인 선왕(先王)을 일?는 말

  황혼하죽간(黃昏荷竹竿)→황혼에 낚싯대 메고

  황홀감(怳惚感)- 놀랍거나 감격스럽거나 하여 어지러운 느낌.

  회갑(回甲)-  만 60세의 생일(生日). 나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61)

  회격(灰隔)- 관을 구덩이 속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다짐.

  회독(淮瀆)- 강물을 담은 그릇

  회리(回鯉)- 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대답함을 이르는 말

  회반(回斑)- 홍역 따위의 병으로 몸에 돋았던 반점이 없어짐.

  회시(會試)- 1 =국자감시. 2 =복시(覆試).

  회자(膾炙)~ 널리 많은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름.

  회포(懷抱)- 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정.

  회혼례(回婚禮)- 회혼(回婚)을 축하(祝賀)하는 잔치. 즉, 결혼 60주년을 맞은 부부가 자손들앞에서 혼례복을 입고 기념(紀念ㆍ記念)하는 의례식(儀禮式). 다이아몬드 혼식. 다이아몬드 식(式)
  회혼식(回婚式)- ‘회혼례’를 기념 의식으로 이르는 말. =회혼례(回婚禮)

 획어여래자재력(獲於如來自在力)→여래의 자재한 힘 얻으셨으니

  획창()- 국궁(國弓)에서, 활을 쏘아 과녁을 맞혔을 경우에 “맞혔소.”하고 외치는 사람.

  횡대(橫帶)- 관을 묻은 뒤에 구덩이 위에 덮는 널조각.

  횡해린(橫海鱗)- 바다에 가득 찰 물고기라는 뜻으로, 바다를 채울 정도의 큰 물고기의 의미에서 훌륭한 인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횡행(橫行)-  이곳저곳에서 마구 벌어지거나 나타나다.나쁜 일이 이곳저곳에서 마구 벌어지거나 나타남.

  효감천(孝感泉)- 효행이 지극했던 오준(1444~1494)공의 지성에 하늘이 감동하여 생긴 샘물 이라 전한다.

 효경(梟?)→나쁜 짐승. 효(梟)는 어미를 잡아먹는 새이고, 경(?)은 아비를 잡아먹는 짐승임. 

  효경(梟?)- 어미 새를 잡아먹는다는 올빼미와 아비를 잡아먹는다는 짐승이라는 뜻으로,배은망덕하고 흉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효광(梟?)→흉악한 무리.

  효도(孝道)- 어버이에게 정성껏 효도하여, 자식된 도리를 다하라.

 

  효백행지원(孝百行之源)- 효는 백가지 행실의 근원이다.

 

  효빈(效顰)- 찡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주관을 잊고 맹목적이고 함부로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효색조림돈(曉色照林墩)~ 새벽 빛은 수풀 언덕을 비추는데

 

  효쇠어처자(孝衰於妻子)- 효는 처자식에게서 쇠퇴해짐.

  효술(孝述)-

  효시(曉示)- 알아듣도록 타이름.

  효시(嚆矢)-소리 나는 화살. 우는살. 嚆矢(효시), 響箭(향전), 響音箭(향음전), 鳴鏑(명적) 등으로 부르는 화살.

  효유(曉諭/曉喩)- 깨달아 알아듣도록 타이름.

  효유(曉諭/曉喩)- =효시 [曉示] 깨달아 알아듣도록 타이름

  효자즉충신(孝子卽忠臣)- 부모에게 효도를 못하는 사람은 윗사람에게도 충실하지 못하다.

 

  효파경(梟破鏡)- 올빼미의 파경이라는 뜻으로, 올빼미가 어미새를 잡아먹는 새고, ‘破鏡’은 아비 짐승을 잡아먹는 짐승이기 때문에 흉악무도(凶惡無道)한 악인을 이르는 말.

 

 

후골(喉骨)- 성년 남자의 갑상 연골에 있는 불룩한 부분. ≒울대뼈·후불(喉佛).

  후덕(厚德)-‘두터운 덕을 갖춘, 덕이 풍부한’이라는 뜻이다.

  후레자식 : 원래는 아비 없이 자란 자식을 일컫음.

  후목불가조야 분토지장 불가오야 어자여하주(朽木不可雕也 糞土之墻 不可圬也 於子與何誅)~ [論語 公冶長] :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거름흙으로 쌓은 담장은 흙 손질 할 수 없다. 내 자여에게 뭐라고 꾸짖을 수 있느냐. 제자인 자여(子與)는 평소 말을 잘했으나, 行實이 이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孔子는 위와 같이 말한 것이다.

 

  후래(后來)- 임금께서 오시니

 

  후배(後輩)- ‘뒤에 나온 무리’라는 뜻이다.

 

  후복막 종양(後腹莫腫瘍)- 암이나 육종 등.

 

  후삭어육마(朽索馭六馬)- 썩은 새끼로 여섯 필의 말을 몬다는 뜻으로, 매우 어렵고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후설(喉舌)→승지(承旨).

  후시이불식기보(厚施而不食其報)- 두터이 은덕을 베풀고도 그 응보를 다 받아 누리지 않아서  

 

  후신자선굴(後伸者先屈)- 노력하여라. 크게 발전하려는 사람은 크게 노력하여야 한다.

 

 

  후종간즉성(后從諫則聖)- 임금도 간함을 따르면 성군이 됨.

  훈구(勳舊)- 대대로 나라나 임금을 위하여 공로를 세운 집안이나 신하.

  휘(諱)- 임금의 이름. 휘는 '피한다'라는 뜻으로 임금의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 없다는 이유

  휘검향적세(揮劍向賊勢)- 내략세, 외략세, 내략세를 세 번 연속으로 하며 나간다. 모두 오른발 체보로 우수우각이다.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휘장(揮帳)-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휘탈이호구(揮梲而呼狗)- 몽둥이를 휘두르며 개를 부름.

  휴거(休居)- '쉬어가며 살다,즉‘직장에서 물러나 살아가다’는 뜻이다.

  휴정대사(休靜大師)- =서산대사 <인명> 조선 선조 때의 중(1520~1604). 속성(俗姓)은 최(崔). 자는 현응(玄應). 법호는 청허(淸虛)·서산(西山).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의 총수가 되어 서울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유(儒)·불(佛)·도(道) 3교 통합설의 기반을 마련하고 교종(敎宗)을 선종(禪宗)에 포섭하였다. 저서에 《청허당집》, <선가귀감>등이 있음.

  흉가(凶家)-드는 사람마다 흉한 일을 당하는 불길한 집. 흉갓집.

  흉강(胸腔)- 흉곽 안에 있는 넓은 공간. 선단(先端)은 위로 향한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의 폐 및 심장으로 가득 차 있다.

  흉걸(凶桀)→흉악하고 횡포함.

  흉계(凶計)- 음흉하고 악독한 꾀나 방책, 사람 몸통의 왼쪽 아래 부분에서 느낄 수 있는 심장의 고동.

  흉교(凶交)→흉악하고 교활함. 또 그 사람.

  흉구(凶咎)재앙. 재화(災禍).

  흉구(凶寇)→쳐들어온 흉악한 적(敵).
  흉근(凶饉)→흉년으로 기근이 듦.
  흉기(凶器) ①사람을 죽이거나 해치는 데 쓰는 도구. ②상사(喪事)에 쓰는 제구. 흉구(凶具).
  흉년(凶年)→수해(水害)ㆍ풍해(風害)ㆍ냉해(冷害)ㆍ충해(蟲害) 따위로 농작물이 잘되지 않은 해. 흉세(凶歲).
  흉녕(凶獰)→성질이 흉악하고 사나움. 흉악.
  흉당(凶黨)→흉악(凶惡)한 무리. 흉도(凶徒).
  흉덕(凶德)→성질이나 행실이 흉악함. 또는 그런 성질이나 행실.
  흉도(凶徒)→①흉악하고 사나운 무리. 흉당(凶黨). ②모반인(謀叛人)이나 폭도.
  흉독(凶毒)→맹렬한 독(毒).
 흉려(凶戾)흉악하고 횡포함.
  흉례(凶禮)상중(喪中)에 행하는 예절(禮節). 상례(喪禮).

  흉류(凶類)흉악한 무리.

  흉맹(凶猛/兇猛)흉악하고 사납다.
  흉모(凶謀)음흉한 꾀. 흉계(凶計).
  흉몽(凶夢)불길(不吉)한 꿈.
  흉문(凶問) ①사람이 죽었다는 소식. 부고(訃告). ②좋지 못한 소식.
  흉물(凶物)성질이 음흉한 사람.
  흉범(凶犯)살인범 따위 흉악한 범인.
  흉변(凶變)사람이 죽는 것과 같은 불길한 사건.
  흉보(凶報)불길(不吉)한 기별. 사람이 죽었다는 통지. 흉음(凶音).
  흉복(凶服)상옷. 상복(喪服).
  흉사(凶邪)흉측하고 간사(奸詐)함. 또 그 사람. 간섬(姦).
  흉사(凶事) ①흉하고 언짢은 일. ②사람이 죽는 일. ③불길한 일. ④싸움. 전쟁.
  흉살(凶煞)불길한 운수나 흉한 귀신. 사기(邪氣).
  흉상(凶狀) ①음충맞고 험악한 태도. ②괴악(怪惡)한 모양.
  흉상(凶相) ①좋지 못한 상격(相格). ②보기 흉한 몰골.
  흉설(凶說)음흉하고 험한 말.
  흉섬(凶)흉악하고 간사함.
  흉성(凶星)불길한 징조가 있는 별.
  흉세(凶歲)흉년(凶年).
  흉수(凶手)흉악한 짓을 하는 솜씨.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흉수(凶竪)흉악한 소인(小人).
  흉신(凶神)좋지 못한 귀신.
(凶惡)  흉악> ①성질이 거칠고 사나움. ②용모가 험상궂고 고약함.
(凶액)  흉액> 재난(災難). 재앙.
(凶穰)  흉양> 곡식(穀食)의 잘 여묾과 안 여묾. 풍년과 흉년.
(凶漁)  흉어> 다른 때보다 물고기가 아주 적게 잡힘.<br>
(凶逆)  흉역> 임금께 불충(不忠)하고 부모께 불효(不孝)하는 흉악한 짓. 또는 그러한 짓을 하는 사람. 악역(惡逆). 흉패(凶悖).<br>
(凶&#)  흉염> 흉악한 기세. 또 흉악한 사람의 세력.<br>
(凶穢)  흉예> 흉악하고 더러움. 또 그 사람.<br>
(凶愚)  흉우> 흉악하고 미련함. 또 그 사람.<br>
(凶威)  흉위> 흉악한 사람의 위세(威勢). 흉염.(凶燄).<br>
(凶音)  흉음> ①좋지 않은 일의 기별. ②죽음을 알리는 소식. 부음(訃音).<br>
(凶衣)  흉의> 흉복(凶服).<br>
(凶人)  흉인> 흉악한 사람.<br>
(凶日)  흉일> 불길한 날. 언짢은 날.<br>
(凶恣)  흉자> 흉악하고 방자(放恣)함.<br>
(凶作)  흉작> 농작물의 수확이 평년작을 훨씬 밑도는 일. 또는 그런 농사.<br>
(凶雜)  흉잡> 흉악(凶惡)하고 난잡함.<br>
(凶賊)  흉적> 흉악한 도적.<br>
(凶兆)  흉조> 불길(不吉)한 징조.<br>
(凶終)  흉종> 수재(水災)ㆍ화재(火災)ㆍ흉한(凶漢)ㆍ형륙(刑戮) 따위로 끔찍스럽게 죽는 일.<br>
(凶證)  흉증> 흉조(凶兆).<br>
(凶地)  흉지> 풍속이 나쁜 땅.<br>
(凶札)  흉찰> 기근(饑饉)이나 역병(疫病)이 유행하는 해.<br>
(凶慘)  흉참> 흉악하고 참옥함.<br>
(凶醜)  흉추> 흉악한 무리. 흉도(凶徒).<br>
(凶慝)  흉특> 성질이 흉악(凶惡)하고 간특(奸慝)함. 특(慝)은 악(惡).<br>
(凶悖)  흉패> 흉역(凶逆). <br>
(凶暴)  흉포> 흉악하고 포학(暴虐)함.<br>
(凶風)  흉풍> ①매우 사나운 바람. ②음흉스럽고 타락한 기풍이나 풍조.<br>
(凶豊)  흉풍> 흉년과 풍년. 흉작과 풍작.<br>
(凶虐)  흉학> 성질이 악하고 사나움.
  흉한(凶漢) ①악한. ②흉악한 짓을 하는 사람.
  흉할(凶)흉측하고 약음.
  흉해(凶害) ①재앙. 재화(災禍). ②끔찍한 짓으로 사람을 죽임.
  흉험(凶險)흉악하고 음험(陰險)함.
  흉화(凶禍) ①흉악한 재화(災禍). ②부모의 상사(喪事).
  흉환(凶患)재앙과 환난(患難).
  흉활(凶猾)흉교(凶狡).
  흉황(凶荒)흉작으로 농사가 결딴남. 기근(飢饉).
  흉변(凶變)사람의 죽음과 같은 좋지 못한 사건.

  흉복대(胸腹帶)가슴과 배의 부근,

  흉신심장-식호지환(凶神深藏-食虎之患) 凶神이 深藏되어 있음은 食人虎(범)이 숨어 있는 것 같은 憂患이 있다.

  흉회일(凶會日)-음양가(陰陽家)에서 음양상극(陰陽相剋)하여 사업(事業)을 하는데 흉(凶)하다고 하는 날.
  희구(希求)- 바라고 구함.

 

 

 

한자성어---(흐-히)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되기도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흑우생일독(黑牛生日犢)- =새옹지마(塞翁之馬), =새옹화복(塞翁禍福),

 흑패(黑牌)패자(牌子)-묵패(墨牌)라고도 하였다. 서원에서 상민들을 호출하거나 잡부금을 모금할 때 발송하던 문서로서, 서원의 도장을 먹으로 찍었던 까닭에 이러한 명칭이 생겼다.

흥망(興亡]- 잘되어 번성하여 일어남과 못되어 다해 없어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흥일리 불약제일해, 생일사 불여성일사 (興一利 不若除一害, 生一事 不如省一事)~ [元史 耶律楚材傳(야율초재전) 한 가지 이로운 일을 시작하는 것은 한 가지 해로운 일을 제거하는 것만 같지 못하고, 한 가지 일을 만들어내는 것은 한 가지 일을 줄이는 것만 같지 못하다. 곧 새로운 일을 하나 시작하는 것보다 해로운 일을 한 가지 제거하는 편이 훨씬 낫다는 말이다.

 희비쌍곡선(喜悲雙曲線) 기쁨과 슬픔이 두 개의 나란한 선으로 이어간다는 뜻으로, 기쁨과 슬픔이 한꺼번에 생겨서 얽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희생(犧牲)천지종묘(天地宗廟) 제사(祭祀) 때 제물로 바치는 산 짐승을 일컫는 말,

  희생양(犧牲羊) 희생으로 쓰이는 양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바치거나 버리는 대상. 또는 그것을 빼앗긴 대상의 의미.

  희수(稀壽) (사람 나이의) 일흔 살

  희수(喜壽) 희(喜)자를 칠로도 썼기 때문에 희수(喜壽)는 七 + 七세 즉, 77세를 일컬음
희신불명-선현태월(喜神不明-先觀胎月) 사주상 용신이 不明하면 태월를 참조하라.

 힐문(詰問) 트집을 잡아 따져 물음.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격언 1  (0) 2017.05.21
뜻이 좋은 고사성어   (0) 2017.04.27
천자문 한 句  (0) 2017.01.10
[스크랩] 한문 명언.명담(漢文 名言.名談)  (0) 2015.12.18
子矜  (0) 2015.02.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