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개 (爬疥) 한유(韓愈)의 시에, “번거로움을 덞이 종기를 째는 것 같아라.

오른 데를 긁듯이 정말 기분이 시원하다네.[祛煩類決癰 ? 興劇爬疥]

파경 (葩經) 시경(詩經)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시경(詩經)은 바르고 꽃봉오리와 같다.[詩正而葦]" 하였다.

파교 (灞橋) 파수(灞水)의 다리. 파교의 버드나무는 이별의 징표. 또는 눈보라가 날리는 날 파교를 건너면 좋은 시가 떠오른다고 함. 현제 심사정(沈師正)의 파교기려도(灞橋騎驢圖)가 있음. [: 양원(梁苑) ]

파괴 (破壞) 파손(破損)

파다 (頗多) 자못 많다. [: 탁락(卓犖) 탁월(卓越) ]

파도 (波濤) 파란(波瀾) 파랑(波浪)

파라 (波羅) 호랑이 범의 별칭.

파란 (波瀾) 파도(波濤) 파랑(波浪)

파랑 (波浪) 파도(波濤) 파란(波瀾) [: 개진(芥塵) 누진(累塵) 풍운(風雲) ]

파륜 (破倫) 패륜(悖倫) 윤리를 깸.

파문 (波紋) 물 위에 이는 물결 [: 금막(錦幕) ]

파사 (破邪) 옳지 못한 것을 깨뜨리다. [: 창의(彰義) ]

파사 (婆娑) 춤추는 소매가 가볍게 나부끼는 모양.쇠퇴하는 모양.하늘거리는 모양. [: 만발(滿發) 무성(茂盛) 요나( ) 적력(滴瀝) 축발(蹙發) 탕양() ]

파손 (破損) 파괴(破壞)

파심 (波心) 물결의 중심. [: 악색(岳色) 수면(水面) ]

파적 (破的) 과녁에 적중시킴. 말과 글이 이치에 꼭 들어맞는 것을 말한다.

요점을 찔러 정확하게 말하는 것

파적 (破寂) 고요함을 깨뜨림. [: 소수(消愁) ]

파종 (播種) 씨를 뿌림 [: 시비(施肥) 이앙(移秧) 재배(栽培) ]

팔도 (八道) 팔역(八域) (: 삼한(三韓) 천산(千山) ]

팔역 (八域) 팔도(八道) (: 삼경(三更) 삼한(三韓) 천년(千年) 천산(千山) ]

패기 (覇氣) 남을 억누를 정도의 기운. [: 함성(喊聲) ]

패륜 (悖倫) 파륜(破倫) 윤리에 어긋난 행동 [: 양속(良俗) 의례(儀禮) ]

패성 (沛城) 풍패(豊沛)

패습 (悖習) 폐습(弊習) 좋지 않은 버릇이나 풍습

패어 (唄語) 찬불(讚佛)하는 소리. [: 임궁(琳宮) 가람(伽藍) 승방(僧坊) ]

패주 (佩酒) 패준(佩樽) 패호(佩壺) [: 간서(看書) 휴공(?) 휴화(携花) ]

패주 (敗走) 패배(敗北) 전쟁에서 져 달아남 [: 지휘(指揮) ]

패준 (佩樽) 패주(佩酒) 패호(佩壺) [: 휴장(携杖) 휴축(携軸) ]

패축 (佩軸) 두루마리를 들다. [: 휴공(?) 휴준(携樽) ]

패축휴준 (佩軸携樽) 시축과 술병을 들다

[: 탐화문류(探花問柳) 음시소영(吟詩嘯詠) ]

패호 (佩壺) 패주(佩酒) 패준(佩樽) [: 휴장(携杖) 휴축(携軸) ]

팽다 (烹茶) 전다(煎茶) 차를 끓이다. [: 세연(洗硯) 작주(酌酒) ]

팽두이숙 (烹頭耳熟) 머리를 삶으면 귀도 삶아진다.

팽배 (澎湃) 기세가 일어남. 물결이 위로 솟구침.

팽조 (彭祖) 팔백세를 살며 장수의 복록을 누림. [: 분양(汾陽) ]

팽창 (膨脹) 부풀어 오름. 부피가 커짐. [: 말소(抹消) 주저(躊躇) ]

팽택 (彭澤) 도연명(陶淵明)이 현령(縣令)으로 있던 고을. 버들과 국화.

[: 나부(羅浮) 수제(隋提) ]

편다 (偏多) 편다(遍多) 두루 많다. [: 최란(最亂) ]

편련 (偏憐) 한쪽이 불쌍함. [: 가애(可愛) 최애(最愛) ]

편번 (翩翻) 날거나 나부끼는 모양. 펄럭펄럭 나는 모양. [: 요조(窈窕) ]

편수 (編修) 책을 편집 수정함.

[: 찬술(撰述) 찬술(纂述) 찬집(撰集) 찬집(纂輯) 제작(製作) 저술(著述) ]

  편편 (翩翩) 훨훨 날아가는 모습 [: 인인(咽咽) 흡흡(恰恰) ]

  편편 (片片) 가볍게 나는 모양. 여러 조각이 난 모양. 조각조각

[: 분분(紛紛) 비비(霏霏) 초초(稍稍) ]

편편 (編編) 장장(章章) [: 운운(韻韻) 구구(句句) 절절(節節) ]

평생 (平生) 생평(生平) 일생(一生) [: 매사(每事) 일로(一路) ]

평석 (平昔) 평소(平素). . 예전부터.

평소 (平素) 평석(平昔) [: 석시(昔時) 시종(始終) ]

평안 (平安) 편안(便安) 안락(安樂) 안온(安穩) [: 문란(紊亂) ]

평야 (平野) 대야(大野) [: 고루(高樓) 고촌(古村) 기봉(奇峯) 대강(大江)

대하(大河) 소계(小溪) 연산(連山) ]

평이 (平易) 평탄(平坦) 평평(平平)

평탄 (平坦) 평평(平平) 평이(平易)

평평 (平平) 평탄한 모습. 고요하고 공평한 모습 [: 탕탕(蕩蕩) ]

평화 (平和) 평온하고 화목함. [: 우애(友愛) 우호(友好) 조약(條約) ]

폐퇴 (廢頹) 황폐하여 무너짐 [: 영락(零落) ]

포계 (匏繫): 한 곳에 매달린 뒤웅박이라는 말로, 벼슬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골에 내려가 한가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내가 어찌 뒤웅박처럼 한 곳에 매달린 채 먹기를 구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포곡 (布穀) 뻐꾸기. 뻐꾹 소리의 의태어.

[: 농옹(農翁) 봉군(蜂群) 유사(遊絲) 창경(鶬鶊) ]

포기 (抛棄) 하던 일을 그만 둠 [: 상봉(相逢) ]

포덕 (布德) 덕을 펼침. 천도교에서 포교를 하는 것.

[: 숭문(崇文) 명륜(明倫) 시인(施仁) ]

포도 (葡萄) 초룡(草龍)

포선 (抛扇) 황제에게 홀대를 당한 반희(班姬)가 시를 지어 심경을 나타냈는데, 가을이 되자 부채 바람이 싫어 부채를 버리듯자신을 버렸다고한탄을 했다는고사.

포식 (飽食) 포끽(飽喫) 배부르게 먹다. [:

포연 (砲煙) 총포의 연기 [: 탄우(彈雨) ]

포효 (咆哮) 짐승이 울부짖는 소리. [: 탐저(?) 응시(凝視) ]

표락 (飄落) 소용돌이치며 떨어지다. [: 난비(亂飛) ]

표령 (飄零) 나부껴서 흩날림. 신세가 처량하게 되다.

[: 늠렬(凜烈) 율렬(慄冽) 적막(寂寞) 낭자(狼藉) ]

표모 (漂母) 빨래하는 늙은 여자. [: 학도(學徒) ]

표묘 (縹緲) 표묘(縹渺) 끝없이 넓거나 멀어 어렴풋하다. 아련하다. 희미하다. [: 선명(鮮明) 외아(巍峨) 기구(崎嶇) ]

표박 (漂迫)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 [: 미망(微茫) 방황(彷徨) ]

표불 (飄拂) 표비(飄飛) 표양(飄揚) 표표히 일어나나. [: 균점(均霑)균첨(均沾) ]

표풍 (飄風) 바람에 나부끼다 [: 토복(吐馥) ]

표비 (飄飛) 표불(飄拂) 표양(飄揚) 표표히 나는 모습.[: 조락(凋落)탕양(蕩敭) ]

표열 (慓冽) 가을. 찬 공기.

표양 (飄揚) 표비(飄飛) 표불(飄拂) 표표히 나는 모습.[: 조락(凋落)탕양(蕩敭) ]

표요 (飄嬝) 바람이 불다. [: 난발(爛發) ]

표표 (飄飄) 정처 없이 떠도는 모양. 세상일에 구애하지 않는 모양

[: 슬슬(瑟瑟) 작작(灼灼) ]

품격 (品格) 기품(氣品) 천품(天稟) [: 성정(性情) 형용(形容) ]

품행 (品行) 행동(行動) [: 방명(芳名) ]

풍경 (風磬) 풍령(風鈴)

풍공 (豊功) 대공(大功) 홍공(鴻功) 매운 큰 공훈 [: 비결(秘決) 위업(偉業) ]

풍광 (風光) 풍경(風景). 풍물(風物) 어떤 지방의 경치. [: 경색(景色) 안영(雁影) 우기(雨氣) 우의(雨意) 자태(姿態) ]

풍교 (風敎) 풍화(風化) 정치를 잘 하여 풍습을 잘 교화시킴 [: 정치(政治) ]

풍년 (豊年) 수확이 좋은 해.

풍등 (豊登) 등풍(登豊) 농사지은 것이 썩 잘됨.

풍력 (風力) 풍세(風勢) 바람의 세기. 바람의 세력. [: 夜陰]

풍령 (風鈴) 풍경(風磬)

풍류 (風流) 화조풍월(花鳥風月) [: 취미(趣味) 흥미(興味) ]

풍모 (風貌) 풍치(風致) 풍재(風裁) 풍취(風趣)시원스럽게 격에 맞는 멋이나 경치.

풍비 (風飛) 바람을 타고 날아다님. 바람에 날림.

풍속 (風俗) 유속(流俗) 시대에 따른 생활의 습관.

풍신 (楓宸) 대궐(大闕)

풍신 (風神) 풍채(風采) 풍의(風儀) 바람의 신 겉모습.

풍연 (風煙) 멀리 보이는 흐릿한 기운 [: 세월(歲月) 일월(日月) 초목(草木) ]

풍요 (豊饒) [:교화(敎化) 만족(滿足)부유(富裕)속출(續出)즐비(櫛比)흡족(洽足) ]

풍요 (風搖) 바람에 흔들림

[: 수랭(水冷) 안규(雁叫) 운옹(雲擁) 월인(月印) 월입(月入) 일조(日照) ]

풍요만수 (風搖萬樹) 초가을. 신량입교(新凉入郊) [: 월인천계(月印千溪) ]

풍우 (風雨) 비바람 [: 강산(江山) 강호(江湖) 설상(雪霜) 별리(別離)

연하(煙霞) 의관(衣冠) 춘추(春秋) ]

풍의 (風儀) 풍채(風采) 풍신(風神) 겉모습.

풍조 (風潮) 바람에 따른 조수(潮水) 시대에 따른 세태(世態)

[: 규약(規約) 예절(禮節) ]

풍조(風調) 바람이고르다.태평성세 [:국태(國泰)예절(禮節)우순(雨順)해안(海晏)]

풍조우순(風調雨順) 바람과비가적당함[:해안하청(海晏河淸) 국태민안(國泰民安)]

풍조 (豊兆) 풍징(豊徵) 풍년의 조짐.

풍전 (風前) 바람 앞 [: 우후(雨後) ]

풍진 (風塵) 바람과 먼지. 세상의 풍파.

[: 속계(俗界) 세태(世態) 상해(桑海) 애락(哀樂) 우로(雨露) 일월(日月) ]

풍징 (豊徵) 풍조(豊兆) 풍년의 징조 [: 상기(爽氣) ]

풍채 (風采) 풍의(風儀) 풍신(風神) 겉모습.

풍치 (風致) 풍재(風裁) 풍모(風貌) 풍취(風趣) 시원스럽게 격에 맞는 멋이나경치. [: 경광(景光) ]

풍취 (風趣) 풍치(風致) 풍재(風裁) 풍모(風貌)시원스럽게 격에 맞는 멋이나 경치.

풍취 (風吹) 바람이 불다 [: 기랭(氣冷) 노결(露結) 맥파(麥播) 설적(雪積)

안규(雁叫) 우압(雨壓) 우제(雨霽) 우헐(雨歇) 월조(月照) 일락(日落) ]

풍취한뢰 (風吹寒?) 바람 불어 차가운 퉁소 소리 [: 노결명주(露結明珠) ]

풍토 (風土) 기후와 토질 [상의(喪衣) ]

풍패 (豊沛) 패성(沛城) 중국의 풍현(豊縣) 패읍(沛邑)인데 한 고조(漢高祖) 유방 (劉邦)이 처음 군사를 일으킨 곳으로서, 후대에 제왕(帝王)의 고향을 일컫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풍호 (豊鎬) 문무(文武) 혹은 문무주공(文武周公). 서주(西周)의 옛 도읍지.

풍읍(豊邑)은 문왕(文王)의 수도, 호읍(鎬邑)은 무왕(武王)의 수도.

풍화 (風和) 바람이 멋고 파도가 잔잔함. [: 일난(日暖) ]

풍화 (風化) 풍교(風敎) 정치를 잘 하여 풍습을 잘 교화시킴 [: 정치(政治) ]

풍화 (風花) 바람에 떨어지는 꽃이나 바람꽃으로 바람이 일어나기 전에생기는뿌연 안개와 같은 현상을 말함. () 진사도(陳師道)의 시 주수응물(奏酬應物)

'우리 인생 마치 바람 속의 꽃잎인 양, 높고 낮음 역시 모두가 우연일세.‘

生世如風花 高下亦偶然

피발 (被髮) 머리를 풀어헤친 오랑캐의풍속부모상을 당하여 머리를 풀어헤침.

피서 (避暑) 더위를 피하다.

피혐 (避嫌) 혐의를 피함. [: 은둔(隱遁) ]

필경 (畢竟) 결국(結局) [: 당시(當時) ]

필문 (篳門) 필호(篳戶) 빈가(貧家) 가난한 집

필시 (必是) 필연(必然) [: 당연(當然) 우선(優先) 응당(應當) ]

필연(必然) 필시(必是) [: 여허(如許) ]

 ~

하객 (賀客) 축하객 [: 임원(任員) ]

하극 (罅隙) 틈새. 구멍.

하년 (何年) 어느 해 [: 기세(幾歲) 모일(某日) ]

하능 (何能) 어찌 능히 [: 기가(豈可) ]

하등 (何等) 주로 부정하는 뜻으로 '아무런’ '조금도' '어쩌면 그토록'의 뜻.

하백 (河伯) 물의 신() [: 축융(祝融) ]

하사 (何辭) 어찌 못하랴. 어찌 사양하랴. [: 가의(可擬) ]

하상 (霞觴) 신선들이 마시는 술잔. 비유하여 회갑 등 축하연을 의미.

하시 (何時) 어느 때. 언제. [: 고례(古禮) 금세(今世) 금일(今日) 도처(到處)

만고(萬古) 적세(積歲) 차야(此夜) 차일(此日) 철야(徹夜) ]

하여 (何如) 어찌하여

하연 (賀燕) 경사 있는 집에 제비가 날아드는 것을 치하하는 손님에 비한다.

하연 (賀宴) 하연(賀燕) 경연(慶宴)

하오 (下午) 오후(午後)

하외 (河隈) 강굽이

하이 (遐邇) 원근(遠近) [: 천심(淺深) 왕래(往來) ]

하일 (夏日) 여름 날

하일 (何日) 어느 날. 무슨 날.

[: 나년(那年) 나시(那時) 다년(多年) 지금(至今) 차시(此時) ]

하처 (何處) 어느 곳 [: 차시(此時) ]

하청 (河淸) 황하의 물이 맑다. [: 해안(海晏) 우순(雨順) ]

하청해안 (河淸海晏) 강은 깨끗하고 바다는 고요함

[: 성세태평(盛世太平) 우순풍조(雨順風調) ]

하필 (何必) 해필(奚必) [: 개숭(皆崇) 불방(不妨) 불여(不如) ]

학계 (學界) 학자(學者)의 사회(社會). 학문(學文) 세계(世界)

[: 문단(文壇) 승가(僧家) 향당(鄕堂) 향촌(鄕村) ]

학골 (鶴骨) 도골(道骨) 학처럼 생긴 골격. 신선. [용피(龍皮) ]

학덕 (學德) 학문과 덕행 [: 문명(文名) 인망(人望) 충공(忠功) 훈공(勳功) ]

학도 (學徒) 학동(學童) 학생(學生) 글방에 다니는 아이.

[: 농로(農老) 농부(農父) 야로(野老) ]

학동 (學童) 학생(學生) 학도(學徒) 글방에 다니는 아이.

[: 농로(農老) 농부(農父) 야로(野老) ]

학맥 (學脈) 학연(學緣) 학문(學文)으로 연계된 관계.

[: 문생(門生) 유풍(遺風) 충심(忠心) ]

학발 (鶴髮) 백발(白髮) [: 동안(?) 어서(魚書) 용두(龍頭) ]

학생 (學生) 학도(學徒) 학동(學童) 글방에 다니는 아이.

[: 농부(農父) 농자(農者) 야로(野老) ]

학습 (學習) 배워서 익힘 [: 공부(工夫) 분향(焚香) ]

학어 (學語) 말을 배움. 새가 지저귀는 법을 배움 [: 습비(習飛) ]

학행 (學行) 학자의 행실 [: 유풍(遺風) ]

한기 (寒氣) 냉기(冷氣)

한난 (寒暖) 한서(寒暑) 한훤(寒喧) 한온(寒溫) 냉난(冷暖). 춥고 따뜻함.

[: 고함(苦鹹) ]

한당 (漢唐) 한나라 당나라 [: 우하(虞夏) 추로(鄒魯) ]

한랭 (寒冷) 한호(?) 날씨가 춥다.

한만 (汗漫) 되는대로 그냥 두다. 일에 관심이 없어 등한시하다.

한매 (寒梅) 설매(雪梅). 추위에 피는 매화

[: 고석(古石) 서설(瑞雪) 세류(細柳) 약류(弱柳) 일사(逸士) 폭죽(爆竹) ]

한사 (寒士) 빈사(貧士) 가난한 선비

한상 (寒霜) 찬 서리 [: 냉로(冷露) 대절(大節) 활화(活火) ]

한서 (寒暑) 한난(寒暖) 한온(寒溫) 냉난(冷暖) 춥고 따뜻함. [: 냉온(冷溫) ]

한설 (寒雪) 차가운 눈. [: 삭풍(朔風) ]

한식 (寒食) 냉절(冷節) 백오(百五) 동지로부터 105일 째.

한심 (閑心) 한가한 마음 [: 독지(篤志) ]

한온 (寒溫) 한난(寒暖) 한서(寒暑) 춥고 따뜻함. [: 냉난(冷暖) ]

한옹 (閑翁) 한옹(閒翁). 한가한 늙은이.

한조 (漢朝) 소무(蘇武)의 고국(故國) [: 초국(楚國) ]

한천 (寒天) 우뭇가사리로 만든 묵 추운 하늘

[: 가절(佳節) 냉지(冷地) 대지(大地) 만절(晩節) 백설(白雪) 수국(秀菊) ]

한천 (旱天) 가문 날씨 [: 시사(時事) ]

한탄 (恨歎) 탄식(歎息) 한 많은 탄식 [: 흔회(欣懷) ]

한유 (韓柳)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

한호 (?) 한랭(寒冷) 날씨가 춥다.

한훤 (寒喧) 날씨가 춥고 따뜻함.

함로 (含露) 이슬을 머금다. [: 대운(帶雲) 쇄연(鎖煙) 영풍(迎風) 오상(傲霜) ]

함성 (喊聲) 여럿이 크게 고함을 지르는 소리.

[: 기세(氣勢) 묘기(妙技) 정기(精氣) 화색(和色) ]

함양 (涵養) 함육(涵育) 기르고 닦음. [: 근수(勤修) ]

함외 (檻外) 집 혹은 우리 밖. 난간 밖.

[: 문전(門前) 안변(岸邊) 안전(眼前) 창전(窓前) 첨전(檐前) ]

함전 (檻前) 난간 앞. 집 앞. [: 계하(階下) 교외(郊外) 누상(樓上) 정하(庭下)

창외(窓外) 첨상(簷上) 첨외(簷外) 체반(砌畔) 체상(砌上) ]

함지 (咸池) 해가 진다는 서쪽의 큰 못. 요임금의 음악.오곡을 주관하는 별. 천신.

함충 (銜蟲) 함충(含蟲) 벌레를 물다.

함희 (咸喜) 함희(咸熙) 모두가 기뻐하다 [: 총화(總和) ]

함희 (咸熙) 함희(咸喜) 모든 것이 빛나고 좋다. [: 국태(國泰) 만족(滿足) ]

함희만상 (咸熙萬像) 만상이 다 밝게 빛남 [: 회태삼양(回泰三陽) ]

합심 (合心) 마음을 합하다 [: 갈력(竭力) 경력(傾力) 협력(協力) ]

항구 (港口) [: 강심(江心) 강두(江頭) 산두(山頭) ]

항상 (恒常) 항시(恒時) 상시(常時) [: 매양(每樣) 매사(每事) 도처(到處) ]

항시 (恒時) 항상(恒常) 상시(常時) [: 매야(每夜) 매양(每樣) 매사(每事) 도처(到處) 매일(每日) ]

항심 (恒心) 늘 같은 마음 [: 매사(每事) 매양(每樣) ]

항전 (抗戰) 적에 대항하여 싸움 [: 종군(從軍) ]

해갈 (解渴) 갈증을 풀다.가뭄에 비가 내림[: 능비(能肥) 성공(成功) 자점(滋霑)]

해갈 (海渴) 바닷물이 마르다. [: 산붕(山崩) 인망(人亡) ]

해귀 (解歸) 벼슬을 그만 두고 돌아감

해낭 (奚囊) 시낭(詩囊) 여행하면서 적은 시의 초고(草稿)나 자료(資料)들을 넣어 두는 주머니. ()라는 종이 들고 다녔음.

해동 (海東) 중국의 동쪽 지방. 한반도. [: 방내(邦內) 방외(邦外) ]

해망 (奚忘) 어찌 잊으랴 [: 가탄(可嘆) ]

해빙 (解氷) 얼음이 녹아서 풀림. [: 경진(驚塵) ]

해상 (海上) 바다 위 [: 강중(疆中) 도중(途中) ]

해안 (海晏) 바다가 편안하다. 태평성세 [: 하청(河淸) 풍조(風調) ]

해안하청 (海晏河淸) [: 풍조우순(風調雨順) ]

해온 (解慍) 성냄을 풀다. [: 소수(消愁) 치홍(治哄) ]

해제 (解題) 문제를 풀다.

해타 (咳唾) 기침 소리 [: 이오(咿唔) ]

해학 (諧謔) 풍자. 유머 [: 찬사(讚辭) ]

해행 (蟹行) 해보(蟹步) 게의 걸음. 옆으로 뒤뚱거리며 걷다. 엎드려서 걷다.

[: 안진(雁陣) ]

해후 (邂逅) 오래 떨어져 있다가 다시 만남 [: 소요(逍遙) 은근(慇懃) ]

행단 (杏壇) 횡당(黌堂)

행렬 (行列) 꼬리를 물고 길게 이어져서 가는 것.

행도 (行途) 행도(行道) 행로(行路) [: 가필(呵筆) 자명(煮茗) ]

행로 (行路) 행도(行途) 행도(行道) [: 작시(作詩) ]

행리 (行李) 행장(行裝) 여장(旅裝) [: 소광(韶光) ]

행의 (行義) 의를 행하다. [: 권충(勸忠) 수인(守仁) ]

행인 (行仁) 어짐을 행함. [: 적선(積善) 준법(遵法) 입교(立敎) ]

행장 (行裝) 행리(行李) 여장(旅裝) [: 성명(性命) ]

행진 (行進) 앞으로 걸어 나감 [: 입장(入場) ]

향기 (香氣)좋은 냄새.향내.향분 [: 미풍(美風)색조(色調) 채운(彩雲) 흥심(興心)]

향당 (鄕黨) 향촌(鄕村) 향리(鄕里) 향촌(鄕村) 촌리(村里) 시골 마을.

[: 시민(市民) 국가(國家) 전당(展堂) ]

향린 (鄕隣) 이웃 고을 [: 근역(槿域) 세속(世俗) 혈육(血肉) ]

향민 (鄕民) 시골 사람 [: 고우(故友) 사환(史宦) 정부(政府) 현리(縣吏) ]

향연 (饗宴) 잔치

향연 (香煙) 향연(香烟) 향을 피우는 연기. 향기로운 연기

[: 교훈(敎訓) 죽백(竹帛)]

향인 () 제사를 올림 [: 수업(修業) ]

향일 (向日) 지난 날. 접때. 해를 마주 봄.

향주 (向主) 임금을 향한 마음 [: 감천(感天) 구방(救邦) 귀향(歸鄕) 기가(棄家) 부방(扶邦) 사신(捨身) 효친(孝親) ]

향촌 (鄕村) 향당(鄕黨) 향리(鄕里) [: 벽해(碧海) 학계(學界) ]

향화 (香火) 향불 제사(祭祀) [: 위훈(偉勳) ]

허도 (虛度) 허송(虛送) 헛되이 시간을 보냄. [: 등한(等閑) ]

허래 (噓來) 바람 따위가 불어오다. [: 불도(拂到) 취불(吹拂) ]

허무 (虛無) 아무것도 없이 텅 비다. [: 초창( ) 묘막(杳邈) ]

허송 (虛送) 허도(虛度) 헛되이 시간을 보냄. [: 등한(等閑) ]

허장 (虛張) 거짓으로 펼쳐 보이는 것. 없는 것을 있는 척 하는 것.

허희 (歔欷) 흐느끼는 모습. 흐느끼는 소리.

헌다 (獻茶) 신불(神佛)께 차를 올림 [: 권주(勸酒) 경주(傾酒) ]

헌면 (軒冕) 고관(高官)이 타는 초헌(?)과 면류관(冕旒冠)

헌세 (獻歲) 수세(首歲) 화세(華歲) 정초(正初) [: 영춘(迎春) ]

헌신 (獻身) 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함.

헌작 (獻爵) 헌작(獻酌) 진작(進爵) [: 분향(焚香) ]

헌주 (獻酒) 술을 들이다. [: 분향(焚香) ]

험곡 (險谷) 험한 골짜기 [: 기암(奇巖) 심산(深山) ]

  험준 (險峻) 산세(山勢)가 험함 [: 기구(崎嶇) ]

  혁혁 (赫赫) 빛나다. 왕성하다. 위세를 떨치다. 열기가 대단하다.

[: 당당(堂堂) 당당(當當) 양양(洋洋) 외외(巍巍) ]

현가 (絃歌) 현송(絃誦) 악기에 맞춰서 노래하는 것. [: 목탁(木鐸) 예악(禮樂) 조두(俎豆) 읍양(揖讓) 채무(彩舞) 변무(?) ] (不絶絃歌/重鳴木鐸)

현동 (玄同) 입동(立冬)부터 입춘(立春)까지의 겨울. [: 납월(臘月) ]

현량 (賢良) 단량(端良) 어질고 참함. 단정하고 착함.

[: 예술(藝術) 재상(宰相) 준사(俊士) 의로(義路) ]

현명 (玄冥) 현영(玄英) 겨울

현명 (賢明) 밝게 헤아림[:독실(篤實)불의(不義)우매(愚昧)탁월(卓越)탁락(卓犖)]

현묘 (玄妙) 현미(玄微) 오묘(奧妙) 매우 미묘함.

[: 숭고(崇高) 융화(融和) 진기(珍奇) ]

현미 (懸楣) 문미에 걸다. 처마에 걸다. [: 양사(養士) ]

현사 (賢士) 어진 선비 [: 성인(聖人) 대왕(大王) 의인(義人) 선민(善民) ]

현사 (賢師) 어진 스승 [: 영주() ]

현손 (玄孫) 고손(高孫) 손자의 손자. [: 적자(赤子) 대조(大祖) ]

현송 (絃誦) 현가(絃歌) 거문고를 타면서 시를 읊다.

[: 상풍(爽風) 성풍(聖風) 탁마(琢磨) ]

현신 (賢臣) 어진 신하 [: 성주(聖主) ]

현양 (顯揚) 이름을 세상에 드날림. [: 성취(成就) ]

현우 (玄友)

현우 (賢愚) 현명함과 어리석음 [: 귀천(貴賤) 우로(雨露) ]

현정 (顯正) 정의를 드러냄 [: 숭인(崇仁) ]

현조 (玄鳥) 연자(燕子) 제비. [: 백구(白鷗) 황앵(黃鶯) ]

현창 (顯彰) 밝게 나타남 [: 통달(洞達) ]

현환 (睍鴅) 꾀꼬리의 지저귐이 맑고 청아함 [: 청표(淸標) ]

현현 (玄玄) 깊고 오묘함. [: 박박(薄薄) 혁혁(赫赫) ]

혈육 (血肉)골육(骨肉) [:친우(親友) 부처(夫妻) 산하(山河)친지(親知)향린(鄕隣)]

혐외 (嫌畏) 싫어하고 겁을 냄. [: 상량(商量) ]

협력 (協力) 함께 힘을 모음. [: 동심(同心) 합심(合心) ]

협접 (蛺蝶) 호접(蝴蝶) 나비 [: 창경(鶬鶊) 지주(蜘蛛) 비부( ) 자고( ) ]

협착 (狹窄) 매우 좁다.

협책 (挾冊) 책을 끼다. [: 견우(牽牛) ] (儒生挾冊昇堂/農者牽牛耕畓)

협흡 (浹洽)1.물이 물건을 적시듯이 널리고루 퍼지거나 전하여짐.2.화목하게 사귐.

형벌 (刑罰) 죄를 벌줌 [: 법문(法文) ]

형식 (形式) 사물의 외형. 일의 절차와 법식.

형식 (型式) 양식(樣式) 사물의 구조나 내용을 이루는 방법.

형용 (形容) 형태(形態) 사물의 모양새 [: 양식(樣式) 태도(態度) 품격(品格) ]

형태 (形態) 형용(形容) 사물의 생김새나 모양 [: 용자(容姿) ]

형통 (亨通) 일이 뜻대로 됨 [: 수립(竪立) 수립(樹立) 숙달(熟達) ]

  형형 (形形) 모양과 모양 [: 색색(色色) ]

형형 (炯炯) 불빛이 번뜩임. 밝게 빛남. [: 효효(哮哮) ]

형회 (瀠廻) 물이 돌아서 흐름. 영회(濚廻)[: 흘립(屹立) 옹립(擁立) ]

혜우 (惠雨) 은혜로운 비 [: 화풍(和風) ]

혜풍 (惠風) 봄바람. 3. 은혜로운 바람. [: 감우(甘雨) 서색(瑞色)선정(善政) ]

혜해 (?) 젓갈이나 절임. 절인 음식.

  혜혜 (螇螇) 매미의 울음소리. 소리가 부드럽고 가락에 맞는모양[:영령(蝧蛉) ]

호거 (虎踞) 호랑이가 웅크리고 있는 모습 [: 용반(龍蟠) ]

호구 (狐裘) 겨울의 여우털옷. 여우 가죽 옷. [: 오모(烏帽) ]

호국 (護國) 나라를 지키고 보호함. [: 항왜(降倭) 제가(齊家) 우민(憂民) ]

호국정신 (護國精神) [: 봉친사상(奉親思想) 순신장지(殉身壯志)

우민의기(憂民義氣) 척왜위적(斥倭偉績) 항왜의지(抗倭意志)]

호기 (豪氣) 씩씩하고 호방한 기상 [: 서광(瑞光) ]

호련 (瑚璉) 보석으로 만든 그릇.[:규장(珪璋) 동량(棟梁) 서상(序庠) 여장(?)]

호상 (互相) 서로. 상호간에. [: 지속(持續) ]

호상 (壺觴) 술병과 술잔 [: 화필(?) ]

호성 (扈聖) 임금을 모시고 피난을 가다. [: 구왜(驅倭) 척왜(斥倭) ]

호시 (好時) 좋은 시절 [: 가절(佳節) ]

호연 (浩然) 호연지기(浩然之氣) 크고 호탕한 상태

호월 (皓月) 매우 맑고 밝게 비치는 달

[: 귀운(歸雲) 명천(鳴泉) 청산(靑山) 황운(黃雲) ]

호월괘천 (皓月掛天) 흰 달이 하늘에 걸림. 신량입교. 초가을

[: 청풍소지(淸風掃地) ]

호월 (湖月) 호수에 비친 달.

호응 (呼應) 부름에 응함 [: 격려(激勵) ]

호절 (好節) 좋은 시절 [: 가신(佳辰) 양신(良辰) ]

호접 (蝴蝶) 호접(胡蝶) 협접(蛺蝶) 나비

[: 비부( ) 자고( ) 지주(蜘蛛) 창경(鶬鶊) ]

호접 (胡蝶) 호접(蝴蝶) 접아(蝶兒) 협접(蛺蝶) 나비 [: 비부( ) 자고( )

지주(蜘蛛) 창경(鶬鶊) 촉견(蜀鵑) ]

호종군왕 (扈從君王) 임금을 호위(扈衛)[: 구제호적(驅除胡敵) ]

호치 (晧齒) 흰 이빨의 미인(美人) [: 단순(丹脣) ]

호치 (豪侈) 호화(豪華) 화려하고 사치스러움.

호탕 (浩蕩) 호호탕탕(浩浩蕩蕩). 아주 넓어서끝이 없음. 호탕하다.[:융화(融和)]

호투 (虎鬪) 호랑이가 싸움 [: 용쟁(龍爭) ]

호평 (好評) 좋은 평판. 칭찬의 평가. [: 애용(愛用) ]

호학 (?) 여우와 오소리 [: 용사(龍獅) ]

호화 (豪華) 호치(豪侈) 화려하고 사치스러움. [: 번설(繁設) ]

  호호 (戶戶) 집집마다 [: 가가(街街) 가가(家家) ]

혹시 (或是) 만일에

혼구 (昏衢) 어두운 거리. [: 경세(警世) 요시(鬧市) ]

혼망 (昏忘) 혼망(渾忘)혼미(昏迷) 정신이 흐리멍덩함.[: 흡사(恰似) 쾌청(快晴)]

혼미 (昏迷) 혼망(昏忘) 정신이 흐리멍덩함. [: 후덕(厚德)암담(暗澹) 정숙(靜肅) 정결(淨潔) 상쾌(爽快) 조솔(粗率) ]

혼백 (魂魄) [: 귀신(鬼神) 신령(神靈) ]

혼신 (渾身) 전신(全身) 온몸 [: 진력(盡力) ]

혼재 (混在) 서로 다른 것이 섞여 있다 [: 유존(猶存) 장존(長存) ]

혼탁 (混濁) 흐리고 탁함 [: 유청(猶淸) 청빈(淸貧) 청명(晴明) ]

홍구 (鴻溝) 항우와 유방이 홍구를 중심으로 땅을 양분(兩分)한 고사. [: ]

홍곡 (鴻鵠) 산두(山斗) 큰 인물에 대한 비유. [: 절륜(絶倫) ]

홍과 (紅果) 붉은 과실 [: 백포(白匏) 벽파(碧波) ]

홍도 (紅桃) 붉은 복숭아꽃 [: 백리(白李) 자행(紫杏) 취류(翠柳) ]

홍라 (紅羅) 붉은 비단. [: 취막(翠幕) ]

홍료 (紅蓼) 단풍 든 여뀌 [: 녹양(綠楊) ]

홍복 (洪福) 홍복(弘福) 홍복(鴻福) 경복(景福) 대복(大福)

홍부 (弘敷) 넓게 펼침.

홍수 (紅袖) 시녀(侍女) 궁녀(宮女) 붉은 소매를 한 궁녀. [: 종인(從人) ]

홍업 (鴻業) 홍업(洪業) 나라를 세우는 큰 사업. [: 대공(大功) ]

홍엽 (紅葉) 붉은 잎 [: 녹태(綠苔) 백운(白雲) 벽천(碧天) 부운(浮雲)취연(翠煙) 황화(黃花) ]

홍우 (紅友)

홍우 (紅雨) 홍화(紅花) 꽃비. 붉은 꽃잎이 휘날림.

[: 녹파(綠波) 백연(白煙) ] (夭桃紅雨/?柳靑簾)

홍유 (鴻儒) 거유(巨儒) 대유(大儒) 석유(碩儒) [: 위열(偉烈) ]

홍익 (弘益) 널리 이롭게 함. 큰 이익. [: 광개(廣開) ]

홍익인간 (弘益人間)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함

[: 광개천하(廣開天下) 수인세상(垂仁世上) 팔조왕책(八條王策) ]

홍장 (紅粧) 붉게 장식함. 화장(化粧) [: 백염(白染) ]

홍진 (紅塵) 애진(埃塵) 붉은 먼지. 세상 풍파. [: 녹주(綠酒) 백려(百慮)

백설(白雪) 일대(一帶) 청안(靑眼) 청약(靑蒻) 황권(黃卷) ]

홍화 (紅花) 홍도(紅桃) 붉은 꽃. [: 녹류(綠柳) 녹엽(綠葉) 황조(黃鳥) ]

  홍황 (紅黃) 붉고 노랗다. [: 백자(白紫) ]

화각 (畵閣) 단청(丹靑) 채색을 한 누각

화개 (花開) 꽃이 피다.

[: 수창(水漲) 우제(雨霽) 우헐(雨歇) 일몰(日沒) 일출(日出) ]

화개화락 (花開花落) 화개화사(花開花謝) 꽃이 피고 꽃이 짐

[: 엽연엽농(葉軟葉濃) 엽출엽농(葉出葉濃) 유세유번(柳細柳繁) ]

화공 (畵工) 그림 그리는 것을 전문으로 사는 사람

화광 (和光) 상광(祥光) 온화한 빛 [: 서기(瑞氣) 활기(活氣) ]

화기 (和氣) 화광(和光) 온화한 기색.

[: 경상(慶祥) 교성(巧聲) 서광(瑞光) 서운(瑞雲) 춘광(春光) 흥심(興心) ]

화도 (畵圖) 그림 [: 가송(歌頌) 금축(琴筑) 명경(明鏡) 문수(紋繡) 문자(文字) 선경(仙境) 신수(新繡) 현관(絃管) ]

화락 (花落) 화사(花謝) 꽃이 떨어지다. [: 엽농(葉濃) 유번(柳繁) ]

화락 (和樂) 서로 화합하여 즐김. [: 태평(太平) 태평(泰平) ]

화려 (華麗) 호화롭고 지극히 고운 모습. 화려하다. [: 결정(潔貞) 염자(艶姿)

왕래(往來) 준증(?) ]

화리 (化理) (德化)와 치적. 교화(敎化)로 다스림.

화목 (和睦) 서로 뜻이 맞고 정답다. [: 단란(團欒) ]

화민 (化民) 백성을 교화함 [: 개세(蓋世) 양사(養士) 전세(傳世) ]

화발 (花發) 꽃이 핌 [: 초맹(草萌) ]

화병 (?) 그림 병풍 [: 선경(仙境) ]

화사 (花謝) 화락(花落) 꽃이 떨어지다.

화사 (華奢)곱고 예쁘다.[:명정(酩酊)야염(冶艶)여염(麗艶) 영객(迎客)찬란(燦爛)]

화색 (和色) 얼굴에 드러나는 온화하고 밝은 표정 [: 서광(瑞光) 탄성(歎聲)

함성(喊聲) ]

화수 (禾穗) 벼의 이삭 [: 국화(菊花) ]

화숙 (禾熟) 벼가 익다. [: 과영(果盈) ]

화씨벽 (和氏璧) ()나라 변화(卞和)가 찾은 비취(翡翠)인데 여왕(麗王)과 문왕(文王)에게 바쳤으나 가짜라고 다리가 잘렸으나 나중에 진가(眞價)를 알고 봉록(封祿)을 내렸다. 조나라 혜문왕(惠文王)의 손에 들어가자 진()의 소양왕(昭襄王)이 탐을 내자 인상여(藺相如)가 해결하고 나중에 진시황(秦始皇)은 이것으로 옥새(玉璽)를 만들었다. 나중에 한() () () 수당(隋唐) 오대십국(五代十國)의 후당(後唐) 마지막 황제(皇帝)이종가를 끝으로없어졌다[:가호주(賈胡珠)]

화염 (火炎) 화염(火焰) 불탐 [: 뇌전(雷電) 뇌진(雷震) 전뢰(電雷) ]

화옥 (華屋) 화려하게 지은 집.

화옹 (化翁) 조화옹(造化翁) 조물주(造物主) 천옹(天翁) 하느님

화용 (花容) 화용(華容) 화용월태(花容月態) 미인(美人)[:염태(艶態)월태(月態) ]

화우 (化雨) 교화가 사람에 미침이 비와 같다. [: 인풍(仁風) ]

화운 (火雲) 여름의 구름

화원 (花園) 꽃밭 [: 계백(桂魄) 맥농(麥壟) 맥야(麥野) 유막(柳幕) 유서(柳絮) ]

화육 (化育) 천지자연의 이치로 만물을 기르다. [: 정연(呈娟) ]

화음 (和音) 조화로운 음색. [: 만복(滿馥) ]

화장 (化粧) 얼굴에 화장을 함.

화전 (花煎) 꽃 전 [: 어죽(魚粥) 어회(魚膾) ]

화정 (和靖) ()의 시인 임포(林逋)의 시호(諡號). [: 나부(羅浮) 조옹(趙翁) ]

화조 (火棗) 신선들이 먹던 대추. 축수(祝壽). 수연(壽宴)[:반도(蟠桃)천도(天桃)]

화촉 (華燭) 호화스런 등촉. 결혼식 [: 금의(錦衣) 수병(繡屛) 희치() ]

화친 (和親) 서로 의좋게 지냄. [: 우호(友好) ]

화풍 (和風) 화창한 바람. 건들바람 [: 고해(苦海) 옥토(沃土) 혜우(惠雨) ]

화필 (畵筆) 그림 붓 [: 호상(壺觴) ]

화향 (花香) 화향(華香) 꽃향기 [: 산색(山色) 옥로(玉露) 월영(月影) 접무(蝶舞) 주력(酒力) 죽로(竹露) 죽영(竹影) 초색(草色) ]

화향초색 (花香草色) 꽃향기와 풀 색깔 [: 접무봉가(蝶舞蜂歌) ]

화홍 (花紅) 꽃이 붉음 [:송취(松翠)서백(絮白) 설백(雪白)엽록(葉綠)초록(草綠)]

화홍초록 (花紅草綠) 꽃은 붉고 풀은 녹색 [: 산자수명(山紫水明) ]

확대 (擴大) 확산(擴散) 더욱 크게 넓힘 [: 선회(旋回) 증가(增加) ]

확립 (確立) 굳건하게 세움

[: 강명(講明) 공평(公平) 양성(養成) 준행(遵行) 중흥(重興) 회생(回生) ]

확보 (確保) 확실하게 보증하거나 지니고 있음.

확삭 (矍鑠) 늙어서 기력이 왕성한 것. 생조(生朝)의 축수(祝壽)에 씀.

확산 (擴散) 확대(擴大) 넓게 퍼짐 [: 선회(旋回) 증가(增加) ]

확실 (確實) 진실(眞實) 정확(正確) [: 배제(排除) ]

환과 (鰥寡) 홀아비와 과부(寡婦) [: 빈궁(貧窮) ]

환규 (桓圭) 삼공(三公)이 사용하는 홀.

환기 (喚起) 흥기(興起) 관심이나 여론을 불러일으킴

[: 계승(繼承) 선양(宣揚) 전승(傳承) ]

환로 (宦路) 벼슬길 [: 과장(科場) 근궁(芹宮) 문재(文才) 염심(廉心) 유풍(儒風) 육영(育英) 풍류(風流) 향모() ]

환선 (紈扇) 얇은 깁으로 만든 부채. [: 갈의(葛衣) 금낭(錦囊) ]

환성 (歡聲) 기뻐서 지르는 소리. [: 갈채(喝采) 서기(瑞氣) 원한(怨恨) ]

환심 (歡心) 환정(歡情) 기쁘고 즐거운 마음. [: 절색(絶色) 아취(雅趣) ]

환영 (歡迎) 반갑게 맞이하다. [: 불내(不耐) 인도(引導) 축제(祝祭) ]

환영박수 (歡迎拍手) [: 경축제시(慶祝題詩) ]

환우 (喚友) 벗을 부르다. 친구를 찾다. [: 귀가(歸家) 귀소(歸巢) 내빈(來賓)

대인(對人) 수풍(隨風) 심소(尋巢) 실향(失香) 약충(掠蟲) 전서(傳書)

최농(催農) 탐향(探香) 함니(含泥) 획충(獲蟲) ]

환정 (歡情) 환심(歡心) 환영하는 마음. 기쁜 마음. [: 일흥(逸興) 치욕(恥辱)

흥취(興趣) ]

환향 (還鄕) 고향으로 돌아감. [: 치사(致仕) ]

환호 (歡呼) 기뻐서 부르짖음

[: 갈채(喝采) 박수(拍手) 열기(熱氣) 응원(應援) 희열(喜悅) ]

활계 (活計) 생계(生計)

활기 (活氣) 활발한 기운. [: 방향(芳香) 수심(愁心) 위용(威容) 행운(行雲)

화광(和光) 환성(歡聲) 휴상(休祥) ]

활력 (活力) 살아 움직이는 힘 [: 위기(危機) ]

활발 (活潑) 활발하다. [: 번화(繁華) 인온(??) 증가(增加) 청량(淸凉) ]

활별 (闊別) 오래도록 이별함.

활연 (豁然) 환하게 터져 시원한 모양. 의문을 밝게 깨달은 모양.

활화 (活畵) 그림이 살아 있는 것 같다.

[: 능라(綾羅) 능상(凌霜) 섬라(纖羅) 청담(晴潭) 황운(黃雲) ]

  활화성병 (活畵成屛) 살아있는 그림이 병풍을 이루다 [: 능라작막(綾羅作幕) ]

  활활 (滑滑)미끄러운 모양[:낭랑(浪浪)몽몽(夢夢)분분(紛紛)비비(霏霏)잔잔(潺潺)

황국 (黃菊) 황화(黃花) [: 녹음(綠陰) 단풍(丹楓) 백로(白蘆) ]

황권 (黃卷) [: 녹다(綠茶) 묵도(墨圖) ]

황금 (黃金) [: 취대(翠黛) ]

황당 (荒唐) 허황(虛荒) 터무니없는 것.

황당 (慌當) 미미(微微)하다. [: 조솔(粗率) ]

황량 (荒悢) 거칠고 쓸쓸함 [: 적막(寂寞) ]

황리 (黃鸝) 황앵(黃鶯) 황조(黃鳥) 꾀꼬리. [: 두우(杜宇) 백접(白蝶) 백학(白鶴) 적제(赤帝) 호월(皓月) ]

황애 (黃埃) 누런 먼지 [: 백설(白雪) 백설(白屑) ]

황앵 (黃鶯) 황조(黃鳥) 황리(黃鸝) 꾀꼬리. [: 녹압(綠鴨) 두우(杜宇) 백접(白蝶) 백로(白鷺) 백학(白鶴) 소접(素蝶) 적제(赤帝) 호월(皓月) ]

황운 (黃雲) 황파(黃波) 넓은 들판에 누렇게 익은 보리나 벼를 말함. [: 녹엽(綠葉) 백로(白露) 백적(白荻) 벽랑(碧浪) 벽해(碧海) 상기(爽氣) 세우(細雨)활화(?)]

황조 (黃鳥) 황앵(黃鶯) 황리(黃鸝) 꾀꼬리.

황지 (潢池) 물이 괴어있는 곳. 나쁜 물이 괴어 있는 곳.

황천 (皇天) 천옹(天翁) 하느님 [: 후토(后土) ]

황파 (黃波) 가을 들판의 노란 물결. [: 백발(白髮) 적과(赤果) 녹초(綠草) ]

황학 (黃鶴) [: 백운(白雲) ]

황호 (黃毫) 노란 털. 붓털. [: 취죽(翠竹) ]

황홀 (恍惚) 황홀(慌惚) 광채(光彩)가 어른어른하여 눈이 부심  ②사물(事物)에 마음이 팔려 멍하니 서 있는 모양(模樣)  ③미묘(微妙)하여 헤아려 알기 어려움   ④흐릿하여 분명(分明)하지 아니함 [: 모호(模糊) 영롱(玲瓏) 휘황(輝煌) ]

황화 (黃花) 황국(黃菊) 노란 꽃. 국화. [: 백주(白酒) 적엽(赤葉) 홍엽(紅葉) ]

노읍황화 (露浥黃花) 국화에 이슬이 젖다 [: 상조홍엽(霜凋紅葉) ]

황황 (煌煌) 밝거나 빛나는 모양 [: 박박(薄薄) 삽삽(颯颯) 습습(習習)

열렬(烈烈) 적적(寂寂) 절절(切切) 탁탁(卓卓) 혁혁(赫赫) ]

회고 (回顧) 뒤를 되돌아 봄

회근 (回巹) 60. 회갑. 갑년.

회담 (會談) 어떤 일을 모여서 토의함. [: 단합(團合) ]

회복 (回復) 회복(恢復) [: 전승(傳承) 선양(宣揚) 배제(排除) ]

회사 (回思) 돌이켜 생각함. [: 염려(念慮) ]

회상 (回想)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함.

회석 (會席) 모인 자리 [: 논시(論時) ]

회생 (回生) 소생(甦生) [: 개발(開發) 구제(救濟)선동(煽動)창출(創出)확립(確立)

회심 (回心) 회심(廻心) 마음을 돌려 먹음

회심 (悔心) 후회하는 마음

회심 (會心) 마음먹은 대로 되다. [: 우목(寓目) ]

회유 (回遊) 주유(周遊) 두루 돌아다니며 구경함.

회태 (回泰) 좋은 기운이 크게 번성하여 되돌아 옴. [: 건양(建陽) 기상(起祥) ]

획득 (獲得) 얻음. 손에 넣다 [: 도모(圖謀) 중수(重修) ]

획책 (劃策) 계책(計策)을 세움. 일을 꾸미다. [: 도모(圖謀)성행(盛行)중수(重修)

횡당 (黌堂) 횡사(黌舍) 행단(杏壇) 향교(鄕校) 서원(書院)[:왕정(王政)조정(朝廷)

횡사 (黌舍) 횡당(黌堂) 향교(鄕校) [: 반궁(泮宮) ]

효연 (曉然) 환하고 똑똑함. [: ]

효진 (囂塵) 풍진(風塵) 시끄러운 세상살이 [: 미속(美俗) 악습(惡習) ]

효효 (哮哮) 포효(咆哮)하는 소리. 호랑이. [: 형형(炯炯) ]

후덕 (厚德) 덕이 두터움. 두터운 덕. [: 혼미(昏迷) ]

후박 (厚薄) 후하고 박하고 [: 영고(榮枯) ]

후배 (後輩) 후생(後生) 후인(後人) 뒤에 태어난 사람 [: 선사(先師)선현(先賢) ]

후생 (後生) 후인(後人) 후배(後輩) 뒤에 태어난 사람 [: 선배(先輩)선진(先進) ]

후세 (後世) 후예(後裔) 후손(後孫) 자손(子孫) 다음세상 [:선사(先師)오인(吾人)

후손 (後孫) 후예(後裔) 후세(後世) 자손(子孫) [: 선조(先祖) ]

후예 (後裔) 후손(後孫) 후세(後世) 자손(子孫) [:선사(先師)선현(先賢)오인(吾人)

후원 (後園) 후원(後苑) 뒤뜰 [: 원포(遠浦) 장안(長岸) 전야(前野) ]

후의 (厚誼) 후의(厚意) 두터운 정 [: 돈륜(惇倫) ]

후의 (厚意) 후의(厚誼) [: ]

후인 (後人) 후생(後生) 후배(後輩) 뒤에 태어난 사람 [: 선배(先輩) ]

후일 (後日) 이일(異日) 타일(他日) 뒷날 [: 명년(明年) 전년(前年) ]

후조 (候鳥) 철새 [: 곤충(昆蟲) 군어(郡魚) ]

후직 (后稷) 농사일을 담당하던 사람. 혹은 그 직책. [: 신농(神農) 염황(炎皇) ]

후진 (後進) 후생(後生) 후인(後人) 후학(後學) 뒤에서 따라오는 자.

[: 선생(先生) 선현(先賢) 전현(前賢) ]

후토 (后土) 토지의 신 [: 황천(皇天) ]

후학 (後學) 후진(後進) [: 선생(先生) 선현(先賢) 전현(前賢) ]

후학제서 (後學提誓) 후학을 끌고 훈계함 [: 선현모효(先賢慕效) ]

훈도 (薰陶) 덕으로 사람을 감화함 [: 교육(敎育) 강송(講誦) 석전(釋奠) ]

훈육 (訓育) 가르쳐서 기르다. [: 수제(修齊) 신장(伸張) 차마(磋磨)훈도(薰陶) ]

훈풍 (薰風) 초여름에 부는 훈훈한 바람. [열기(冽氣) ]

훈향 (薰香) 훈훈한 향기 [: 윤기(潤氣) 취색(翠色) ]

훈회 (訓誨) 교훈(敎訓) 가르치고 깨우침. 가르침.

훤화 (喧譁) 훤화(?) 시끄럽게 떠들다. 떠들썩하다.

훼장 (毁墻) 담장이 무너짐. [: 낙초(落礎) ]

휘비 (翬飛) 훨훨 날아다님. [: 상활(爽豁) 용립(聳立) 웅장(雄壯) 윤환(輪奐) ]

휘필 (揮筆) 휘호(揮毫). 휘호를 하다. [: 독서(讀書) 작시(作詩) ]

휘호 (揮毫) 휘필(揮筆) [: 권주(勸酒) 낙모(落帽) 대화(對話) 설장(設帳) ]

휘황 (輝煌) 밝게 빛나는 모습. 휘황하다. [: 분필(芬苾) 장려(壯麗) 진동(振動) 진불(振拂) 찬란(燦爛) 탕양(?) 황홀(恍惚) ]

휴가 (休暇) 일정한 기간을 정해 쉬는 것.

휴광 (休光) 휴경(休慶) 1. 뛰어난 공적. 2. 아름다운 광채. 3. 훌륭한 지조(志操).

휴덕 (休德) 미덕(美德) 영덕(令德) 선덕(善德) 아름다운 덕.

휴명 (休明) 확실하게 밝고 분명함

휴식 (休息) 잠깐 쉬다.

휴운 (休運) 좋은 운수. [: 대공(大功) 득시(得時) ]

휴장 (携杖) 지팡이를 잡다.

휴조 (休兆) 휴징(休徵) 길조(吉兆) 아름다운 징조

휴주 (携酒) 술을 몸에 지님.

휴준 (携樽) 술통을 들다. [: 패적(佩笛) 패축(佩軸) ]

휴축 (携軸) 시축을 들다. [: 패준(佩樽) ]

흉도 (凶徒) 흉악한 무리 [: 오리(汚吏) ]

흉액 (凶厄) 나쁜 액운 [: 길상(吉祥) ]

흑운 (黑雲) 암운(暗雲) 검은 구름 [: 명월(明月) ]

흑제 (黑帝) 겨울의 신.

흔모 (欣慕) 흠모(欽慕) 기쁘게 사모함 [: 감회(感懷) ]

흔상 (欣賞) 승상(勝賞) 자연을 흔쾌히 감상하다.

흔쾌 (欣快) 매우 유쾌함. [: 상량(?) ]

  흔흔 (痕痕) 물결이 잔잔한 모습 [: 요뇨(搖撓) ]

흔회 (欣懷) 즐겁게 생각함. 즐거운 생각. [; 감탄(感歎) 한탄(恨歎) ]

흘립 (屹立) 우뚝하게 솟아 있는 모습. [: 고비(高飛) 고현(高懸) 영회(?) 웅위 (雄圍) 장류(長流) 장명(長鳴) 장전(長傳) 정유(靜幽) 형회( ) 환류(還流) ]

흘흘 (屹屹) 높고 높다. [: 유유(幽幽) ]

흠모 (欽慕) 흔모(欣慕) 기쁘게 사모함 [: 감회(感懷) ]

흡사 (恰似) 마치. 비슷하여. [: 상종(相從) 완연(宛然) 혼망(昏忘) 혼망(渾忘) ]

흡족 (洽足) 만족(滿足). [: 충영(充盈) 풍요(豊饒) ]

흡흡 (翕翕) 흡흡(洽洽) 매우 성한 모양. [: 초초( ) ]

흥기 (興起) 환기(喚起) 떨쳐 일어남 [: 강마(講磨) 계승(繼承) 심망(心忙) ]

흥미 (興味) 흥이나 재미있음 [: 시정(詩情) ]

흥망 (興亡) 잘되어 흥하고 잘못되어 망함. [: 강개(慷慨)수졸(秀拙)진퇴(進退) ]

흥취 (興趣) 마음이 끌리 만한 멋과 취미.

[: 경광(景光) 시서(詩書) 심신(心身) 정분(情分) 환오(歡娛) 환정(歡情) ]

희구 (希求) 기구(祈求) 바라고 구함. [: 계술(繼述) 계작(繼作) 채택(採擇) ]

희귀 (稀貴) 드물게 귀하다 [: 허다(許多) ]

희대 (稀代) 희세(稀世)

희락 (喜樂) 희열(喜悅) [: 환호(歡呼) ]

희망 (希望) 기망(期望) 기망(祈望) [: 고대(苦待)목민(牧民)소원(所願)장려(獎勵) 태평(太平) 태평(泰平) 회사(回思) ]

희미 (稀微) 희미하다. 드물고 미약하게 드러나는 모습. [: 교결(皎潔) ]

희세 (稀世) 희대(稀代)

희연 (喜宴) 잔치

희연 (稀宴) 희수연(稀壽宴) 고희연(古稀宴)

희열 (喜悅) 희락(喜樂) [: 환호(歡呼) ]

희희 (熙熙)화목한모양.평화로운 모양. 왁자지껄함 [:자자(藉藉)혁혁(赫赫) ]

힐항(頡頏) 길항(拮抗).힐항(詰抗).서로 버티면서 대항함. 맞버팀.

[: 상고(翔顧) 배회(徘徊)

 

 

 

 


'漢詩 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시사계절에 관한 주제  (0) 2020.07.20
漢詩 犯則의 理解  (0) 2020.07.14
漢詩 單語 아 ~자  (0) 2018.05.28
漢詩 單語 사  (0) 2018.05.27
漢詩 單語 바  (0) 2018.05.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