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靑山別曲)]    - 작자 미상 고려 가요-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쳥산(靑山)에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ᄒᆞ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ᄯᅩ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ᄂᆞᄆᆞ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ᄉᆞ미 지ᇝ대예 올아셔 ᄒᆡ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니 ᄇᆡ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ᄆᆡ와 잡ᄉᆞ와니 내 엇디 ᄒᆞ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 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 살겠노라.

머루와 다래를 먹고 청산에 살겠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리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울고 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물 아래로 날아가는 새 본다.

이끼 묻은 쟁기(농기구)를 가지고 물아래로 날아가는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럭저럭 하여 낮은 지내왔건만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할 것인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디다 던지는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는 돌인가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없이 사랑할 이도없이 맞아서 울고 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바다에 살겠노라

나문재, , 조개를 먹고 바다에 살겠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에 올아셔 금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奚琴)을 켜는 것을 듣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권의지로가(勸義指路辭)

여보소 사람들아! 이 내 말 들어보소.

큰 길은 어디 두고 사로로 가는가?

요순 때 닦은 길이 예부터 일렀는데,

너희는 무슨 일로 사로로 들었으며,

중니 때 높은 날이 이제까지 밝았는데,

너희는 무슨 일로 밤으로 다니는가?

인의로 길을 삼고 오륜으로 집을 삼아

이 길을 잃지 말고 저 집으로 가시거라.

그래도 모르거든 또 한 말 들어보소.

대개는 내 말할테니 찾기는 네 하여라.

천지 생겨날 때 오행이 갖췄으며,

사람이 태어날 때 오륜이 갖췄으니,

천지가 천지 아니고 오행이 천지오.

사람이 사람아니고 오륜이 사람이라.

하늘이 높았는데 이내 몸 돌아보며,

먼 일을 모르거든 눈 앞을 살피거라.

천지와 만물도 이 몸에 갖췄거든

요순과 공맹인들 오륜 밖의 사람일까?

가다가 쉬지 말고 만나 보게 가려무나.

남 없이 혼자 갈 때 더욱 조심 하려무나.

내 몸에 어진 일은 작다고 말지 말고,

남에게 싫은 일은 좋다 하고 하지 말라.

네 마음 정일하여 궐중을 잡아라.

계 견을 잃은 후에 찾을 줄 다 알아도

내 마음 잃은 후에 찾을 줄 모르는가?

탕무와 걸주 사이 만리 같건마는

처음에 갈라 질 때 의리에서 갈라졌고,

공맹과 양묵 사이 방촌인 듯 하지만

나중에 얻은 것이 초월 같이 되었으니,

이 사이 생각하면 그 아니 두려운가?

공맹의 말을 하고 공맹의 법을 하면,

공맹이 되려니와

도척의 옷을 입고, 도척의 말을 하면

이 아니 도척인가?

너희도 이를 보아 길을 바로 잡아라.

뷔귀도 나는 싫다. 이 마음 속이겠나?

빈천도 나는 좋다. 이 마음 여의겠나?

모첨의 쑥 길 때에 장자도 오나가나

누항에 해 높을 때 단표가 있고 없고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 베고 누웠어도

이 마음 얻은 것이 이 가운데 즐거워라.

천종 만사도 이 마음 옮기겠나?

금옥 은백으로 이 마음 옮기겠나?

진초의 부로도 생각하면 거짓이고,

조맹의 귀함도 생각하면 근심이라.

진실로 얻는다면, 가진 것이 내가 많다.

진실로 닦는다면, 귀한 것이 내가 많다.

연성 백벽은 값이나 생각게 하니

공경 대부는 제가 도로 배앗는다.

이 마음 이 기운을 하늘에서 타고나서

일월 같이 달렸으니 일시도 어려운데

제 뉘라고 갚혀질까?

진가의 백만병이 노설에 무너지니,

필부의 가진 뜻은 위무로도 어렵도다.

졸지에 생각하면 강자상에 못 찼으나

돌이켜 생각하니 천지간에 메였도다.

이 마음 이렇커든 둘 곳이 없겠는가?

마음으로 터를 삼고 적실로 집을 삼아

연비 어약을 다 주어 넣어 두고

일사 일물이 다 이 집안 것이로다.

맹자 호연장에 거기 대강 일러 있고,

주자 태극도에 그림까지 전했으니,

위선 위악이 이리 자세 하지만은

사람이 정이 없어 권치 못한 탓이런가?

천장 만구 밖에 그림까지 보였거늘

너희는 무슨 일로 이 길을 모르는가?

허령한 이 마음은 사람마다 두지만은

지성으로 지키어 공경으로 익혀라.

전지와 노비는 다툴 이나 있지만,

인의와 예지는 뉘라서 말리겠니?

마음껏 찾아내어 힘껏 가지거라.

일신의 윤한 덕이 남에게도 미치리라.

평생 여택이 자손에도 흐리리라.

경장 귀보는 이 밖에 또 없거늘

너희는 무슨 일로 귀한 줄 모르는가?

네 마음 깨끗이해 하류에 거치 말라.

당상에 올라 앉아 곡직을 말하리라.

내 마음 물이 되어 갈래갈래 흘러 간다.

이 물을 모르거든 물길을 알려무나.

중욕이 가시 되어 가는 길 가로 막고

인심이 잔도되어 가늘 길 끊어졌다.

소상죽 베어 내어 가지를 쓸어 치고

공정백 베어 내어 잔도를 이었구나.

인심이 홍수로 구로를 열었고

인심이 촉도라도 오정이 내었으니

하물며 묵은 길을 얼마나 다닐소냐?

탄탄 대도를 하늘 같이 닦아 두고

백만 창생을 다 가게 만든 후에

그 때야 다시 차려 대로로 의논하자.

중후한 장자는 이로써 되겠지만

사군자의 행신대도는 이만 갖고 안 되리라.

이 마음 찾은 후에 가으로 가지마라.

이 길에 나선 후에 가운데를 잃지마라.

동서 남북에도 안 속한 것 중이로다.

형용 성취도 보지 못 할 일이로다.

요순이 이 아니면 사해를 편케 하며

공맹이 이 아니면 일관을 법하겠나?

우탕 문무들도 얻은 것이 중이로다.

염락 관민들도 찾는 것이 중이로다.

예부터 이를 가져 대통을 전하시니,

생지 곤학도 얻은 것이 다 한가지

성인도 이 길이요, 현인도 이 길이라.

주문공 없은 후에 중도를 뉘 전할까?

현황 조화간에 알 이 없이 부쳤으니,

지의 중용을 맛 안 지 오래로다.

요순은 대성이라 배우면 요순이오.

정주는 대현이라 내 어이 못같을까?

이 중을 차려 있어 일마다 준비해라.

백사를 생각하면 경중이 다 있으며

만물을 헤아리면 장단이 다 있으니,

인의로 형을 삼고 예지로 추를 삼아

일전 일량을 가는 대로 나누어라.

과문 불입은 안자라도 하시려던

불개 기락은 우직인들 못 할 건가?

전성인 후성인이 역지즉 개연이라.

너희도 이를 보아 권을 알아 잡았어라.

마음에 이뤄 있고 골수에 배었으면,

조용히 얻어 있어 자연히 맞으리라.

절서를 알아낸 건 천지의 중이로다.

성인이 다시 나도 이 내 말 바꿀 건가?

천만인 모인 데도 나 혼자 말이로다.

하늘 땅 두 사이에 나와 셋 뿐이로다.

이 길에 나선 후에 요순의 길이려니,

처음에 이것 둘 때 네게 하여 두었지만,

인심이 번복하여 물욕에 묻혀 있다.

문전을 모르는데 원로를 어찌 알리?

물욕에 거추스뤄 별 뜻은 말아라.

주색에 깊이 취해 싸다니지 말아라.

행장을 다시 갖춰 새 마음 먹어라.

명심하여 생각하고 각골하여 잊지마라.

잘 가노라 닫지 말고 못 가노라 중지 말라.

그림자를 돌아보아 말을 따라 가거라.

흐르는 물이 되어 찬 후에 흘러가라.

싼 양식 다 먹거든 덕으로 가거라.

짚은 막대 다 닳거든 의를 짚고 가거라.

진실로 그렇게 살면 귀한 데가 많으리라.

삼달덕 모든 길로 성의관 찾아 가서

이천에 배를 띄워 지수로 건너서

명도께 길을 물어 가다가 저물거든

회암에 들어 자고 기수의 목욕하고

춘복을 떨쳐 입고, 무의 바람 쐬여

중점을 따라가면,

수인장 돌아들어 행단에 오르리라.

나도 첫 길이라 자세히 모르면서

남까지 가르치기 교만한 듯 하건마는

평생에 다닌 길을 모른다 할 것인가?

 

가다가 알 이 만나 다시 물어 가거라.[출처] 가사

 

'국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바로쓰기  (0) 2020.12.19
규원가 - 허난설헌  (0) 2020.06.18
관동별곡 /정철  (0) 2020.06.18
상춘곡 - 정극인  (0) 2020.06.18
오우가1 / 윤선도  (0) 2020.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