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나라

[알고싶은  생활예절을 클릭하세요]
제사의유래       
지방 쓰는 법
기제일             
 

공지 | 글은 인터넷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유일한 모습입니다.!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보다 같이 즐거워 할 수 있는 코멘트 부탁드려요.^=^*
출처 : 부처님 나라
글쓴이 : 도화지 원글보기
메모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피해  (0) 2008.08.14
계란껍질 활용법  (0) 2008.08.10
손은 답을 알고 있다  (0) 2008.06.04
[스크랩] [본문스크랩] 풍수 배우기  (0) 2008.02.16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06.11.30
손은 답을 알고 있다 (78가지) / 윤은기,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1.    인간은 동물 중 유일하게 손을 가진 존재입니다.

2.    손에는 온 몸의 신경이 모여 있습니다.

3.    따라서 가장 예민하고 소중한 곳입니다.

4.    수지침은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우리 온 몸을 치료하는 거지요.

5.    골프 후에 탕 안에서 두 손을 빼보면 곧바로 섭씨 2도 정도 덜 뜨겁게 느껴집니다.

6.    손을 보면 그 사람의 건강과 인품 그리고 행운이 보입니다.

7.    손이 큰 사람은 몸도 크고 손이 작은 사람은 몸도 작고

      손이 통통하면 몸도 통통하고 손이 말랐으면 몸도 말랐지요.

      손이 뜨거우면 몸도 뜨겁고 손이 차가우면 몸도 차갑습니다.

8.     손이 붓는 것은 온 몸이 붓는 것이고

9.     손을 떠는 것은 신경계통에 교란이 온 것입니다.

10.    손바닥에 있는 손금은 운명의 지도이고 손가락 지문은 개성을 나타냅니다.

11.     악수는 우호의 표시이고

12.     박수는 칭찬과 격려입니다.

13.     손뼉을 치는 것은 온몸으로 환호하는 것이고

14.     두 손을 비비면 최상급 아부이며

15.     손이 발이 되도록 빌면 정신 없이 사죄하는 것이지요.

16.     손사래는 온 몸으로 거부하는 것이고

17.     손바닥을 때리는 것은 온 몸을 때리는 것이며

18.     남녀가 손을 잡으면 이미 갈 때까지 간 겁니다.

19.     남녀가 손을 주무르면 온 몸을 주무르는 거나 마찬가지 입니다.

20.     그래서 제비족은 손이 아름답다거나 손금을 봐준다면서 여자의 손을 자꾸 주무릅니다.

21.     새끼 손가락을 걸면 강한 약속이고

22.     반지는 몸을 묶어서 하는 강한 맹세이고

23.     꽃 반지는 첫 사랑이며 쉽게 풀어집니다.

24.     손가락을 절단하는 것은 목숨을 건 결의입니다.

25.     손짓 발짓은 온몸으로 의사 소통하는 것이며

26.     두 손 모아 기도하는 것은 온 몸으로 염원하는 것입니다.

27.     손짓이 큰 사람은 외향적이고

28.     손을 등 뒤로 감추는 사람은 비밀이 있는 사람입니다.

29.     뒷짐을 지고 있는 사람은 관망하는 겁니다.

30.     손톱 장식을 많이 하는 사람은 화사한 성격이며

31.     손톱이 지저분한 사람은 온 몸이 지저분합니다.

32.     손바닥을 간지럽혀도 안 웃는 사람은 냉혹한 사람이며

33.     남의 손을 오래 잡고 놔주지 않는 사람은 정이 많거나 외로운 사람입니다.

34.     손가락을 빠는 사람은 어려서 젖을 충분히 못 먹은 사람이며 늘 입이 허전합니다.

         따라서 커서도 뭐든지 빠는 걸 좋아합니다. 커피도 빨아먹고

         잘 때 아내의 젖을 빠는 경향이 있고 못하게 하면 나가서 빨고 다닐 가능성이 있습니다.

35.     손모가지를 비튼다는 것은 온 몸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이며

36.     손목을 묶거나 수갑을 채우면 속수무책이 됩니다.

37.     빙판이나 계단에서 바지에 두 손을 넣고 다니면 낙상해서 온 몸을 다치기 쉽습니다.

38.     오른손은 좌뇌와 통하고 왼손은 우뇌와 통합니다.

39.      따라서 데이트할 때 왼손을 잡고 분위기를 잡으세요.

40.     수제품은 온 몸으로 만든 정성이 깃든 작품입니다.

41.     어머니께서 만들어주셨던 칼국수와 수제비 맛을 잊지

         못하는 것은 어머니의 몸과 마음이 다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42.    자장면도 수타로 한 것이 더 맛있습니다.

43.    엄마 손은 약손입니다. 온 몸의 기를 모았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생기는 거지요.

44.    두 손을 내밀면 온 몸으로 구원하는 것이고

45.    손에 손 잡고(hand in hand)는 강한 팀웍을 만듭니다.

46.    하이파이브는 온 몸으로 팀웍을 다짐하는 것이고

47.    거수경례는 온 몸으로 경의를 표하는 것입니다.

48.    부패한 손은 검은 손을 상징하며 깨끗한 손은 하얀 손으로 상징합니다.

49.   그래서 이태리는 비리 공직자와 마피아를 퇴치할 때 ‘하얀 손’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50.    손들어!는 저항하지 말라는 의미이고

51.    전투 중 두 손을 들면 항복하는 겁니다.

52.    명예의 전당에 스타들이 손바닥 자국을 남기는 것은 그의 일생을 남기는 것이고

53.    공수래 공수거는 인생자체를 말하는 겁니다.

54.    오른손이 한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는 말은 온 몸으로 비밀을 지키라는 것이고

55.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손바닥에 못 박히신 것은 가해자는 가장 혹독한 고통을 주려는 것이고

        예수님은 스스로 가장 큰 고통을 감수한다는 의밉니다.

56.    묵주와 목탁은 손을 통한 마음의 정화입니다.

57.    절 할 때에는 두 손부터 모아야 하고

58.    수화로 사랑을 고백하면 더 감동을 줍니다.

59.    손 때 묻은 것은 늘 함께해서 정이 든 것을 의미하며

60.    손바닥의 굳은 살은 인생의 나이테입니다.

61.    농부의 손은 농심이고,

62.    어부의 손은 어심입니다.

63.    노사화합을 나타낼 때 노사가 악수하는 것으로 상징하며

64.    과거 미국의 구호물자에는 한국인의 손과 미국인의 손이 악수한 그림이 있었습니다.

65.   법원에서 노동력을 평가할 때 손은 약 70%를 인정하지만 발은 약 30%밖에 인정하지 않습니다.

66.   남자가 여자의 손바닥을 간지럽힌 것을 성희롱으로 간주한 판례가 있습니다.

       이 남자가 여자의 온 몸을 건드린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을 판사님이 알아챈 것이지요.

67.   그대의 찬 손은 이미 상황이 끝났다는 것이고

68.   연애할 때 상대방의 손이 차가우면 수단방법 가리지 말고 손부터 따뜻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69.   여자의 손이 뜨거워지면 온 몸이 뜨거워진 겁니다.

70.   겨울철 따뜻한 장갑을 끼면 보온효과는 담요 한 장과 맞먹습니다.

71.   최고의 의전행사에서는 장갑을 낍니다. 손을 노출하면 몸을 노출하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72.   검은 장갑을 낀 여자는 신비한 여자이거나 수상한 여자입니다.

73.   두 손을 맞대고 눈을 감은 채 1분만 있으면 서로 전기가 통합니다.

74.   추울 때 두 손을 비비면 온 몸이 따뜻해집니다.

75.   세수만 잘해도 위생상태는 두 배로 좋아집니다.

76.   두 손 모아 기도만 잘 해도 운명이 두 배로 좋아집니다.

77.   당신의 손은  깨끗한 손입니까? 더러운 손입니까?

       건강한 손입니까? 병든 손입니까?

       생산적인 손입니까? 파괴적인 손입니까?

       베푸는 손입니까? 빼앗는 손입니까?

       아름다운 손입니까? 추한 손입니까?

78.   손은 답을 알고 있습니다. 손을 잘 관리하는 것은 인생을 잘 관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여러분께 이런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건강과 가정의 행복 그리고 운명을 바꿀 수 있습니다.



< 손에 관한 윤은기의 제언>


첫째,  손을 잘 씻고 손을 사랑합시다.

둘째,  어린이의 손바닥을 절대 때리지 맙시다.

셋째,  악수는 정성껏 합시다.

넷째,  박수는 자주 크게 칩시다.

다섯째,  작업할 때 골프 할 때 추울 때 반드시 장갑을 껴서 손을 보호합시다.

여섯째,  남에게 손가락질 하지 말고

일곱째,  어려운 사람은 손 잡아주며

여덟째,  상사에게는 두 손 잘 비비고

아홉째,  부하에게는 엄지 손가락 세워줍시다.

열째,  약자에게 손찌검하지 말며

열한 번째,  남의 손목 비틀지 말고

열두 번째,  손을 따뜻하게 하고 손 운동을 자주 합시다.

열세 번째,  손톱관리 잘 하고

열네 번째,  손수건은 좋은 것을 쓰고

열다섯 번째,  아내(남편)의 손을 잡고 잡시다.

열여섯 번째,  늘 두 손 모아 기도합시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피해  (0) 2008.08.14
계란껍질 활용법  (0) 2008.08.10
[스크랩] 생활 예절상식 모음  (0) 2008.07.18
[스크랩] [본문스크랩] 풍수 배우기  (0) 2008.02.16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06.11.30

[본문스크랩] 풍수 배우기

원문: http://blog.naver.com/dakinifist/80009024432

풍수학에서 본 바람
풍수의 어원은 "장풍득수" 에서 나온 말로 장풍이란 바람을 감추거나 간직한다는 뜻이다. 바람이 움직이는 상태가 아니라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말함이다. 계절에 따라 부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질병 등 바람의 피해를 본다. 풍수학에서는 이러한 영향으로 바람을 직접 받는 것을 피하고 풍해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그래서 음택에서는 "혈" 에 바람이 닿는 곳을 취하면 "인정이 끊어진다" 하여 북동쪽을 "귀문" 남서쪽을 "이귀문" 이라고 하며 이 곳에 욕실이나 화장실을 짓지 않았다. "양택 3요는 대문, 부엌, 안방을 말한다. 쌍동이를 많이 낳는 마을을 조사한 일이 있는데 낳은 사람과 낳지 않는 사람의 차이가 부엌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조사되었다는 얘기가 있었다. 물론 물은 동내의 공동 우물을 사용 하였고 대문은 외기의 통로이고 부엌은 여자가 주로 생활하는 곳이고 안방은 잠을 자고 생활하는 곳으로 매우 설득력이 있는 얘기다.



풍수학 용어
음택 [陰宅] : 묘지
양택 [暘宅] : 집터 또는 도시등의 터를 말한다.
용 [龍] : 땅의 들어가고 나온 모습을 말하며 산의 능선, 산을 통칭해서 부른다.
맥 [脈] : 산을 하나의 용으로 보았을때 동물의 기혈이 흐르는 것과 같은 에너지의 흐름 줄기.
절 [節] : 산이 흐르다 멈추는 것, 마디를 말한다.
혈 [穴] : 용맥이 흐르다 뭉치는 것을 말한다. 생기가 응집된 것. 그 이론은 인체의 요처를 치료하기 위한 침구슬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 [砂] : 혈의 주변에 있는 모든 사물을 통칭 부르는 용어.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포함한 강이나나 호수, 들, 길 등
명당[明堂] : 혈과 혼동되기 쉬운 대목. 혈을 받쳐주는 주변의 평평한 터. 주택으로 볼때 주택이 건설된 곳을 혈이라고 말하며, 주변 앞마당 뒷뜰 좌우의 공간 등에 해당되는 대지를 명당이라 함.
청룡과 백호 [靑龍과白虎] : 혈을 좌우로 감싸서 보호해 주면서 藏風[장풍]해 주는 산을 말한다. 보통 좌측이나 동쪽을 감싸주는 산을 靑龍[청룡]이라고 말하면 우측이나 서쪽을 감싸주는 산을 白虎[백호]라고 부른다.
朱雀[주작] : 혈의 앞쪽 산을 말하며 풍수는 앞을 음으로 본다. 산이 아니더라도 물로서 가능하면 강이나 호수도 가능하다.
玄武[현무] : 혈의 뒤쪽을 받쳐주는 산을 말한다.
案山과朝山[안산과조산] : 주작을 세분화한 것으로 혈을 주인으로 볼때 조산은 손님으로 보고서 서로 만나 대화하는 장소가 안산의 개념이 되므로 주산에 비해 격이 낮아야 된다.
主山[주산] : 혈을 맺게 해주는 혈 위에 높게 선 산을 통칭해서 말하며, 부락이나 도읍의 경우엔 鎭山[진산]이라고 불린다.
祖山[조산] : 혈까지 맥을 오게하는 맥의 발원처가 되는 가장 높은 산.
入首[입수] : 좁은 의미로 혈이 들어가려고 하는 곳.
頭腦[두뇌] : 입수처에서 혈에 이르는 곳에 마지막으로 기를 모으기 시작한다는 의미로 조금 높게 부풀어 오른 곳을 말하며 巒頭[만두]라고도 한다.
砂城[사성] : 두뇌가 혈 주위를 일으키며 좌우로 城처럼 둘러싸는 모습을 말하는데 외형상 살피기 힘드므로 묘역 등에서는 뒷편을 성곽처럼 감싸는 모습을 인위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得水[득수] : 혈이나 명당 용호의 안쪽에서 시작하여 흐르는 물의 발원지를 말하며 혈의 앞에 흐르는 물이 처음 보이는 곳을 말하기도 한다.
坡口[파구] : 득수가 흘러가는 곳을 말하고 穴의 앞에 흐르는 물이 마지막으로 감추는 곳은 水口라고 한다.
樂山[낙산] : 혈을 맺을때 기울거나 빠져 나가지 않도록 받쳐 주거나 괴어 주는 역활을 하는 穴의 뒷편 산을 말한다.
閑門[한문] : 수구[破] 양측에 대치하여 지켜주는 산으로서 그 형태는 깃발, 북, 시종, 군졸, 천마, 북극성, 뱀, 거북과 같은 砂를 으뜸으로 치고 혈처를 보았을때 坡口가 閑門을 막아 주는 것처럼 보이면 좋다.
華表[화표] : 수구 사이에 서로 대처 물이 그 사이로 흘러가는 산.
北辰[북진] : 수구 중류에 솟은 朝山에 속하는 砂로서 장군, 소라, 비봉, 와룡 등을 갖춘 가파른 산을 말한다.
羅星[나성] : 水口 앞을 막고 있는 사이에 약간 높고 편편한 언덕에 일어나 있거나 흙이나 돌 등으로 된 돌기가 있으며 물이 사변을 둘러싸고 흐르는듯한 砂를 말한다.



집을 지을 때 안 좋은것
대문이 북쪽에 있고 안방이 북쪽에 있는 집은 伏位主純陽之宅[복위주순양지택]이라고 말하며 초년에 크게 일어나나 얼마 안가 아내와 헤어지고 가산이 몰락한다. 대문이 북쪽에 있고 안방이 동북쪽에 있는 집은 五鬼之宅 [오귀지택]이라 하며 언제나 구설수나 시비에 휩쓸리고 병과 재난이 그칠 사이가 없다.


양택에서는 팔괘에 의해서 동, 남동,남,북쪽에 자리한 집은 東四宅 [동사택]이라 하고 북서, 남서, 북동, 서쪽에 자리한 집은 西四宅[서사택]이라 한다. 집의 방위는 주인이 태어난 해를 따져 따져 결정하는 것이 명궁이다.


음택 보는법
음택을 보는 법은 다음과 같다
1. 龍의 모습을 보고서 살필수 있는 看龍法[간용법]을 가지고 좋고 나쁨을 가린다.
2. 물의 흐름과 얻음을 가지고 살피는 得水法에 의해서 길흉을 판단한다.
3. 입지 요소가 방위별에 따른 상징이나 징후에 따라 살펴보는 坐向法에 의해서 좌우 대칭과 九
星이나 五行에 연관 지어 살필 수 있으면 기맥의 흐름에 따라 어디에 맺혔는가 살피는 定穴法,
자연 과학적 사고로 접근하는 藏風法이 있다.
** 통칭 龍.穴.砂.水 4가지 요소를 살피는 것이 풍수사상을 배우는 것이다.

산세로 본 오성
오행으로 분류하면 산은 5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1) 1)과 같이 생긴 산을 목형이라 부르며 나무 처럼 곧은 산.
+ +
+ +
+ +
+ +
+ +
+ +
-----------------------
2) + 2)와 같은 산을 화형이라 부르며 산이 불꽃처럼 봉오리가 날카로운 산.
+ + 비교적 가파르다.
+ +
+ +
+ +
+ +
+ +
+ +
----------------------------

3) WWWW 3)과 같은 산은 금성이며 산마루가 둥글고 아래가 넓어 마치 종을
\ \ 엎어 놓은 것 같다.
\ \
\ \
\ \
---------------------

4) WWWWWWW 4)형은 토형으로 평평하다.
\ \
\ \
\ \
\ \
----------------------

5) 5)형채가 유하여 굴곡하며 그 성질이 바녀하여 굽음이 많다.
\\ WWW \\

\ WWW \\ \ \
\ \
\ \
\ \
``````````````````````````````



각 5성에 대한 특성
[1]金山
金은 맑고 부드러워서 山형 역시 밝고 바르며 금성의 형태를 태양이라 하며 나즈막히 솟은 형체를 "태음" 이라 부른다. 金星의 行龍落脈이 많이 모이는 혈처는 대개 봉황이 춤을 추듯 새가나르듯한 鳳舞 飛島 형국이다. 금성의 형태는 혈을 맺는 곳이 많으면 높은 곳 눈썹형 볼톡 나온 형태로서 결혈 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다.
[2]木山
목성은 청수하면서 높이 솟아 있어서 겉으로는 강하고 안으로는 유하며 마디마디가 결합됨이 三亭穴 一字木型 人形 등에 낙맥되는 수가 가장 많다. 발복에 있어서 반드시 대귀한 준걸이 나타날소지가 있다.

[3]水山
수성은 형채가 유하고 굴곡하며 性이 다변하고 바른 모양이 적고 그 형국이 굽음이 많아 행용낙맥에 있어서 龍蛇 와 같은 결혈이 많으면 曲流之處나 혹은 洋洋曲水에 낙혈됨이 있다. 결혈처는 平地漣脈에 가장 많으면 그 氣가 은은하여 형채가 식별하기 어려우므로 세심한 요찰이 필요하다.
[4] 火山
항상 윗끝으로 好動하므로 祖宗의 산세가 높이 솟아 하늘을 찌르는듯한 형세로 밑으로 곱게 깔렸고 형국이 비겸지류[낫이나 도끼]같아야 결혈처가 있는 것이다. 체형이 수려하고 龍穴得局은 極品之地라 하겠다.
[5]土山
토형은 평평하며 그 형채가 순후하며 혈처가 높이 있어서 진혈로 득지한다면 발음이 대개 청규하게 되며 앝고도 작은 자리는 목민의 자리가 연출하게 되고 토성이 이어나가면 반드시 富局이다.


산, 得水로 보는 법


****** 乾山 ******
坤方 : 장남이 흉하게 된다.
乙方 : 과갑[科甲]과 영화가 있다.
子癸方 : 귀인이 나고 재산이 넘치고 자손이 흥왕한다.
甲方 : 길 한 영향을 준다.
辰方 : 재물이 넉넉해 진다.
午方 : 자손이 흉하게 된다.
壬方 : 太陰이 있으니 封君한다.... 옛말로 벼슬이 높고 귀하게 된다는 말
寅方 : 영화와 귀함이 있다.
戌方 : 武人이 많다.
卯方 : 자손이 亡하고 빈궁해진다.
庚方 : 세 아들을 두나 재산이 준다.
亥方 : 화재가 있다.
未方 : 여자에게 화액이 있다.
兌方 : 눈이 멀고 고향을 떠난다.
丁方 : 두 아들이 다리를 전다.
巳方 : 洛胎하고 자손이 없다.
丑方 : 음란하고 패가 한다.
艮方 : 처음엔 길하나 후에 흉하다.
丙方 : 장남과 아들이 패가 하거나 고향을 떠나 성공한다.
巽方 : 將相이 나오고 호색하는 奇才가 나온다.
乾甲方 : 가정 불화가 잦고 장자가 일찍 죽으면 여자는 교활하다.
午方 : 재산이 늘고 창성한다.



***** 甲山 *****
子癸方 : 집안이 흉하다.
甲 方 : 길하고 이하다.
卯庚方 : 장남은 빈궁하고 가운데 자식은 병을 앓는다.
坤 方 : 장손이 흉하고 8대 걸쳐 번창한다.
乙 方 : 과거에 급제한다.
申 方 : 발복한다.
辰 方 : 길하다.
午 方 : 재산이 흥왕하다.
亥 方 : 화재의 액을 당한다.
酉 方 : 소경, 음란, 화재 등을 당한다.
丁 方 : 두 아들이 절름발이가 된다.
巳 方 : 여러 아들이 고향을 떠나 걸인이 된다.
丑 方 : 다섯 째가 음란하고 패가 한다.
辰 方 : 승려나 걸인이 나온다.
丙 方 : 고향을 떠나면 길하다.
巽 方 : 장남이 길하다.
申 方 : 자손에 公候將相이 나온다.


* 지금까지 연재된 乾山 甲山은 坐를 얘기하는 것이며 풍수의 방향은 총 24 방으로 나누어 져 있으며 12 地支 子丑寅卯 辰巳午未 申酉戌亥 천간의 8개 [여긴 土을 상징하는 건 제외] 이유는 土는 坐山 즉, 北쪽 水와 같이 본다. 甲乙丙丁庚辛壬癸와 8괘 중 4개 乾艮坤巽 을 배열 24 궁으로 배열되었으며 위를 2개씩 묶은 것을 雙山이라 하는데 차후 설명할 예정입니다.



##### 卯山 #####
乾 方 : 長子는 죽고 妻는 간사해진다.

##### 亥山 #####
坤 方 : 자살 물에 빠져 죽는 흉사가 있으나 뒤에 壯相이 나온다.
乙 方 : 처음엔 빈곤하나 후에 크게 귀하게 된다.
子 方 : 음란 폐륜으로 고생한다.
申辰方 : 눈병과 낙태 도적이 끓는다
午 方 : 화재 병 등으로 패가 한다.
壬 方 : 음란하고 패가 한다.
戌 方 : 남녀가 호색하고 도망간다.
卯 方 : 장남이 절름발이 언챙이 불구가 된다.
庚 方 : 중풍을 앓거나 産厄이 있다.
亥未方 : 흉액이 많고 망신하는 일이 많다.
酉 方 : 흥왕하고 어린애 중에 文章名筆이 나온다.
丁 方 : 후손이 없다.
巳 方 : 귀동이 나오고 문과 급제하게 된다. (공부 잘하는 자손이 나온다는 뜻으로 풀이)
艮 方 : 부귀 흥왕한다.
丙 方 : 번창하고 발전한다.
巽 方 : 자손이 창성한다.
申 方 : 문장과 명필이 끊이지 않는다.

###### 乙山 ########
乾 方 : 장자가 오래 살고 영화가 온다.
甲 方 : 세 아들이 부유하다.
癸 方 : 武科가 많이 나온다.
申辰方 : 복록이 있다.
午 方 : 대대로 부귀하다.
壬 方 : 장남이 부요하다.
寅 方 : 부귀하다.
戌 方 : 부귀하다.
卯 方 : 크게 귀하다.
庚 方 : 공후장상이나 중이 나온다.
亥未方 : 처음엔 액이 있으나 후에 크게 귀하다.
酉 方 : 화재가 있고 炎病이 있다.
丁 方 : 손재와 병고가 있다.
巳丑方: 음란하고 재앙이 있다.
艮 方 : 재난이 있다.
丙 方 : 가운데 자식이 외눈박이가 있다.
巽 方 : 과부가 많고 안질이 많다.
申 方 : 災禍가 많다.



####### 辰山 ########
乾 方 : 장남이 부귀영화가 있다.
甲 方 : 장남이 크게 부자가 된다.
坤 方 : 편안하고 건강하다.
子癸方 : 치폐하고 凶死한다.
申辰方 : 가정불화, 화재 官액이 따른다.
午 方 : 자손이 부귀하고 이름을 날린다.
壬 方 : 둘째가 아주 길(吉)하다.
寅 方 : 모두 발복한다.
戌 方 : 장원이 나오고 부귀하다.
卯 方 : 장손에 울음이 끊이지 않는다.
庚 方 : 병고가 많다.
亥未方 : 고향을 떠난다.
酉 方 : 초년에 불리하나 공후(公候), 부마, 왕비가 나온다.
丁巳方 : 길흉상반(佶兇相半) 이나 뒤에 크게 귀하게 된다.
丑 方 : 크게 귀하다.
艮丙方 : 호색으로 패가 된다.
巽辛方 : 장남이 호색하고 액화가 끊이지 않고 걸인이 나온다.



###### 巽山 ########
건방[乾方] : 喪配[상배] 수가 있으나 文武將相[문무장상]이 끊이지 않는다.
신방[申方] : 처음은 불길하나 문무를 겸하여 크게 귀하다.
곤방[坤方] : 장남이 도적이 된다.
을방[乙方] : 남녀가 음란하다.
자계방[子癸方] : 중남이 도적이 되고 큰딸이 음란해진다.
신방[申方] : 장남에 횡액이 있고 패가 된다.
진방[辰方] : 고향을 떠나 구걸하게 된다.
오방[午方] : 화재나 논밭이 흩어지고 옥중고초 한다.
임방[壬方] : 눈병이 걸린다.
인방[寅方] : 낙태와 안질에 주의해야 한다.
묘방[卯方] : 흥왕하게 된다.
경방[庚方] : 둘째 자식이 잘된다.
해방[亥方] : 불길하다.
미방[未方] : 대길하다.
유방[酉方] : 둘째아들이 거부가 된다.
정방[丁方] : 전토가 많아진다.
사방[巳方] : 장남이 대길하다.
축방[丑方] : 자손이 흥왕하게 된다.
병방[丙方] : 모든일이 뜻과 같이 된다.
손방[巽方] : 다리병에 주의 하라.
신방 [辛方] : 가축이 잘 자라지 않는다.



###### 巳山 #######
해방[亥方] : 크게 부자가 된다. 기타는 酉山과 동일하다.



물의 종류에 따른 길흉법


▲외수[外水]로 보는 법
朱雀水[주작수]는 혈의 앞쪽을 가로질러 흐르는 물로서 유유히 흐르다 혈 앞에서 잠시 멈추다 흐르는게 좋고 급하거나 소리가 나게 흐르면 흉이 된다.

朝水 [조수]는 혈 앞에서 흐르는 물로서 감싸듯 둥글게 굽어 천천히 흐르고 깊게 흘러야 좋고 혈을 향해 똑바로 흐르거나 급하게 또는 큰소리로 흐르면 흉이 된다.

去水 [거수]는 혈 앞에 직류로 흘러가는 것을 말하며 혈에서 거수가 보이면 나쁘게 되나 흐름의 대세가 혈을 향해 거꾸로 오는 것이면 길격이다.
進龍水 [진룡수]는 외수가 內水口로 들어와 묘 앞에 이르는 것으로 좌측에서 오면 남자가 벼슬을 하게되고 우측에서 오면 여자가 득이 된다.

乘龍水[승룡수]는 혈의 좌우 물이 묘 앞에서 합류케 되는 것으로 六畜과 食財를 얻게 되며 去水의 방향이 亥卯庚의 세 방향으로 돌아가야 좋다.
隋龍水 [수룡수]는 멀리서 來龍을 뒤�아와 서로 감싸고 안음이 분명한 물로서 부귀를 가져오며 세 길 방향으로 와야 좋다.
朝龍水[조룡수]는 주작으로부터 와서 혈에 이르러 모이는 물로서 여러 겹이 모일수록 좋다.



▲내수[內水]로 보는 법
☞ 八子水, 蝦鬚水, 極暈水, 天心水, 眞應水, 繞龍水, 護龍水, 玄武水
팔자수[八子水] : 혈 뒷쪽 현무에서 좌우로 나누어 출발하는 물로서 앞에서 합해져야 한다.
하수수[蝦鬚水] : 혈 주위에서 새우수염처럼 가닥이 혈을 둘러 싼 것을 말하며 이는 혈을 보호
하고 생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하는데 역시 혈 앞에서 옷의 깃이
합치는 것처럼 몰려야 한다.
극훈수[極暈水] : 혈의 주위를 돌다 은밀하게 흐르는 것으로 형채가 보일듯 말듯한 모습으로 태
극훈[太棘暈]이라고 해서 이는 혈의 벌레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천심수[天心水] : 元辰이라고도 하는데 용호의 안쪽 즉 혈 앞에서 합쳐진 것으로 물의 유무에
관계없이 낮은곳을 정하여 앞쪽의 산이나 물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에
물이 고이면 길하게 되고 바로 흘러가 버리면 水破天心이라 하여 후사가 끊이
는 흉이 된다.
진응수[眞應水] : 혈 앞에 넘치는 샘을 말하며 이는 요의 기세가 성하여 흘러 넘치는 것으로 물
이 맑고 감미롭다.
요룡수[繞龍水] : 결혈 지점에서 혈을 둘러 싸고 여러 겹된 것을 말하며 수가 많을수록 좋다
호룡수[護龍水] : 물이 흘러가야 할 쪽에서 역류하여 혈 앞으로 모이는 것을 말하며 이것이 많
을수록 좋다.
현무수[玄武水] : 혈 주위에 난간처럼 둘러싸는 물을 말하며 복과 자손의 번창을 가져온다.



산 형세 이름 붙이는 방법
풍수를 논하는 사람은 여러 분류가 있으나 특히 형국을 가지고 논하는 사람을 물형지관이라 부른다. 이론적으로는 해박하게 보이나 제대로 혈처를 찾는 사람은 드물다. 그것은 바로 이론적 학문에 너무 많이 접해 있는 까닭이다. 고대중국의 풍수에 관한 서적에서도 이론서와 실무서 두가지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잘 알려진 "인자수지" "설심부" 등의 서적은 논리정연하게 저술돼 있지만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크다. 한권의 책으로 지형을 보고 형국을 논할 실력은 아니지만 엉터리 술사에게 사기는 당하지는 아닐할 것으로 본다.



###앞에서 본 5행형국 참조###
貴人 : 산의 모양은 五星의 木에 해당되며 두 개의 봉오리가 나란히 있으면 雙天貴人, 세 개면
三坮貴人이라 부른다.
將軍 : 木체에 금성을 띠며 장군이라 부른다.
武士 : 금의 머리에 화성을 가지고 돌이 있는 것을 말한다.
仙人 : 목성에 화성을 두르면 선인이라 부른다.
胡僧 : 목성에 호승을 두른 것.
玉女擊鼓 : 주산은 목성으로 하고 청룡백호의 끝에 북이 있고 앞에 춤추는 아이의 砂가 있다.
玉屛 : 흙산이 단정하게 벽처럼 선 것을 말한다.
金机 : 높은 土星이 정사각형으로 생긴 것을 말한다.
帳 : 水山이 누운 것을 말한다.
玉帶 : 水山이 돌아 감싸는 모습.
旗 : 木星과 火星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모습에 따라 出陣, 降, 敗 등으로 분류한다.
天馬 : 金山이 연이어 지고 火山을 띠는 것을 말한다.
孚雲 : 木星이 연이어 일어 나고 형태가 엉성하게 솟은 기운이 있는 것을 말한다.
祥雲 : 목성이 연이어 일어나고 그 형태가 뻑뻑한 것이다.
사자 : 金星의 머리와 土星의 몸, 火星의 꼬리를 이루는 것.
호랑이: 金星의 머리에 土星의 몸.
종, 가마솥 창고 : 金星을 말한다.
仙橋 : 水星의 양모서리에 火를 띠고 있는 것을 말한다.
鏡臺 : 큰산 바깥에 둥근 봉오리가 머리를 내밀고 거울 모양을 한 것.
잔 이나 그릇 : 작은 산이 중첩하여 잔의 모양을 나타낸다.
獻花 : 산의 양다리가 넓게 벌린 것
壯元旗 : 木星이 배열하여 水의 모습을 나타낸 것.
屯軍 : 작은 언덕이나 흙의 등성이 돌 등이 평야의 큰 산 사이에 있는 것을 말한다.
金, 銀帶 : 평면에 水星이 휘감아 도는 것.
文筆 :산이 뾰죽하게 솟거나 책상을 세운 것과 같은 것.
힁琴: 편편한 언덕이 거문고를 옆으로 놓은것과 같은 것.
散髮 : 목성에 화성을 두른 것.
福壽 : 중앙이 조금 일어난 모습.
눈썹 : 반달모양을 이루고 있는 정교한 모습.



혈을 찾는 법
혈이란 생기가 충만한 곳에 힘의 응집점이 응결되어 맺어지는 것을 말하며 이것이 眞穴이다... 혈을 정하는 것은 침구술에 경혈을 잘못골라 침을 놓으며 환자를 고치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것과 같은 것이다. 비록 좋은산을 찾드라도 혈을 올바로 정하지 못하며 좋은 산을 죽이는 것이 된다. 혈을 맺게하는 이치는 오목렌즈 거울이 달빛을 모아 물을 만들고 볼록 렌즈는 햇빛을 모아 불을 만드는 것과 같다. 혈은 窩,鉗,乳,突 4가지다.


1. 窩穴
두 손으로 여자 가슴을 만지는 형국이라 생각하면 된다. 제비집(강종배집), 닭 둥우리, 등잔 쟁반 등과 같이 약간 오목한 것, 즉 위로 향해 입을 벌린 모습과 같은 것으로 혈을 맺게 되는 곳은 조개껍질에 살이 붙어 있는데(일명 가이바시) 중심에 작을 돌기가 있는 곳이 혈이 된다. 모양이 사방으로 대칭으로 사방이 대칭으로 반달이 구술을 감싸듯 생긴 것을 길격으로 보고 비록 와혈이라도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어 지는 등 하면 음란한 후손이 나거나 후사가 끊이거나 빈곤해진다. 와혈은 높은 산에 많고 높은 산은 약간 들어간 곳이 되며 낮은 산은 약간 돌출된 곳이 혈이 된다.


2. 鎌穴
백옥같은 여인의 두 다리를 상상하며 겸의 형태를 생각해 보자. 다리도 쭉 뻗은 다리, 이것을 직겸이라 부른다. 어릴 때 영양부족이거나 어른들 등에 엎혀서 굽은다리 이것은 곡겸이라 부른다. 김만철씨 귀국할때 어린 딸이 아마 O형 다리였지요. 그리고 쌍겸이 있어요. 쌍겸은 양다리를 벌리고 팔을 뻗쳐 누군가 부등켜 안으려는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을 생각하며 되지요. 그 모습을 위에서 보며 다리는 길고 팔은 �으니 이해되실 겁니다. 그래서 鉗은 直鉗 曲鉗, 雙鉗으로 분류됩니다. 직겸은 서양여자처럼 너무 길어도 안되고 난간 안이 밖으로 기울지 않아야 되며 곡겸은 소 뿔처럼 포근히 안아 주어야 한다. 곡겸 중 긴다리(長)를 형성하는 건 좍 벌어진 것보다 다소곳 좁은 것이 좋으며 너무 짧은 것은 혈을 지키지 못하기에 나쁘며 밖으로 둘러 쌓여 있어야 한다. 숏다리가 다리를 옹크리고 그 안에돈 1000원 넣고 기킬려 해도 개구장이 현주는 고걸 빼앗아 사탕 사먹으려 하면 숏다리는 둘러쌓인 울타리가 적어서 뺏길 수도 있다는 원리와 같은 것이다. 쌍겸의 조건은 필히 가지가 붙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다리와 팔을 벌려 앉아 있는 것으로 비유 했는데 항공사진으로 촬영하면 필히 다리와 팔이 붙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邊曲邊直이 있는데 이것은 사람 다리로 비유 하며 한쪽은 똑 바른데 한쪽은 약간 구부러져 있는 것을 말한다. 이때는 긴 쪽에 물이 거슬려야 좋다. 다음으로 邊長邊短 있는데 한다리는 짧고 한다리는 긴 형상을 말하며 긴다리 쪽이 물이 거슬려야 좋다.



산 외형으로 본 구요


## 外形으로 山을 살피는법 ###

山은 5행을 五星이라 부르는데요, 둥근 건 金星, 곧은 것은 木星, 굽은 것은 水星, 날카로운 것은 火星, 네모난 건 土星이라 합니다. 이를 다시 다른 이름으로 부르면 금성은 太白星, 목성은 歲星, 수성은 辰星, 화성은 熒惑星, 토성은 鎭星이라도 합니다. 이 五星을 다시 세분하여 九星 또는 九曜라 부릅니다. 오성이 변격을 이루어 貪狼, 巨門, 祿存, 文曲, 廉貞, 武曲, 破軍, 左補, 右弼이란 이름을 가진 구성 또는 구요라 부릅니다.
貪狼 : 구성의 우두머리며 生氣와 生龍이라 합니다. 형태는 목성이며 죽순이 돋아난 것처럼 뾰
죽하고 가지런한 모습입니다. 文筆과 人口 官職에 관한 것을 주관하고 財孝의 養生을
일으키는 일을 관장하고 12지신의 으뜸이며 吉한 것으로 보고 오는 모습이어야 포태의
12궁으로서 養과 生이 된다.
巨文 : 天醫帝王의 궁이며 총명과 귀함, 목숨과 재물을 관장하는 것으로 雙腦가 움푹 평면이
있는 토성의 모습이며 左右 補弼이 있어 돕는 것이 되며 어느 물건의 출입문이 되는 경
우 오고 가는 모습이 있어야 吉格이 되며 포태법으로는 衰가 된다.
祿存 : 토성으로서 金頭에 水形의 다리를 가진 모습으로 絶體, 病龍, 질병을 관장하므로 사라
지는 모습이 좋고 포태법엔 胞와 胎가 된다.
문곡 : 수성으로 보기 때문에 그 氣는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에 떠도는 遊魂이 되며
游蕩과 疾厄을 관장하므로 사라지는 형태가 좋고 비단 한폭을 비스듬히 펼친듯한 모양
으로 포태법 12궁에 欲과 帶가 된다.
誣曲 : 富를 관장하는 성으로 金星에 해당되며 根源과 庫莊의 별로서 왕성한 기운을 얻어 번
창을 나타내므로 오는 모습이어야 좋으며 三腦가 金箱 같은 모습을 말하며 포태법으로
官과 旺에 해당되는 왕성한 별이다.
廉貞 : 火의 성으로 불꽃이 솟아 오르는 듯한 모습으로서 五鬼, 獨火, 刑殺, 凶毒의 일을 관장
하며 사라지는 모습이어야 길격이 되며 포태법으로 病과 死에 해당된다.
破軍 : 파군은 金星으로서 金頭에 火形의 다리를 가진 모습으로 殺曜, 形劫, 惡疾, 絶命 등을
관장하므로 오고 가는 모습이 모두 나쁘고 포태법으로는 墓에 해당된다.

### 산 형태를 구분 하는법 ###
금성
서쪽과 백색을 의미하며 종이나 가마솥 같이 생긴 것을 말한다. 야산이며 삿갓이나 말 같은 것이며 평지는 빵(호빵)처럼 생겼다. 그 생김에 따라 正體, 陽脚, 單脚, 懸乳, 側腦, 平面이다. 금성은 좌향이 금을 생해 주거나 본 모습이 좌향을 생해주면 길격인데 내명당에 큰 호수나 강이 있다는거나 넓은 밭 큰 도로가 지나며 제격이다. 이러한 유형의 산은 맹수나 큰 동물, 선인, 장군, 꽃, 글자에서 이름 짓는데 금계포란, 앵소유지, 옥녀동천, 장군대좌 등 복류형이 나온다.
목성
동방이다. 색깔은 청이다. 폭보다 위가 높은 것, 붓처럼 뾰죽하거나 우뚝 속은 것, 좌향은 寅宮을 통해 들어와서 震宮에서 氣를 얻어야 길하며 寅, 甲, 卯, 乙, 巽이 돼야 왕성한 기운을 얻는다. 이러한 산은 귀인형, 선인, 미녀, 꼬끼리, 낙타, 거문고 등에 비유한다.
토성
중앙 또는 鎭성이라 하는데 정상부가 약간 들어간 듯하거나 양쪽에 뿔난 듯한 모습을 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산 정상이 평평 하게 한 일자로 된 것. 높은 산은 병풍이나 창고 같이 중후하게 생긴 것을 말하며 혈성의 특징은 귀한 여자와 왼쪽 발목이 되면서 재운이 크게 됨인데, 震戌丑未에서 勢를 거쳐 坤宮에 氣를 得해야 길하게 친다. 이러한 유형의 산은 귀인 꼬끼리 갈 마음 수 옥금 봉황전시 우면 복호 장군 등 여러 형태로 불리운다.

풍수 방위
### 방위학 1 ###
현대나 고대나 방위는 시간과 함께 존재하며 우리에게 편안함과 괴로움을 주었다. 특히, 고대국가에서 전쟁과 농사 등에 우리에게 많은 기여를 하였으며, "기문 둔갑" 이라는 학문이 형성되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는 살아가는 데 이 방위를 빠뜨리고 살 수는 없다. 그것은 시간과 더불어 영원히 우리와 함께 동반할 것이다. 식민지 문화가 발달할 때도 모험심과 방위학을 존중한 나라는 세계를 지배했으며 컬럼버스처럼 서인도 간다고 가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웃지 못할 에피소드를 낳기도 했다. 우리 선조도 옛날부터 이 방위학을 연구 발전시켰는데 방위를 항상 우리의 안락함 쾌적함을 위해 쓰는데 주력을 하였으며 조선 초기 특히 세종조에는 우리나라의 과학 문예부흥기를 맞이 하게 되었다. 그 후 숫한 당쟁에 의해 사화가 일어나고 해서 과학이 점점 쇠퇴기를 접어들어 체계적으로 발달하지 못했고 정조 시절에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하려 했으나 국운이 다했음인지 우리의 과학은 외척 정치로 인해 자신을 그리고 문중을 위해 권력을 휘두를 줄만 알았지 민을 위한 정치가 사라지고 대한 광무 때는 치욕의 국치를 맞이 하게 되어 바야흐로 일본에게 국권을 빼앗기는 수치를 맛보게 되었다. 그로 인해 우리 역사는 일본에게 역사를 왜곡당하고 일본은 우리나라 명산에 쇠말뚝을 박기 시작했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혼을 앗아가는 만행이었다. 산에 쇠 말뚝 몇개 박는다고 별일이냐 하시는 분이 계시는지는 모르지만 우리는 이 세상 모두 존재하는 것은 생명을 가지고 있는 것임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나라 한민족의 근본 사상일 것이다. 우리와 생각이 다르고 처지가 다르다고 무조건 배척하고 따돌림을 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심한 갈등 속에서도 모든 것을 포용하고 이끌어 나가는 것이 자연이다. 자연에서는 우리도 자연의 맘을 가져야 할 것이나 우리는 자연을 보며 자연이 가장 큰 스승으로 생각해서 우리 스스로 자연에 큰 가르침을 베우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우리 선현들의 참 삶을 따르는 것이고 우리의 삶을 살지우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한 에피 소드로 국어 학자셨던 최남선 선생님 같은 분은 백두산에 오르실 때 요강(주석: 오줌누는 변기통)까지 들고 가셨다니 우리의 선조님들은 어떠한 생각으로 자연을 대하신지 단편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방위학 2 ###
方位는 어떻게 정해지나 ?? 우리는 흔히 사방 팔방이라는 말을 많이 쓰지요. 東西南北 4尨과 거기에 北東, 北西, 南東, 南西를 추가하며 8尨이 되는 것입니다. 방위는 지구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각도로 정해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서양 문물이 발달되면서 동서남북 등 이름이 나왔으나 우리 선조는 방위를 12지지를 붙혀 사용하였습니다.



東 : 卯 西 : 酉 南 : 午 北 : 子

이렇게 사방을 구분하였지요.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음미할 것이 있네요. 시간은 12지지로 나누면 떨어지지만 방위는 4방 8방 16방으로 나누어지니 안 맞아 떨어지네요. 그래서 우리 선조님들은 여기에 4羅 8干을 넣어 24 尨으로 羅經을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4羅 8干이 뭐냐고요 ?? 그것은 (4羅) 乾 坤 艮 巽 (8干) 甲 庚 丙 壬 乙 辛 丁 癸, 요걸 4羅 8干이라고 해요. 요로코롬 해서 우리 羅經은 24 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정도만 나경 방위의 구성에 대해 얘기합시다.
여기서 나침판은 정북을 안 가르킵니다. 왜 그러냐고요 ?? 자연의 힘을 설명 한다는 것은 가정에 의해 증명해야 하고 아직 정확한 이유는 추정에 의한 여러 가지 설들만이 있어요. 眞北과 子北을 모르면 지도 보고 신나게 길 찾아도 목적지는 달리 나와요. 진북과 자북은 지역에 따라 좀 차이가 있지만 대충 6-7도 정도 입니다.

여기 도는 뭐냐고요 ?? 방위는 360도 (원의각)인데 36방이며 한 방위는 10도가 되며 24방일 때는 한 방위가 15도가 되겠지요 ??
이제 나경의 구성과 도(방위척도수)를 알았지요.

#### 방위학 3 ####
우선 첫째 칸을 볼까요. 제일 안쪽에 양가집 규수처럼 숨어 있는 것이 첫째 칸입니다. 이건 八曜 黃泉殺을 보는 겁니다. 첫째 칸과 그림 제일 바깥 쪽 나경 4층과 조합해서 보는데 4층에 丁午丙 坐에 亥方이 水나 風의 殺을 받으면 이게 황천살이 됩니다. 나경 4층은 24방으로 돼 있어 坐는 말 그대로 앉아 있는 것, 즉 자기가 방위를 보기 위해 서있는 장소를 말하며 向은 보는 방향을 말합니다. 창 밖에 이쁜 여자가 지나간다고 생각해 보죠. 내가 창 밖으로 다가가서 봤을 때 내가 서있는 장소는 坐이고 그 여자는 向이 됩니다. 그런데 이 여자가 움직이며 向이 움직이고 서 있으면 不動 向이네. 풍수는 不動 向만 있어요. 지형 지물은 언제나 그자리에 있으니까요. 황천살은 이 방향에 바람이나 물을 받게 되면 황천살이 있다 해서 안 좋게 보는 겁니다. 그럼 물이나 바람 받는 건 우찌 알아요 ?? 물을 받는 것은 그 방향에 물이 보이는 것이고 바람은 그 부분이 움푹 들어간 것을 얘기하는 겁니다. 아마도 움푹 들어 간 곳은 바람이 들어오겠지요 양택에서 북쪽 담을 높게 치는 것도 바람을 막기 위한 것이며 주로 대나무를 심고 바람도 막아요. 나경에 방향을 보는 것은 4층(24방이 표시된 것)을 기준해서 보세요. 1층에 亥가 있으면 4층의 亥方向을 찾아 그곳에 황천살을 보는 것입니다. 그럼 황천살 마지막으로 짚고 가지요. 北方의 壬子癸 坐는 東南의 辰方이 황천살이며 北東의 丑艮寅 坐는 北東의 寅方이 東方의 甲卯乙 坐은 南西의 申方이 南東의 辰巽巳 坐는 西方의 酉方이 南方의 丙午丁 坐는 北西의 亥方이 南西의 未坤申 坐는 東方의 卯方이 西方의 庚酉申 坐는 南東의 巳方이 南西의 戌乾亥 坐는 南方의 午方이 南西의 未坤申 坐는 東方의 卯方이 西方의 庚酉申 坐는 南東의 巳方이 北西의 戌乾亥 坐는 南方의 午方이 황천살이 됩니다.

## 羅經 보는법 ##
이번에는 두번 째 칸 보는 법 알아보지요. 두번 째 칸은 4번 째 칸의 向이 2번 째 칸의 向으로부터 八曜 黃川殺을 받는 것입니다. 壬坐方 向에서 볼 때 첫째 칸 辰 方向에 물이니 風殺 맞으면 黃泉殺 맞는다는 거 저번에 하였죠. 이번엔 壬坐가 아니고 壬向일때 두번 째 칸 乾方에 물이나 風殺이 있으면 八曜 黃泉殺 맞는 겁니다. 그런데 보니 두 번째 칸에 한 칸 건너 한 칸씩 비워 있네요. 그럼 子가 向일 때는 우찌 알아요. 그럼 子 向일 때 黃泉殺 없나요 ?? 없을 리가 있나!! 그때는 시계 도는 방향으로 따른다 했어요. 그러니 子 方向도 乾이 황천살이 되네요. 壬坐丙向 일 때 壬坐(4째 간)는 辰(2째 칸)방향에 팔요 황천살을 살피고 丙(4째 칸)向의 巽方向(2째 칸)에도 八曜 黃川殺을 살피는 것입니다.



### 풍수방위 ###
이제 풍수 방위 4째 칸으로 들어 가 보지요. 이 칸은 조화에 있어요 외관상 조화 균형을 말하죠. 여러분은 명리학에서도 3合에 많이 익숙해져 있지요. 이건 풍수 3合입니다. 그런데 여긴 인수지합 무정지합 이런 거 따지는 것이 아니고 묘자리 하나 쓰는데 따지는거 많아 머리 아프죠. 이게 우리 조상님을 모시는 효도이고 정성 같아요. 그리고 조화에 신경을 많이 쓴 흔적이 있어요. 3째 칸은 坐와 得水, 破口가 三合을 이루는가를 보는 겁니다. 잊어버린 분을 위해 坐, 得水, 破口를 잠깐 설명할께요.



첫째 坐 : 사람이 누우면 좌는 머리지점이 기준이 되어 坐이고 발 지점은 向이 된다.
둘째 득수 : 산 위에서 볼때 물이 들어 오는 것이 보이는 지점을 得水지점이라 한다.
셋째 파구 : 반대로 산 위에서 볼때 물이 나가는 지점을 破口라 한다.



우리가 산소에 가면 비석을 많이 볼겁니다. 그 비석도 이 三合으로 기준을 잡는 것입니다. 비석 세울 때는 삼합을 기준으로 세운다는 것 아세요. 三合은 木火金水局으로 4가지로 나누며 木局은 甲丁乾 과 卯未亥 火局은 艮丙辛 과 寅午戌 金局은 癸巽庚 과 巳酉丑 水局은 壬乙坤 과 申子辰이 三合을 이루고 있습니다. 요걸 나경에서 보면 정삼각형이 됩니다. 甲方에서 8칸 째가 丁方, 丁方에서 8칸째가 乾方입니다. 그래서 앞을 보면 정삼각형이 됩니다. 4번 째 칸은 24방 방위구성 원리인데 여긴 이걸 地盤 正針으로 부릅니다.


#### 5째 분금#####
나경 5째 분금으로 들어갑니다. 5층은 穿山 72 龍을 나타낸 것으로 12支에 각각 5개 龍을 세분화한 60개 龍과 8개 天干과 4개의 卦인 乾 坤 艮 巽의 12 龍을 넣어 만든 것이다. 이것은 入首자리까지 龍의 방향을 정하여 吉格과 凶格을 정하는 것으로 甲子順과 壬子順을 고호살, 戊子順을 무기살이라 해서 凶格이라 해서 쓰지 못하게 하는데 4째 칸 地盤 正針의 地支가 있는 곳은 5째 칸에서의 양쪽을 쓰지 못하고 가운데 빈 칸만 쓰게 한다.



#### 6째 분금 ####

6째 칸은 人盤 中針이라 해서 沙를 볼 때 사용한다. 沙와 坐 의 관계를 坐山이 주인이 되어서 沙를 星宿 五行에 의한 六親 관계를 살핀다. 坐山이 乾坐인 경우 巽, 艮, 坤의 沙가 比肩이 되어 官方의 金의 沙가 높고 有情하고 맑게 보이며 부귀하게 되고 낮고 험하며 빈천하게 되며 財方인 土의 沙가 높고 맑으며 재물이 있고 낮고 험하며 妻福이 없으며 印方의 水가 맑으며 부자가 화목하며 낮고 험하며 父德이 없게 된다. 이 부분은 偏角의 부분을 충분히 숙지 하여야 하며 나경만 가지고 이 부분에 너무 심취하면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니 주의해야 한다.



#### 7째 분금 ####
입관 후 방향을 분금에 맞추어 틀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투지된 氣 납음오행의 상생 상극 관계를 살펴 쓰는 것으로 예로 辛亥로 투지되었다면 辛亥 납음이 金이므로 (명리학의 납음오행 참조) 金을 生하는 것이 土이므로 丁亥를 定하여 틀게 된다. 그리고 망자가 태어나는 年를 生해 주는 방향으로 트는 법도 있다.


<참조사이트>

http://www.feng-shui.or.kr/

http://www.fungsoo.com/

http://www.pung-su.com/main.htm

http://www.sumac.co.kr/main.jsp


출처 : 虛 堂 公
글쓴이 : 허당공 원글보기
메모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피해  (0) 2008.08.14
계란껍질 활용법  (0) 2008.08.10
[스크랩] 생활 예절상식 모음  (0) 2008.07.18
손은 답을 알고 있다  (0) 2008.06.04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06.11.30
 


위<---여길 클릭하세요!!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ㄱ>

가까와 → 가까워
가정난 → 가정란
간 → 칸
강남콩 → 강낭콩
개수물 → 개숫물
객적다 → 객쩍다
거시키 → 거시기
갯펄 → 개펄
겸연쩍다 →겸연쩍다
경귀 → 경구
고마와 → 고마워
곰곰히 → 곰곰이
괴로와 → 괴로워
구렛나루 →구레나루
괴퍅하다 →괴팍하다
-구료 → -구려
광우리 → 광주리
고기국 → 고깃국
귀엣고리 → 귀고리
귀절 → 구절
귓대기 → 귀때기
귓머리 → 귀밑머리
깍정이 → 깍쟁이
깡총깡총 →깡충깡충
꼭둑각시 →꼭두각시
끄나불 → 끄나풀

<ㄴ>

나뭇군 → 나무꾼
나부랑이 →나부랭이
낚싯군 → 낚시꾼
나무가지 →나뭇가지
년월일 → 연월일
네째 → 넷째
넉넉치않다 →
넉넉지않다
농삿군 → 농사꾼
넓다랗다 →널따랗다

<ㄷ>

담쟁이덩굴→
담쟁이 덩굴
대싸리 → 댑사리
더우기 → 더욱이
돐 → 돌(첫돌)
딱다구리 →딱따구리
발발이 → 발바리

둥근파 → 양파
뒷굼치 → 뒤꿈치
땟갈 → 때깔
떨어먹다 → 털어먹다

<ㅁ>

마추다 → 맞추다
멋장이 → 멋쟁이
무우 → 무
문귀 → 문구
미류나무 → 미루나무
미싯가루 → 미숫가루
미쟁이 → 미장이

<ㅂ>

뼉다귀 →뼈다귀
반가와 → 반가워
발가송이 → 발가숭이
변변챦다 →변변찮다.
보통이 → 보퉁이
볼대기 → 볼때기
빈자떡 → 빈대떡
발자욱 → 발자국
빛갈 → 빛깔
뻐치다 → 뻗치다
뻗장다리 → 뻗정다리
봉숭화 → 봉숭아

<ㅅ>

사깃군 → 사기꾼
삭월세 → 사글세
살별 → 꼬리별
숨박꼭질 → 숨바꼭질
상판때기 → 상판대기
새앙쥐 → 생쥐
생안손 → 생인손
설겆이하다 →
설거지하다
성귀 → 성구
세째 → 셋째
소금장이 → 소금쟁이
소리개 → 솔개
숫병아리 → 수평아리
숫닭 → 수탉
숫강아지 → 수캉아지
숫개 → 수캐
숫놈 → 수놈

솔직이 → 솔직히
술부대 → 술고래
숫소 → 수소
심부름군 → 심부름꾼
심술장이 → 심술쟁이
살어름판 → 살얼음판

<ㅇ>

아니꼬와 → 아니꼬워
아니요 → 아니오
아닐껄 → 아닐걸
아름다와 → 아름다워
아뭏든 → 아무튼
아지랭이 → 아지랑이
앗아라 → 아서라
애닯다 → 애달프다
어귀 → 어구
여늬 → 여느
오금탱이 → 오금팽이
오똑이 → 오뚝이
웅큼 → 움큼
-올습니다 → -올시다
얼룩이 → 얼루기
욕심장이 → 욕심쟁이
웃니 → 윗니
웃도리 → 윗도리
웃목 → 윗목
오뚜기 → 오뚝이
웃쪽 → 윗쪽
웃츰 → 윗층
옛부터 → 예부터
웃통 → 윗통
윗돈 → 웃돈
윗어른 → 웃어른
으례 → 으레
-읍니다 → -습니다
이맛배기 → 이마빼기
익살군 → 익살꾼
오무리다 → 오므리다
일군 → 일꾼
일찌이 → 일찍이
우뢰 → 우레
있구료 → 있구려

<ㅈ>

지푸래기 → 지푸라기

자그만치 → 자그마치
장군 → 장꾼
장난군 → 장난꾼
장삿군 → 장사꾼
저으기 → 적이:
적쟎은 → 적잖은
주착없다 → 주책없다
죽더기 → 죽데기
지겟군 → 지게꾼
지리하다 → 지루하다
짓물다 → 짓무르다
짚북세기 → 짚북데기

<ㅊ>

천정 → 천장
총각무우 → 총각무
춥구료→ 춥구려

<ㅋ>

켸켸묵다 → 케케묵다
코맹녕이 → 코맹맹이
코보 → 코주부
콧배기 → 코빼기

<ㅌ>

탔읍니다 → 탔습니다
트기 → 튀기

<ㅍ>

판잣대기 → 판자때기
팔굼치 → 팔꿈치
팔목시계 → 손목시계
펀뜻 → 언뜻
푼전 → 푼돈
풋나기 → 풋내기

<ㅎ>

하게시리 → 하게끔
하는구료 → 하는구려
하는구면 → 하는구먼
하옇든 → 하여튼
한길 → 행길
할께 → 할게
할찌 → 할지
허위대 → 허우대
허위적허위적 →
허우적허우적
호루루기 → 호루라기


◈ 새 맞춤법의 주요내용 ◈

●[읍니다]와[습니다]로
있읍니다
→있습니다.
없읍니다 → 없습니다.
●[장이]와[쟁이]를 구분
미장이,유기장이 등 기술자를 일컬을 때에는 [장이]로, 욕쟁이, 심술쟁이 등 버릇을
일컬을 때에는 [쟁이]로 한다.
●[군]을 [꾼]으로
일군
일꾼, 농삿군 농사꾼
●[와]를 [워]로
고마와
고마워, 가까와 가까워
●수컥을 이르는 말은[수]로 통일
수꿩, 수캉아지, 수컷, 수평아리
(예외:숫양,숫쥐,숫염소)
●[웃], [윗]은 [윗]으로 통일
윗도리, 윗니, 윗목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쓴다 :
위짝,위턱)
·[아래·위]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쓴다.
예 : 용돈,웃어른)
●성과 이름을 붙여쓴다.
이 순신
이순신, 김 구 김구
●수를 적을 때는 만·억·조·의 단위로 쓴다.
이억팔천오백십육만칠천팔백구십팔


◈ 개정된 외래어 표기법 ◈

●인명·지명의 표기
고호
→ 고흐 베에토벤 → 베토벤
그리이스 → 그리스 시저 → 타이사르
뉴우요오크 → 뉴욕 아인시타인 → 아인슈타인
뉴우지일랜드 → 뉴질랜드 에스파니아 →
에스파냐 뉴우튼 → 뉴튼 처어칠 → 처칠
디이젤 → 디젤 콜룸부스 → 콜롬버스
루우스벨트→루스벨트 토오쿄오 → 도쿄
페스탈로찌 → 페스탈로치
마오쩌뚱 → 마오쩌둥
모짜르트 → 모차르트 헷세 → 헤세
말레이지아 → 말레이시아
힙포크리테스 → 힙포크라테포
뭇솔리니 → 무솔리니 바하 → 바흐
●일반용어의 표기
뉴우스
→ 뉴스 도우넛 → 도넛
로보트→ 로봇 로케트 → 로켓
보올 → 볼 보우트 → 보트
수우프 → 수프 아마튜어 → 아마추어
어나운서 → 아나운서 유우엔 → 유엔
텔레비젼 → 텔레비전 포케트 → 포켓

출처 : 인연의 향기
메모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피해  (0) 2008.08.14
계란껍질 활용법  (0) 2008.08.10
[스크랩] 생활 예절상식 모음  (0) 2008.07.18
손은 답을 알고 있다  (0) 2008.06.04
[스크랩] [본문스크랩] 풍수 배우기  (0) 2008.0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