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에 좋은 주목 나무





▶  주목은 환절기 모든 독감에 대단한 효력이 있다.  


주목은 유행성 독감에 매우 좋은 효력이 있다. 높은산에서 자라는 오래묵은 야생 주목이 정원에서 기르는 주목보다 훨씬 효과가 뛰어나기는 하지만 야생 주목을 마구베어가는 바람에 멸종위기에 있으며 천연 기념물로 지정되어 단지 전국 산악 몇 군데에서만 보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독감에는 야생말고도 정원에서 혹은 재배로 심고 있는 주목을 사용해도 그 효과는 탁월하다.

 주목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에서 야생은 가능하면 보호를 하고 재배산 및 정원 주목을 많이 심고 가꾸어서 활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주목은 독성이 있으므로 주목을 끓일 때 반드시 날달걀을 같이 넣어서 달여야 한다.

잘게 썬 주목 1킬로그램에 물 18리터를 붓고 유정란 15개를 날것으로 껍질을 깨뜨리지 말고 넣은 다음 10시간 이상 달여서 고운 천으로 잘 거른 다음 한 번에 100밀리그램씩 하루 3번 복용한다.

 달걀이 주목의 독성을 없애기 때문이다.

유행성 독감은 1918년 스페인 독감이라는 이름으로 2천만명 ~ 4천만명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한 인류의 대역병이다.

1957년 아시아 독감, 1968년의 홍콩 독감이 말해주듯이 독감 바이러스는 변종이 매우 빈번하고 예측이 불가능하게 생기기 때문에, 적효가 있는 백신이 개발되기 전에 치명적인 돌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아래의 내용이 일반 감기에서부터 독감에 걸린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JDM)

주목나무 무엇인가?
▶ 독감에 신효한 약나무 주목
"주목은 최근에 와서야 이 나무의 껍질에 들어 있는 택솔이라는 성분이 항암제로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기적의 항암제’니 ‘금세기 최고의 약용식물’이니 하는 칭송을 받고 있다. 

 더구나 우리 나라 토종 주목이 다른 나라 주목보다 택솔 성분이 적어도 스무 배가 넘게 들어 있음이 최근의 한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한다.
주목은 원래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그 약성을 처음 발견하여 염증치료의 비약으로 써오던 것이라고 서양에서는 말하고 있으나, 우리 선조들도 아득한 옛적부터 신장염, 부종, 소갈병 등에 민간약으로 써왔다. 다만 주목에 독성이 있고 흔치 않았던 까닭에 널리 쓰이지 않았을 따름이다.
택솔의 항암효과에 세계가 법석
주목은 그 이름이 가리키는 대로 껍질과 재목이 유달리 붉다.

향나무 재목도 붉지만 그보다 더 붉다.  때문에 적목(赤木), 적백(赤栢) 같은 다른 이름이 있다. 

 경기도에서는 경목(慶木), 제주도에서는 저목, 또는 노가리낭이라고 부른다.
주목 잎은 개비자나무나 솔송나무를 닮았다. 잎이 좁고 길지만 부드러워 손을 찌르지는 않는다.  

잎 색깔은 진한 녹색이다. 그런데 기이한 것은 이 나무의 열매다.

가을에 콩알만한 크기로 빨갛게 익는 열매는 한 가운데가 움푹 파이고 그 안에 든 씨가 드러나 보여 마치 술잔이나 종지 속에 씨앗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씨앗을 싸고 있는 과육 부분을 가종피(假種皮)라고 하는데, 종자껍질 비슷하지만 진짜가 아니고 가짜라는 뜻이다.

가종피는 물이 많고 단맛이 있어서 아이들이 따먹기도 하지만, 독이 있어서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하게 된다.
주목은 생장이 몹시 느리다. 대기만성을 신조로 삼는 나무랄까, 정원에 옮겨 심고 10년을 공들여 키워도 심을 때 모습 그대로다.

70~80년을 키워도 키는 10m가 안 되고, 줄기의 지름이 20cm쯤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나무 그늘에서는 백 년이고 이백 년이고 자라는, 생명력이 어지간히도 질긴 나무다.

 다른 나무 그늘에서 웬만큼 자라고 나면 그 때부터는 생장이 조금 빨라져서 천 년을 우습게 알만큼 장수를 누린다.

소백산 꼭대기 부근 천연기념물 제244호로 지정된 주목 군락에는 천 년을 예사로 넘긴 아름드리 주목 1,500그루가 45,000평의 산비탈을 가득 채우고 있다. 주목은 모든 식물 중에서 가장 오래 사는 식물이다.

어쩌면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물 중에서 가장 오래 사는 생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만 년을 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더 오래 된 것도 있을 수 있다.
이 나무는 성질이 고고해 사람의 손길이 닿기 어려운 산꼭대기에 산다.

 한라, 지리, 태백, 설악, 오대, 덕유, 소백, 치악, 화악, 발왕산, 울릉도의 800m가 넘는 곳에 자라고, 설악산에는 줄기가 옆으로 뻗어 정원수로 인기 있는 눈주목이 자란다.

 울릉도에는 주목과 닮았으나 잎이 더 넓은 화솔나무도 자생한다. 그러나 주목은 욕심 많은 사람들의 손에 다 잘려나가고 이제 나라 안에 모두 합해봐야 수천 그루쯤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다른 나라에는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에도 자생하며 재배도 한다.
나라 안에 수천 그루 남아있을 뿐
이 나무는 수형의 아름다움도 경탄할 만하지만, 목재의 재질이 붉고 향기로우며 치밀하면서도 단단해 모든 재목 중에서 으뜸으로 친다.

〈성지(盛志)〉라는 옛 문헌에는 ‘주목은 향기가 좋아 관을 만드는 데 쓰며 값이 무척 비싸다.

마를 때 쪼개지는 성질이 있으나 땅에 들어가면 도로 아물어 붙어서 굳기가 돌 같다’고 적혀 있다.
<동집(東輯)>이라는 책에도 ‘탄력이 좋고 빛깔이 고우며 돌처럼 단단하고 결이 치밀해 재목으로 으뜸’이라고 써 놓았다.

주목의 목재는 절에서 부처나 염주를 만드는 데나 최고급의 가구재로 귀하게 썼다.

문갑, 필청갑, 바둑판, 지팡이, 얼레빗을 만들고,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활을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신사(神社) 안에 모신 신상이 들고 있는 홀(笏)을 주목으로 만든다.

 이 나무의 심재에서 붉은 색 물감을 뽑아내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주목의 붉은 빛이 악귀를 쫓는 효력이 있는 것으로 믿어 벽사의 의미로 그릇이나 부적, 지팡이를 만들었다.

특히 주목지팡이는 가볍고 튼튼하고 휘지 않아 좋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지팡이의 붉은 빛이 귀신을 쫓아내고 무병장수하게 해 주는 힘이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우리 선조들은 주목 지팡이를 선물하는 것을 노인들한테 가장 큰 효도의 하나로 여겼다.
이 나무를 약으로는 그다지 널리 쓰지는 않은 듯하다. 아마 흔하지도 않았거니와 독이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옛 의학책 어디에도 주목을 약으로 썼다는 기록은 없다.

다만 민간에서 기생충을 없애기 위해서 열매를 한 번에 열 개쯤을 먹고, 줄기와 잎을 가을에 따서 그늘에서 말려 신장염, 부종, 월경불순, 암, 당뇨병, 신경통, 기침 등에 써왔다고 한다.

 약으로 쓸 때에는 말린 약재 3∼8g을 200ml쯤의 물로 오래 달여서 먹거나 잎을 생즙을 내어 먹는다.

독성이 있으므로 체질이 민감한 사람은 상당히 주의해야 한다.
귀신을 쫓는 나무
주목에 들어 있는 항암성분은 미국 국립암연구소에서 찾아냈다.

1958년부터 1980년까지 35,000종의 식물에 대해 항암작용을 조사하던 중에 발견했다고 한다.

주목에서 추출해낸 항암제 택솔은 미국에서 이미 독성시험을 마치고 많은 환자들에게 투여해 암 치료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미국국립암연구소에 따르면 "유방암, 난소암에 효과가 크고, 달리 손을 써 볼 수 없는 폐암환자한테 투여했더니 30%쯤 증상이 호전됐고, 다른 부위로 전이된 폐암 환자도 48%가 종양의 크기가 줄어들었다"고 했다.
그러나 택솔이 항암제로 문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택솔은 혈압을 내리고 심장의 운동을 느리게 하는 작용이 있는 알칼로이드의 한 종류다.

많은 양을 먹으면 심장마비와 위장염을 일으키는 등 독성이 있다.

이 독성을 없애는 것이 하나의 큰 과제다.
또 다른 문제는 택솔의 원료인 주목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택솔은 미국 태평양 연안에서 자라는 주목에서 추출하는데, 그 주목의 껍질에 0.01%밖에 들어있지 않아 환자 한 사람한테 필요한 양인 2g을 얻기 위해서는 서른 그루의 주목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나무는 생장이 몹시 느려서 지름 7cm가 되는데 백 년이 걸린다.
그러나 북한의 과학백과사전출판사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이라는 책에 적힌 주목의 성분분석을 보면, 잎에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쿠마린이 들어 있고, 6월에 채취한 잎에는 택솔이 0.22% 들어있다고 했다.

이는 미국에서 자라는 주목보다 22배나 많은 양이다.

 이밖에 탁시닌, 계피산, 플라보노이드인, 스치아도퍼티신, 쿠에르체틴, 0.14%의 납 모양 물질, 42mg%의 치아노겐 배당체가 들어 있고, 목재에는 탁수신과 비슷한 화합물이 들어 있다고 적었다.
날달걀이 주목의 독성 없앤다
역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는 ‘약리실험에서 기침멎이작용, 진통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오는 기침, 신경통을 비롯한 동통성 질환 楮?쓴다.

하루 9∼12g을 달여 먹는다. 잎도 혈압낮춤작용, 호흡흥분작용을 나타낸다.

민간에서 잎은 통경약, 이뇨약, 당뇨병 약으로 쓰며, 목질부는 미친개한테 물린 데, 위장병 등에 쓴다’고 적었다.
민간에서 갖가지 암을 완치한 사례가 몇 차례 입증된, 주목으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백 년 넘게 자란 주목 줄기를 잘라 대패로 얇게 깎아내 그늘에서 말린다.

주목은 백 년이 넘게 자란 것이라야 약성이 제대로 나는데 오래 묵은 것일수록 약성이 높다.

주목 300g에 물 한 말을 붓고 달걀 유정란 15개를 함께 넣어 물이 3되가 될 때까지 달여서 약재와 달걀을 건져내어 땅속에 파묻어 버린다.
남은 물을 한 되가 될 때까지 달여서 두고 하루 세 번씩 밥 먹기 전에 마시는데, 한 되를 15등분으로 나누어 마신다.

즉 이 약물 1되가 닷새 동안 먹을 분량이다. 먹는 동안 몸에 두드러기가 생길 수 있으나 다른 부작용은 없다.
주목을 달일 때 날달걀을 넣는 까닭은 달걀이 주목의 독성을 모두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달걀은 나쁜 냄새와 독을 빨아들이는 작용이 있다.

여우고기는 노린내가 몹시 나서 도저히 먹을 수 없는데, 날달걀을 몇 개 넣어 삶으면 나쁜 냄새를 모두 빨아들여 냄새가 전혀 나지 않게 된다고 한다.

나중에 그 달걀은 건져내어 땅속에 파묻는 것이 안전하다. 먹으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목이 예전에는 요즘보다 훨씬 더 흔했다. 높고 깊은 산에 숲을 이루어 자라고 있었으나 목재로 가치가 뛰어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엄청난 숫자가 도벌당해 없어졌다.

소백산 꼭대기 부근의 주목군락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나서도 한참 후인 1981년에도 500년 넘게 묵은 아름드리 주목 수백 그루가 무참하게 잘려 나가는 것을 보았다.
우리 나라의 주목은 앞으로 어쩌면 최고의 난치병인 암을 퇴치하는 세계적인 보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바둑판 같은 것은 다른 나무로 만들도록 하고, 우리의 보물인 주목을 잘 지키고 크게 번식시켜야 하겠다.
주목은 유행성 감기와 보통 감기에도 특효약이라고 할 수가 있는데, 독감을 치료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정원에 자라고 있는 주목의 잎이나 줄기를 잘라서 달여서 먹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그러나 독성이 있으므로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안 된다.

잎이나 줄기 10-20g을 물 한 되(1.8리터)에 넣고 1시간쯤 약한 불로 달여서 물이 반으로 줄으면 하루 3번에 나누어 마신다.
주목 달인 물은 약간 쌉쌀한 맛이 난다.

잎이나 줄기는 특히 유행성 독감에 특효약이라고 할 수 있다.

독성을 없애려면 끓일 때 날달걀 한두 개를 깨지 않고 통째로 넣고 끓이면 된다.

 몇 번 유행성 독감이 유행할 때 독감에 걸린 사람들한테 주목을 달여서 복용하게 했더니 대부분 한 잔을 마시고 즉시 나았으며 다시는 독감에 걸리지 않았다.
이웃에서 독감 명의로 소문난 가정주부 "최학임씨"의 체험담
주목으로 독감과 냉 방병 명의가 된 사연
저는 서울 당산동에 사는 주부입니다. 나이는 마흔 여섯이고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어려서 시골에서 자란 덕분에 풀이나 나무 같은 것들에 관심이 있었고, 제 건강이 별로 좋지 않은 편이어서 수시로 병원 신세를 지곤 하던 중에, 병원약이 아니라 약초 같은 것으로 질병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가 알아보다가 토종약초연구학회를 알게 되었습니다.
한국토종약초연구학회에서는 산이나 들에 흔한 약초로 질병을 고칠 수 있는 방법들을 많이 가르쳐 주었는데, 평소에 쓸모없는 잡초로만 알고 있던 쑥, 민들레, 질경이, 애기똥풀 같은 것들이 여러 난치병을 고칠 수 있는 훌륭한 약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토종약초연구학회에서 가르쳐준 대로 주변에 흔히 있는 약초들을 채취하여 이웃에 사는 사람이나 아이들, 남편들한테 복용하게 해 보니 과연 좋은 효과가 있었고 부작용 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병원에 가는 대신 가까운 산이나 들에 나가서 남들이 잡초로 여기고 있는 풀을 채취해서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거나 하면 감쪽같이 병이 나아버리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정말로 자연 속에 온갖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토종약초 중에는 신기한 효험을 지닌 것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 우리 가족과 이웃 사람들이 가장 효험을 많이 보고 있는 약초는 주목입니다.

주목은 정원에 흔히 관상용으로 심는 나무여서 산이나 들에 나가지 않아도 쉽게 구할 수 있고, 또 조금만 써도 즉시 효과가 나타나는 까닭에 제가 가장 애용하는 약초입니다.
지난 겨울에 제가 독감에 걸렸습니다.

콧물이 정신을 못 차릴 정도로 나오고 코가 막히며 기침을 심하게 하고 머리가 무겁고 아팠습니다.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약을 지어 먹었지만 조금도 좋아지지 않더군요.

갈수록 기침이 심해져서 저녁에 잠을 제대로 잘 수가 없을 지경이 되었습니다.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병이 감기라는 사실을 저는 그때서야 깨달았습니다.
병원에서 처방한 약을 계속 복용하고 또 여러 가지 민간약도 써 보았지만 전혀 낫지 않았습니다.

 두 달동안 죽을 만큼 고생을 했습니다.

그런 중에 토종약초연구학회 최진규 회장님이 독감에는 주목을 달여 먹으면 좋다면서 처방을 주었습니다.
저는 즉시 정원에 있는 주목의 잎과 잔가지를 한 줌 잘라서 날달걀 몇 개를 고 끓여서 달인 물을 맥주잔으로 3분의 2 가량 마셨습니다.

약간 쌉쌀한 맛이 날 뿐 먹기가 그다지 불편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랬더니 신기하게도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서 기침이 멎고 머리가 맑아졌습니다.

두 달을 심하게 앓던 지독한 감기가 주목 달인 물 한 잔을 먹고 즉시 나아버린 것입니다.
마침 독감이 유행하던 때여서 이웃에 있는 감기환자들한테 한 잔을 복용하게 했더니 역시 단 번에 나아버렸습니다.

제가 감기를 똑 떨어지게 고친다는 소문이 나자 이웃에서 감기환자들이 꽤 많이 찾아왔습니다.

저는 그 사람들한테 주목을 달여서 복용하는 방법을 일러 주거나 달인 물을 주었고, 주목을 달인 물을 복용한 사람은 모두 감기가 씻은 듯이 낫는 것이었습니다.
주목이 암이나 당뇨병, 늑막염, 폐결핵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고 들었지만, 저는 그런 큰 병에 대해서는 써 볼 기회가 없었고, 감기에는 꽤 많은 사람들한테 써 봤는데, 모두 잘 나았습니다.

얼마 전에는 열 다섯 살 된 아들이 에어컨 바람을 오래 쐬어서 그런지 감기에 걸려 기침을 콜록콜록 하고 열이 났습니다.

요새 여름 감기가 더 무섭고 또 에어컨을 켠 방에 오래 있어서 생긴 냉방병이라는 병은 감기의 사촌형님쯤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서 역시 주목을 달여 한 잔을 마시게 했더니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신기하게 낫는 것이었습니다.

주목이 여름철 냉방병에도 효험이 있다는 것을 이 때 깨달았습니다.
저는 주목 덕분에 동네에서 독감을 잘 고친다고 소문이 났고, 이웃 사람과 가족들의 질병을 토종약초로 고쳐 주는 재미에 큰 행복과 보람을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

이웃사람들은 요즈음 감기에 걸렸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발을 삐었거나 하면 병원보다 먼저 저한테 찾아와서 좋은 약초가 없냐고 묻습니다.

저는 동네에서 토종약초 전도사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정원에서 키우는 주목
정원에서 키우는 주목도 독감치료약으로는 대단한 효력이 있습니다.

반드시 날달걀과 같이 넣고 끓여서 법제를 해서 써야 합니다.

높은 산에서 자란 수백 년 묵은 것이라면 더더욱 효과가 좋습니다.
주목으로 베개를 만드십시오
주목으로 배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고혈압, 중풍, 동맥경화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혈압이 높거나 감기에 들었을 때 주목베개를 물로 달여서 한 번 마시면 즉효가 있을 것입니다.  
100번을 우려 먹어도 꼭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주목에는 매우 강한 치료기운이 있으므로 집에 두기만 해도 온갖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주목열매를 따서 먹는 사람이 있는데 독이 있으므로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비자나무는 주목과 다릅니다. 쓰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주목은 갖가지 암, 염증, 유행성 독감, 당뇨병 등에 매우 좋은 효력이 있습니다.

 높은 산에서 자란 야생 주목이 훨씬 효과가 좋으며, 구하기 어려울땐 정원에서 키운 것도 야생보다 효과가 떨어지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목은 독성이 있으므로 주목을 끓일 때 날달걀을 같이 넣어서 달여야 합니다.

잘게 썬 주목 1킬로그램에 물 18리터를 붓고 유정란 15개를 날것으로 껍질을 깨뜨리지 말고 넣은 다음 10시간 이상 달여서 고운 천으로 잘 거른 다음 한 번에 100밀리그램씩 하루 3번 복용하십시오.

 달걀이 주목의 독성을 없앱니다.  

 

주목의 효능을 요약하면 (유행성 독감, 온갖암, 염증, 당뇨병, 고혈압, 중풍, 동맥경화, 일반감기, 신장염, 부종......)"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

주목에 대해서 <두산동아세계대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주목에서 뽑아낸 "택솔" 항암제 (영문 : Taxol)
난소암, 유방암, 폐암의 말기 환자에게 특효가 있는 항암물질. 60년대 미국에서 개발돼 말기 암환자를 상대로 한 임상실험 결과 유방암 환자의 50%, 난소암 환자의 30%, 폐암환자의 25%가 치료되는 등 탁월한 효능이 입증된 바 있다.
미국에서는 그동안 주목의 잎과 껍질에서 택솔성분을 추출해왔는데, 주목의 수령이 100년 정도 되어야 하기 때문에 벌채하는 데 문제가 있어 양산이 어려웠다.
그런데 93년 우리나라 산림청의 임목 육종연구소에서 세계 최초로 주목 종자의 씨눈에도 택솔이 다량 함유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주목씨눈의 인공 배양기술을 개발해 택솔을 양산하였다.
96년 10월 한미약품이 중간원료물질에 사이드체인을 붙여 택솔을 만드는 반합성제조기술을 개발해 앞으로 파일럿 생산에서 성공을 거둘 경우 97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상품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목(朱木)
주목과의 상록교목. 높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22 m, 지름 2 m에 달한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큰가지와 원대는 적갈색이며 껍질이 얕게 갈라진다. 잎은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벋은 가지에서는 깃처럼 2줄로 배열하며, 나비는 2∼3 mm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잎맥은 양면으로 도드라지고 뒷면에는 가장자리와 중륵 사이에 연한 황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이 있다.

잎은 2∼3년 만에 떨어진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1가화 또는 2가화이며 4월에 핀다. 수꽃은 6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은 녹색이고 1∼2개씩 달리며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9월에 컵 같은 종의(種衣)로 싸여서 붉게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재목은 가구재로 이용한다. 종의는 식용하고, 잎은 약용한다.

한국산 주목씨눈에서 항암물질인 택솔을 대량 증식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씨눈과 잎, 줄기에 기생하는 곰팡이를 생물공학기법으로 증식, 택솔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상품화되었다.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산으로 원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밑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는 것은 눈주목(var. nana)이라고 하며, 잎이 보다 넓고 회색이 도는 것은 회솔나무(var. latifolia)라고 하며 울릉도와 북쪽에서 자란다.

원줄기가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은 가지에서 뿌리가 내리는 것은 설악눈주목(T. caespitosa)이라고 하며 설악산 정상 근처에서 눈잣나무와 같이 자란다.


독감 (毒感)
매우 격심한 전신증세가 나타나는 전염성이 강한 감기. 인플루엔자라고도 한다. 병원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며, 현재 면역과 성질이 각기 다른 바이러스 A형·B형·C형 등이 발견되어 있는데, 새로운 형이 나타나면 그 이전의 예방 백신으로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유행 때마다 그 형이 문제가 되는 것은 비단 미생물학적인 흥미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예방위생면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증세】
갑자기 한기·두통과 함께 높은 열이 나면서 전신이 나른하고, 근육통이나 관절통, 식욕부진 등 전신증세가 나타나며, 기침·담(痰)·인두통(咽頭痛)·비색(鼻塞)·콧물 등 호흡기 증세가 뒤따른다. 열은 5일 정도 계속되지만, 대개 2∼3일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침과 담이 많으며, 때로는 혈담(血痰)이 나오기도 하고, 흉통이 수반되며, 경과도 1∼2주일씩이나 지속되는 기관지염형도 있다.
【진단】
비슷한 증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위나 알레르기 등에 의한 비감염성 감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외의 바이러스에 의한 감기, 세균감염에 의한 감기 등이 있으므로 증세만 가지고는 엄밀한 구별 진단을 내리기는 어렵다. 이 병의 확실한 진단법으로는 ①  환자의 양칫물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부란기(孵卵器) 속에서 10∼13일 부화한 계란에 접종한 다음 2∼5일간 증식시켰다가 닭의 적혈구 또는 O형 혈액을 가진 사람의 적혈구와 합해 응집반응을 보는 방법과, ②  같은 환자의 발병 후 3일 이내의 혈청과 발병 후 10∼14일째의 혈청에 대한 적혈구응집억제시험, 중화항체(中和抗體)·보체(補體) 결합반응 등을 조사하여 항체가(抗體價)의 상승을 보는 방법이 있다.
【치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유효한 화학요법제가 한두 가지 개발되어 있으나 그 임상효과는 높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안정과 보온에 유의하고 해열진통제나 항히스타민제, 지해제(止咳劑) 등에 의한 대증요법(對症療法)을 하는 것이 좋다. 3일 이내에 열이 내리면 괜찮으나, 그 이상 오래 끌면 합병증도 고려해야 한다. 어린이·노인·임산부, 심장과 간에 기능부전이 있는 사람 등은 합병증을 일으키면 위험하므로 항생물질을 조기에 써서 예방하기도 한다. 합병증으로서 인플루엔자 폐렴·인플루엔자 중이염·인플루엔자 뇌염 등을 병발하는 수가 있다."

독감에 관해서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여전히 목숨을 앗아가는 독감
최근에 저명한 독감 전문가 300여명이, 이 치사적인 병을 퇴치할 방법을 논의하고자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WHO)본부에 모였다.  지난 50년에 걸쳐 장족의 발전이 있었는데도 독감은 계속 해마다 수십만 명의 목숨을 앗아 간다고, 국제 연합 공보부는 보고한다.  독감의 예방과 퇴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WHO는 하나의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데, 그것은 "언젠가 발생할 세계 유행 독감"이라고 자체적으로 이름을 붙인 사태에 대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고안한 계획이다.  WHO의 사무 총장인 그로 할렘 브룬틀란 박사는 이렇게 말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변종을 처음 알아보고 기세 등등한 독감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다음에 대응하려면 시간이 너무 모자랄지 모른다.""

주목을 중국에서는 '자삼(紫杉: 자주빛자, 삼나무삼)'이라고 하는데,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주목에 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자삼(紫杉) [<동북약식지>]

[이명] 적백송 [<성경통지>], 자백송 [<몽문휘서>]

[기원] 홍두삼과 식물 동북홍두삼의 가지와 잎이다.

[원식물] 동북홍두삼(Taxus cuspidata Sieb. et Zucc.

상록 교목으로 높이가 20 미터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며 얕게 갈라진다.  가지는 빽빽하게 나고 작은 가지는 어긋난다.  둥근 열매는 잎겨드랑이에 홀로 달려 있다.  

수꽃에는 9~15개의 수술이 있으며 약실(葯室)은 5~6개이다.  암꽃에는 달걀 모양의 연한 홍색의 밑씨가 있다.  종자는 둥근 달걀 모양으로 붉고 육질의 술잔 모양 또는 주전자 모양의 가종피(假種皮)안에 생긴다.  성숙된 것은 자갈색으로 광택이 나고 길이가 약 6밀리로 윗부분에 3~4개의 완만하게 부풀어 오른 세로의 잔가지가 있고 끝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  제(臍: 배꼽제)는 보통 삼각형 혹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간혹 넓은 타원형도 있다.  가종피의 기부에는 몇 쌍의 비늘 조각이 있다.  개화기는 3~6개월이고 결실기는 9월이다.  산간 지대의 수풀 속에서 흩어져 난다.

중국의 요녕, 길림, 흑룡강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성분] 잎은 diterpene류 화합물을 함유한다.  즉 택시닌(taxine)(자삼녕'紫杉寧'), 택시닌 A, 택시닌 H, 택시닌 L, 등을 함유하며 그 외에 ponasterone A, ecdysterone, sciadopitysin을 함유한다.  

어린 가지는 taxine을 함유한다.  줄기껍질은 항백혈병 작용과 항종양 작용이 있는 taxol을 함유한다.

[약리] 1, 혈당 강하 작용: taxine을 정상적인 토끼에게 피하 주사 또는 정맥 주사할 경우 혈당 강하 작용은 현저하지 않지만 고혈당의 동물(아드에나린성 또는 식물성)에 1~5mg/kg을 피하 주사 또는 정맥 주사하면 혈당 강하 작용은 현저하지 않지만 고혈당의 동물(아드에나린성 또는 식물성)에 1~5mg/kg을 피하 주사 또는 정액 주사하면 혈당을 내리는 작용이 나타난다.  

2, 기타작용: 0.1퍼센트 농도의 taxine은 짚신벌레를 마취시킨다.  개구리, 마우스, 토끼의 중추 신경계에 대하여 마취 작용이 있다.  토끼에 대한 MLD는 4.5mg/kg이다.  토끼에서 적출한 장에 대해서는 소량으로 흥분하는 작용이 있으며 0.002퍼센트 이상의 농도에서는 반대로 억제하는 작용이 있었다.  임신하지 않는 마우스나 토끼에서 적출한 자궁에는 마취 작용(0.01퍼센트)이 있지만 이미 임신한 자궁에는 흥분 작용을 일으킨다.  개구리에서 적출한 심장 및 두꺼비의 아랫다리 또는 토끼의 귀의 혈관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이 있으며 또한 토끼의 혈압을 하강시킨다.  그러나 혈관을 수축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토끼에게 피하 주사(5~10mg/kg)를 하여도 소변중의 총질소 및 황산기의 배출에는 뚜렷한 영향이 없었다.  taxine을 토끼에게 정맥주사하면 심장과 호흡을 억제하며 그 치사량은 2~3mg/kg이다.

taxine은 알카로이드의 혼합물로, taxine A(구자삼'歐紫杉' Taxusbaccata 에서 추출한 것)의 독성은 강하지 않아 rat에게 5mg/kg을 정맥 주사하거나 기니피그에 62mg/kg/h을 정맥 점적 주사해도 뚜렷한 작용은 없었다.  taxine B를 rat에 주사했을 경우의 LD50은 4.5mg/kg였다.  이것을 고양이에게 0.9mg/kg 정맥 주사를 하였더니 혈압이 급격히 내려갔으며 0.53mg/kg에서는 심전도에 즉시 변화가 일어나고 심근에 직접 장애를 주는 작용이 있다.  taxine은 마우스의 복수암(ascites carcinoma) 세포에 대하여 그 호흡을 가볍게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유효 농도는 80㎍/㎖).

[약효와 주치] <본초추진>: "이뇨하며 통경하는 효능이 있다.  신장병, 당뇨병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잎은 4~8그램, 껍질을 벗긴 작은 가지는 12~20그램을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처방예] 1, 당뇨병의 치료: 주목 잎 8그램을 달여 1일 2회씩 계속해서 복용한다.  오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으면 사용을 중지한다.  부작용이 없을 경우에는 20그램을 한계량으로 점차 양을 증가해도 좋다. [<길림중초약>].

2, 신염의 부종과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의 치료: 주목의 잎 8그램, 목통 12그램, 옥수수수염 12그램을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길림중초약>]


[비고] 1, <동북약식지>: 주목의 잎에는 독이 있다.  종자는 조금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지만 많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킨다."

2, <본초추진>: "주목은 껍질을 사용하면 토하기 쉬우나 목질부와 잎을 사용하면 토하지 않는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주목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주목과(Taxaceae) 이 과에는 4속 14종의 식물이 있는데 주로 북반구에 퍼져 있다.  사철푸른 큰키나무 또는 떨기나무이다.  잎은 줄 모양 또는 긴 버들잎 모양이다.  암수딴그루이고 씨는 살진 씨껍질로 싸여 있다.  탁신이라는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이 과에는 벌레떼기약으로 쓰는 비자나무와 민간 약초가 있다.

주목(Taxus cuspidata Sieb. et Zucc)의 다른 이름은 수송, 일위이다.  식물은 사철 푸른 큰키나무이다.  잎은 끝이 뾰족한 좁은 선형이고 윗면보다 아랫면은 연한 풀색이다.  열매는 둥글고 여물면 붉은색을 띤다.

중부 이남의 산에서 자라는데 북부에는 잎이 넓은 변종인 화솔나무(적목) var. latifolia Nakai가 있다.  잎을 일위엽이라고도 한다.  성분은 잎에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쿠마린이 있다.  6월에 채취한 잎에는 0.22퍼센트의 알칼로이드 탁신 C37H51O10N이 있다.  이밖에 탁시닌  C30H31O8, 계피산, 플라보노이드인 스시아도피티신  C34H24O10(녹는점 286~287℃), 쿠에르세틴, 0.14퍼센트의 납 모양 물질, 43mg 퍼센트의 시아노겐 배당체가 있다.  목부에는 탁수신 C23H40O8(녹는점 131~132℃)과 비슷한 화합물이 있다.

작용은 탁신은 혈압을 내리고 심장의 운동을 느리게 하며 많은 양에서 확장기 정지를 일으킨다.  숨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심장기능이 약할 때에는 영향을 준다.  많은 양에서 탁신에 의한 중독사의 원인은 심장정지이다.  그리고 위장염을 일으킨다.  탁신의 최소 치사량은 집토끼에게 정맥주사할 때 2~5mg/kg이다.  그러나 적은 양에서 탁신은 강심 작용이 있다.  T. minor의 잎은 디기탈리스와 비슷한 진정작용과 강심작용이 있다.  응용은 나무 줄기 또는 껍질을 민간에서는 기침약, 신경통 치료약으로 쓴다."

안덕균씨가 지은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주목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자삼(紫杉)은 주목과의 늘푸른 큰키나무 주목(Taxus cuspidata Sieb. et Zucc.), 눈주목(Taxux cuspidata Sieb. et Zucc. var. caespitosa'Nakai' Y. Lee)의 가지와 잎이다.  

이뇨, 통경의 효능이 있어 신우신염으로 전신이 부었을 때에 쓰고, 당뇨병에서는 혈당을 내린다.  부인의 생리통을 그치게 한다.  성분은 taxinine A, H, K, L, ponasterone A, taxine, ecdysterone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약리작용은 혈당을 현저하게 내리며, 복수암 세포의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주목에 관해서 상민의씨가 쓴 <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주목의 잎은 통경하고 이뇨한다.  가지는 소종하고 지통한다.  껍질을 쓰면 구역질이 쉽게 나지만 목질부를 쓰면 구역질이 오지 않는다.  주목의 줄기, 껍질에 들어 있는 택솔은 백혈병과 기타의 종양들을 억제하는 활성작용이 있다.  주목은 동물 체내 종양의 생장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모든 종양과 백혈병에는 주목의 줄기, 껍질 1000그램을 황주 2500그램에 7일동안 우려서 5~10밀리리터씩 하루 2차례에 먹는다.

종양치료용에 주목을 쓰는 용량은 잎은 3~6그램 또는 껍질을 벗긴 가지 및 목심은 9~1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주목의 종자는 식적, 회충병을 치료하는데 볶아서 3~6그램씩 물로 달여 먹는다."

2000년 11/24일 금요일자 <경남신문>에서는 주목에 대한 이러한 기사가 실렸다.

"항암제 '택솔' 대량생산법 창원대서 개발

대학벤처기업 '시 엔비 테크'
추출속도 기존보다 10배
국내외 투자제의 잇따라

유방암과 폐암 난소암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입증된 항암제 택솔(Taxol)을 기존 방법보다 10배가량 빨리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학 벤처기업에 의해 개발됐다.  

창원대 생명공학벤처인 '시 엔비 테크(C & B Teach) (공동대표 생물학과 주우홍교수. 46, 화학과 신동수교수. 45)는 '주목(朱木) 내피 부분에서 찾아낸 곰팡이가 택솔을 생산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 방법은 100년 가량된 나무를 잘라 조직을 배양해 택솔을 추출하는 방법보다 10배 가량 빠르다.'고 24일 밝혔다.

신교수팀은 택솔을 생산하는 곰팡이를 15종이나 찾아냈으며 기술 전체는 물론 각각의 곰팡이에 대해서도 국제특허 출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1년께 상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교수팀의 기술로는 페니실린계 푸른곰팡이를 4~5일 키우면 택솔 추출이 가능하며 기존 나무조직 배양 밥법 소요기간 45~50일보다 배양기간이 크게 단축된다.  또 조직 배양 방법은 많은 설비투자가 필요하지만 곰팡이 배양기술로는 설비 투자가 훨씬 적게 드는 장점이 있어 국내외 많은 기업들로부터 투자 제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주목의 잎이나 줄기, 뿌리 등에서 얻어지는 택솔은 난소암과 각종 종양, 백혈병을 억제하는 효능도 있는 항암제로 67년에 처음 분리된 후 미국 BMS사에 의해 지난 92년 상업화되면서 이름이 알려졌다."

주목을 가리켜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이라는 말이 있다.  주목은 추운곳을 좋아하는 아한대성 수종이다.  주목은 장구한 세월을 말없이 견디어 살아온 끈질긴 생명력이 있는 나무이다.  주목은 암수가 있어 열매가 열리는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가을에 주목의 열매가 열리면 대단히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마치 어린 소녀의 입술을 연상시킬 정도로 아름다운 색깔이다.  그 모양이 옛날 학교에서 치는 종 모양을 하고 있는데, 두껍게 살이찐 육질을 가지고 있고 그 속에 검은 갈색의 종피를 볼 수 있다.  간혹 이 씨앗이 가종피의 열린 입 밖으로 튀어나오기도 한다.  

주목의 꽃은 초봄에 피고 가을에 종자가 성숙한다.  성숙한 종자는 새들이 먹지 않는한 겨울철에도 그냥 달려 있는 모습이 아름답다.  주목의 배유와 배 즉 어린눈에는 유독성분이 있어서 조심해야 한다.  육질인 가종피도 소량만 먹고 많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킨다.  새들도 이 가종피를 즐겨 먹는다.  새들이 이 주목의 열매를 먹고 나면 뱃속에서 가종피는 소화가 되고 단단한 종피는 소화가 될 수 없어서 배설물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온 산천에 주목의 종자를 퍼뜨리게 된다.

주목(朱木: 붉을주, 나무목)이라는 이름은 목재의 아름다운 붉은색에서 따온 이름이다.  일본에서는 주목을 이치이(一位)라고 부르는데, 첫째가는 귀한 나무라고 해서 얻은 일본 명칭이다.  일본에서는 임금이 사용하는 홀(笏)을 만드는데 사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속리산의 소나무에 임금이 정 2품의 벼슬자리를 준 것처럼 일본에서는 주목에 정 1위의 위계를 주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소백산, 태백산, 덕유산의 주목 군락은 유명하다.  주목의 생명력이 질기고 오래사는 나무로 알려지면서 도심지에서 정원수로 또는 가로수로 주목받고 있다.  사람도 주목처럼 살아가면서 온갖 고난과 역경이 닥친다 하더라도 끈질긴 인내력을 배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약재  (0) 2009.07.09
한 약재와 약초   (0) 2009.07.09
약이되고 먹을 수 있는 야생초  (0) 2008.09.19
창이자  (0) 2008.08.25
토사자  (0) 2008.08.22

+ Recent posts